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집 매도하기전 양도세 점검 필수
박상언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2 | 조회 3245 | 2015.09.01 22:07 | 신고

2주택일 때 양도세 비과세 요건

부동산 세금에 대한 문의 절반 이상이 양도소득세라 할 정도라 양도세의 비중이 크다. 양도소득세 법이 복잡하고 사례가 다양하지만 양도소득세를 절세할 수 있는 방법 또한 많다.

 

부동산 거래 시 대표적인 세금인 양도소득세는 1가구 1주택의 경우 양도 당시 실거래가가 9억 원을 초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2년 이상 보유했을 경우 비과세가 된다.

 

 이때 주택에 딸린 토지가 도시 지역 안에 있으면 주택면적의 5배, 도시 지역 밖일 경우 10배까지는 1가구 1주택 범위에 포함된다. 1가구 1주택자가 장기저당 담보대출 계약을 체결하고 주택을 담보로 연금식 대출을 받은 경우 2년 보유인 거주기간 요건을 적용받지 않는다.

이 외에 취학, 질병 치료, 요양 등으로 1년 이상 살던 주택을 팔고 가구원 모두가 다른 시․군으로 이사할 경우나, 1년 이상 국외 거주로 취학 또는 근무상 이유로 가구원이 출국하는 경우(단 출국 후 2년 이내에 양도해야 함) 등도 보유기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만 1가구 1주택이라도 취득등기를 하지 않고 매도하는 이른바 ‘미등기 전매’는 양도차익의 70%에 해당하는 세금을 내야 한다.

집이 두 채 이상 일 때 양도세 절세법

 

집을 두 채 이상 보유하다가 양도하게 되면 양도세 비과세를 받을 수 없다. 최소한 먼저 파는 집에 대해서는 양도세를 내고 남은 한 채는 1가구 1주택 비과세를 받는다.

 

따라서 2주택자가 주택을 양도할 때에는 주택 각각의 양도 차익을 먼저 비교해본 뒤 양도 차익이 적은 주택을 먼저 팔아 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일시적인 양도세가 비과세 되는 경우

 

1가구 2주택이라도 일시적인 경우에는 양도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양도세가 비과세 되는 집 한 채가 있는 1가구가 이사를 하기 위해 새 집을 사고 3년 내(종전 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 이상이 지난 후 새 주택 취득 시)에 전에 살던 집을 팔게 되면 양도세가 과세되지 않는다. 1가구 2주택이나 1가구 3주택 이상에 대해 중과세율은 완전 폐지되었다.

부모님을 동거봉양이나 혼인으로 2주택이 된 경우

 

60세 이상 부모님을 동거봉양하거나 혼인으로 일시적 2주택이 된 경우에도 합가(合家)나 혼인한 날부터 5년 이내에 먼저 양도하는 주택은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비과세를 적용받는다.

상속으로 인해 2주택이 된 경우

 

1주택 보유자가 상속주택(피상속인의 보유기간이 가장 긴 주택)을 소유해 2주택자가 된 경우에는 기한에 관계없이 기존의 1주택을 양도할 때 비과세를 적용한다.

 

이 밖에도 농어촌주택을 취득한 경우 2주택이지만 비과세를 적용받는 경우가 있다.

 

농어촌주택 비과세요건은 수도권 밖의 지역 중 읍 또는 면지역에 소재해야 한다. 수도권은 서울,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말하므로, 경기도 내의 농어촌 지역에 있다고 해서 농어촌주택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경기도를 벗어났다고 해도, 시지역이나 동지역이라면, 역시 실제로 농어촌이라고 하더라도 역시 농어촌주택으로 보지 않는다.

 

 

다만,2014년말까지 취득하는 농어촌주택으로서, 수도권외 소재하고, 대지면적 660제곱미터이하, 토지와 주택의 기준시가 합계가 2억원이하의 주택을 취득해서 3년이상 보유한다면, 연고가 없어도 농어촌주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