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 부동산

댓글12
0/600 bytes
댓글 리스트
  •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급변하였다.우리나라의 저성장과 저출산만 고려해도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유효주택수요층은 그 증가율이 급감 하거나 심지어 감소될 것으로 보여지기에,주택시장의 차별화,양극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가운데 전국 평균집값의 오름세는 종래와 달리 크게 약화될 수 밖에 없다.심지어 장기간 집값이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빈집 폭증을 포함하여 집값이 내려가는 지방,지역들이 크게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두 주택등 실물투자에 보다 신중해야 하고 보다 많이 공부할 필요가 있겠다.반면에,각종 양극화 심화로 급등하는 지역들도 있겠지?그럼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해야해야 18.08.31 06:31 신고
  • 어느지역,어느 지방의 주택이 부동산 시장의 회복,황황기에는 더 빨리,더 많이 오르고,그 반대로 수축,불황기에는 더 적게,더 느리게 내리게 될까? 먼저 제일 중요한 가격변수와 수요,공급을 토대로 원론적으로 살펴보고 그 다음 시범케이스지방과 지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원론적으로,장기적으로는 돈과 사람이 많이 몰려들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고 중단기적으로는 주택매매 거래량이 주택임대 거래량 보다 꾸준히,보다 많이 증가하는 지역이 될 것이다. 참고로,주택수와 주택보급률은 빈집,다가구 원룸,오피스텔,상가겸용주택등등의 포함여부에 따라 통계치는 크게 달라질수 밖에 없는 원초적인 부실통계자료들일 수 밖에 없지만,대략,서울의 인구와 가구수는 각각 990만,370만이고 부산의 그것은 각각 350만,140만이다.

    해야해야 18.08.31 06:32 신고
1 현재페이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