Daum - 부동산

댓글12
0/600 bytes
댓글 리스트
  • 어느지역,어느 지방의 주택이 부동산 시장의 회복,황황기에는 더 빨리,더 많이 오르고,그 반대로 수축,불황기에는 더 적게,더 느리게 내리게 될까? 먼저 제일 중요한 가격변수와 수요,공급을 토대로 원론적으로 살펴보고 그 다음 시범케이스지방과 지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원론적으로,장기적으로는 돈과 사람이 많이 몰려들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고 중단기적으로는 주택매매 거래량이 주택임대 거래량 보다 꾸준히,보다 많이 증가하는 지역이 될 것이다. 참고로,주택수와 주택보급률은 빈집,다가구 원룸,오피스텔,상가겸용주택등등의 포함여부에 따라 통계치는 크게 달라질수 밖에 없는 원초적인 부실통계자료들일 수 밖에 없지만,대략,서울의 인구와 가구수는 각각 990만,370만이고 부산의 그것은 각각 350만,140만이다.

    해야해야 18.08.31 06:32 신고
  •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급변하였다.우리나라의 저성장과 저출산만 고려해도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유효주택수요층은 그 증가율이 급감 하거나 심지어 감소될 것으로 보여지기에,주택시장의 차별화,양극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가운데 전국 평균집값의 오름세는 종래와 달리 크게 약화될 수 밖에 없다.심지어 장기간 집값이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빈집 폭증을 포함하여 집값이 내려가는 지방,지역들이 크게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두 주택등 실물투자에 보다 신중해야 하고 보다 많이 공부할 필요가 있겠다.반면에,각종 양극화 심화로 급등하는 지역들도 있겠지?그럼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해야해야 18.08.31 06:31 신고
  • 과거 우리나라 인구와 경제성장률이 폭발적으로 증가 하던 시기에는 주택등 부동산시장 또한 그러했던 시절이 있었다.그 시절,1960~70년대만 해도,곡창지대 호남의 문전옥답과 고래등 기와집을 팔면 그 몇배,몇십배의,오지로 방치 되었던 서울 강남 모래밭,배밭,뽕밭,미나리밭을 사고도 남았다.50여년이 지난 지금은?지역 양극화의 심화,확대 와중에 서울 강남의 땅과 집의 가격은 오십년간 수백,수천배,심지어 수만배 올랐던것도 있으나 호남의 땅과 집의 가격은 대다수가 50년간 거의 오르지 않았다.심지어 우리를 앞서간 일본처럼 도서벽지 일부가 황폐화,소멸되어가는 지역도 집갑,땅값이 내린 지역,주택도 허다하다.

    해야해야 18.08.31 06:30 신고
  • 십여년간 국민의 각종 자산 두배 불리기와 각종 빚 위험 절반 이하로 줄이기 목표에는 변함이 없지만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은 인생과 마찬가지로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을 수 있고,또 많이 힘들면 쉬어가는 것이 오히려 더욱 건강하고 유익할 수 있다. 우리 국민이 각종 자산 형성을 위한 각종 투자행위에서 어떻게 해야 덜 손해 보고 더 이익을 볼 수 있을까와 관련하여,주택등 실물자산의 투자와 관련하여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나 해 볼까?아직까지 우리 국민의 실물자산 편중도가 아주 심하기에 실물자산이 더욱 중요하다.실물자산 편중도는 경제과제에서 주택등 실물자산을 주로,혹은 더 많이 취급하는 이유다.또한,쾌적하고 안정된 주거생활은 기본이고 튼튼한 노후 대비에 기여할 수 있고 또 많은 재산세,보유세등 직,간접세 납부로 국가재정건전성과 복지비용마련에도 일조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실물자산이 주택 이기도 하니까.

    해야해야 18.08.31 06:30 신고
  • 또한,오동통하게 살 찌워 잡아 먹어야 할,국민의 각종 소득과 자산의 증가및 그 조세 증가는 그 누진적인 성격으로 인해,세율의 증가가 없어도 소득 재분배와 사회보장적 기능을 겸하면서도 충실한 복지 재원마련에도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며칠 전,예,적금,채권,각종 연금,보험금과 금리,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세상승등 국민의 금융자산 증가에 관한 간단하고 가벼운 과제수행에 이어,오늘은 마지막으로 어제에 이어 국민의 실물자산 증가를 위한 가벼운 글이다. 모니터링된 각종 자료중에서 시범케이스지방인 부산부동산시장에 대해 일반인이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일부 내용을 동의없이 발췌하고 일부 내용을 추가시킨다.세상 만사가 다 그렇듯,우리네 인생도 부동산 시장도 항상 좋을수만은 없다.

    해야해야 18.08.31 06:29 신고
  • 순수 시민을 위한 과제 15.햇빛 한 줌 작성일 2017년02월15일 07시24분 이제,우리 국민 모두가 더불어 함께 잘사는 사회를 위한 <광의의 사회영역>에 관한 올해의 과제를 마무리 해하겠다.본 과제의 핵심 수단은 국민경제 선순환구조 구축을 위한 내수의 원천으로서,스톡인 자산축척의 원천이자 가계빚 축소의 원천으로서 국민개개인의,특히 저소득층등 사회,경제적 약자층들의 플로우인 소득의 증가다.국민 개개인의 소득증가를 위한 수단들은 일자리,장사등 중소 상공업자의 소득증대는 물론,많은 국민세금과 국가재정건전성을 전제로 하지만,보충적인 수단으로 사회보장과 복지강화,사회적 기업의 확대,사회보장적 기본소득제 도입등등이 있겠다. 본 과제의 부수적이고 보완적인 수단은 국민 개개인의 실물,금융자산등 각종 자산의 축적과 사회,경제적 약자층들이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가능케 할 복지의 확대와 강화다

    해야해야 18.08.31 06:28 신고
  • 이곳에 어딘지 장소도 기재하시면 좋을 겁니다.~~평수도..

    닥데가뤼 18.08.30 14:42 신고
  • 주변에 이웃집도 없는데 저렇게 전혀 안 보이게 푸른 나무벽?을 할 필요는 전혀 없어 보여요~~

    닥데가뤼 18.08.30 14:41 신고
  • 나무담장인지? 대문위로 반듯한 나무벽?은 보기에 자연스럽지도 않고 아름답지 못해요~~

    닥데가뤼 18.08.30 14:40 신고
  • 요즘 보던 중에 최고의 환경과 입지이고 주택입니다. 주변도 좋고 집도 자연적이고. 단풍나무만 다른 나무로 하면 아주 더 좋겠습니다. 앞과 뒤가 푸르고 산도 좋고 나무도 좋고 다 좋네요......

    닥데가뤼 18.08.30 14:39 신고
현재페이지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