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 부동산

댓글84
0/600 bytes
댓글 리스트
  • 서남권개발로인해 구로동,영등포 디지털단지내 신개념인 인텔리전트형 아파트형공장,상가가 투자가치로서 급부상하고있으며 인근지역에 비교해 분양가가저렴하기때문에 분양받을시 투자수익과임대수익률이높아 자산투자가치가매우높은편 사무실(공장)분양시 정부정책자금70%지원 취,등록세면제 종부,재산세5년간50%감면,공장(사무실),상가 투자임대시 연15% 높은수익률보장등 디지털1,2,3단지내 모든물권(급매물수익성상가보유)분양,임대문의시자료발송 853-3500 011-346-3852***(구내식당,편의점,문구점,치킨(호프)점,커피점,당구장은 독점권리보호)최저투자금액4,000만문구점약8,000만편의점1억2천만원부터 시공사CJ건설시행사글로벌엘리시아

    낭만자기 09.08.13 11:04 신고
  • 아파트는 무조건 돈번다.? 이젠 옛말이죠. 요새 집값이 올랐다고 하나. 그거 거래가 잘되서 오른게 아닙니다. 호제때문에 오른거죠. 예를들 어 지하철 9호선 개통이라던가 용적률완화 이런호재때문에 오른거지 결코 거래가 되서 오른게 아닙니다.

    해병공수 09.08.02 15:16 신고
  • 이글은 나온지가 한참 되었는데 날짜만 바꾸면서 다시 올리는군요.. 부동산 끌어올리려는 어둠의세력들이 있는것 같은데...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미래자원을 끌어다가 쓴것도 모자라서 끝을보려 하는데... 부동산에 묶인돈이 얼마인가? 6.25 사변이후 눈부신 경제성장을 했던 대한민국의부가가치는 모두 부동산에 묶여서 현재 선 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부동산에저당 잡힌지 오래 되었다. 현재 세대만 한반도에서 살려면 몰라도 후손들을 위해 국가자산을 남겨 둬야 한다.

    푸른하늘 09.08.02 07:57 신고
  • 직접경험은 내가해봐서 아는데 솔직히 직접경험은 아닌듯...내가 이야기하고 다닌이야기랑 조금다를뿐 똑같은 이야기... 솔직히 2005년에 6000-7000하던아파트가 지금 2억이 넘는건 사실이지만 이글을 작성하신 분의 이야기는 조금 아닌듯하다 경매로 사지 않아도 그때는 매물이 넘쳐났으니까...사실을 이야기해야 인정받지 않을까??? 부동산 투자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이렇게 글을올리는것은.....

    까망 09.08.01 22:57 신고
  • 이런 야그들 마음에 와 닿지도 않는다.. 그냥 스트레스일뿐...정말 살기 힘들다...

    알라마 09.08.01 21:31 신고
  • 이런 글에 악플 달 필요가...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인데. 그리고 'In Seoul' 에 아파트가 있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In Seoul' 대학의 학위가 있는게 더 중요합니다.

    파랑별 09.08.01 20:40 신고
  • 1997년 은마 2억4천매수 2006년 12억매도 그래도 난 별로 못번건데.....이런 찌질이들이 왜 자꾸글을 올릴까요?

    알파 09.08.01 17:27 신고
  • 자고로 집가지고 투기하고 장난질 치는넘은 그 자식이 대대로 업보를 받아 처참한 결과를 보리라아파트 투기한만큼 그 자식이 불행해져도 좋다면 집값올려받아먹으며 불로소득 누리거라틀림없이 그 자식들이 엄청난 화를 입을지어다

    tptkdakstk 09.08.01 16:55 신고
  • 어떤 나라는.. 금에 다한 소유욕이 강합니다. 우리나라.. 부동산에 대한 소유욕..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국민 아닌가요? 전체인구의 1/2이 서울&수도권에 있고.. 돈은.. 2/3이라고 했나요? 전세시스템이 살아 있는 한.. 일년에 2번씩 찾아오는... 전세난(?)이 있는 한.. 부동산 붕괴는 없다 확신합니다. ^^

    Tonkey 09.08.01 15:20 신고
  • 네.. "In seoul"에 집 있고, 없고의 생활수준(?)의 차이 분명 온다 확신하는 1인입니다. ^.~

    Tonkey 09.08.01 15:17 신고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