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 부동산

댓글56
0/600 bytes
댓글 리스트
  • 언제가 터질 문제이지만, 대책이 없다.결국엔 터진다.일본처럼 10년 장기불황 된다.누가 먼저 죽어나갈까? 집주인일까? 세입자일까?

    남아대장부 11.03.04 18:53 신고
  • 금년부터 내집 하나 외에 집 하나 더 사면 양도소득세가 50%, 취등록세가 두배가 됩니다. 여유있는 분들 집 하나 더 사서 임대했는데,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 정부에게 세금으로 다 바치게 되어 있는데, 집 사겠습니까? 2주택자 양도세 50% 중과 없애야 전세가격 안정됩니다.

    pmo64 11.03.04 19:29 신고
  • 집은 가정의 안락한 휴식공간이지.........투기가되서야되겠는가!!종부세 거의 유명무실해졌는데~~~~.....

    zzxc 11.03.03 22:12 신고
  • 임대는 수익을 위해 하는것이죠, 비용이늘면 임대료에 바로 반영됩니다,즉, 전세,월세에 세금을 부과하는건, 집주인이 아닌 세입자에 부과하는것이죠,34년된 구옥낡아 신축했는데, 취등록세 500만원냈습니다,돈갖고 진것도 아닌 대출낸건데, 세금필요한지 의문임,건물 지면서 세금때문에 꼼짝달싹 못할 정도로, 몸 움직일 여유 별로없네요,짓다가 대출이자 부담 많겠다 싶어 팔까했지만, 양도세빼고나면 다른집 살돈 안될껄요?혜택은 쥐꼬리, 모기똥만큼주는 정부가, 세금정말 많이 띱니다,세금 유럽처럼 띠고 똑같은 복지하던가, 세금없고 복지없는 작은정부 하세요

    로마리우 11.03.04 20:44 신고
  • 2003년 노무현 정권 출범시부터 유독 주택보유에 대한 .특히다주택자들에 대한 세금이 엄청나게 현실화(거래싯가 대비 부과) 하는 방향으로 나갔고 많이 가진자 중과제 (66%) 양도세를 부과 하고 보유세인 재산세 년간 인상한도를 300%까지 하였고. 재산세외에 토지와 주택 합하여 6억원 넘는다고 종부세 신설하여 일시에 수천만원 안겨 주었지요. 결국 부메랑이 되어 투기꾼이 사라지니 여유주택이 모자라 전세대란이 일어나서 그 많은 세금 집없는 서민이 떠안은골이 되었습니다. 노무현이 쳐놓은 세금폭탄 덫을 치워야 하는데 전혀 그럴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전세대란 오래 갈수 밖에 없습니다.

    산수유 11.03.04 21:33 신고
  •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집2채,3채 있다고 양도세 50-60%에 보유세가 정당하다면 주식 양도 차익에 과세해야하고 현금 예금,보유주식에도 보유세 부과해야하지 않을까요? 공평성 차원에서...

    민재아빠 11.03.04 21:34 신고
  •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감소와 저금리의 영향으로 전세에서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하는 집주인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국민정서상 월세에 대한 저항으로 전세나 월세의 대체수요로 급매나 저렴한집 위주로 매매로 돌아서는 수요가 조금씩 발생하고 있습니다 무료경매사이트 인사이트옥션에서 경매정보와 등기부등본을 무료로 이용할수 있어서 도움이 많이됩니다

    ggvv 11.03.04 21:36 신고
  • 중과세를 더해서 주택가격을 떨어트리는게 좋은게 아닌가요 보급율이 100프로가 넘는다고들 하는데 다주택자가 싸게 내 놓는다면 전세가격이 안정될건 눈에 보이는데

    모든사랑 11.03.04 23:19 신고
  • 집주인에게 과세하면 세입자에게 전가하면 그만이지따뜻한 가슴을 가지고 내가 손해보고 살아야지 이렇게 사는 사람은 성인군자만 가능한 것임집주인이 감당할수 있는 수준의 세금이 아닌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니 세입자에게 전가하는것은 지극히 당연한 시장의 현상임집살때 취득세 등록세 보유하면 재산세 팔때는 양도소득세 50프로까지..전세주면 전세입자가 외국처럼 원상복구 시켜주는것도 아니고 벽에 못 함부로 박고 큰 가구 옮기다가 상처 다나고 그런다그래도 예전에야 집값상승차익에 그러려니 하고 넘어 갔지만 이젠 차익이 없어진이상 세입자에게 보상을 요구하고 전세값을 옮겨서 충당하려고 하는것이 당연한거지

    천억을위해 11.03.05 01:13 신고
  • 아주 맞는말만 하셨네요,,진정한 고수시네요

    에로이카 11.03.05 02:38 신고
1 2 3 4 현재페이지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