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인테리어/DIY] 단독주택 인기라는데"..조립형 주택현장 가보니
전원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052 | 2011.07.04 22:11 | 신고

단독주택 인기라는데"..조립형 주택현장 가보니

 

“단독주택은 관리비가 많이 들고 방범이 취약한데다 환금성도 떨어진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택지개발지구내에 있는 단독주택은 듣던거랑 많이 다르네요”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에 거주하는 이모씨

단독주택이 서서히 인기를 끌고 있다. 건설 및 관리 비용, 건축기간 등 그동안 지적돼온 문제점들이 하나 둘씩 해소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경우 단독주택을 지을 대지와 시공비를 합친 금액이 아파트 매매가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층 아파트보다 2층 단독주택이 더 싼 경우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단독주택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대기업도 단독주택 시공사업에 진출했다. 부동산 토탈 솔루션 제공업체 SK D&D는 지난 2009년 10월 주택 공급을 시작한지 2년 남짓 만에 전국에 100여채를 공급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지은 SK D&D의 모듈러 주택 외관.
◆ 시공비 낮아지고 건축기간 줄고..단독주택 `인기`

지난달 30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자리한 ‘스카이홈’ 모델하우스. 단독주택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윤재혁 SK D&D 판교사무소 과장은 “모델하우스 개관 후 하루 평균 20여팀, 이사철을 앞둔 주말에는 평일보다 두 배 넘게 고객 상담이 잡힌다”며 “최근 큰 인기를 끈 ‘땅콩주택’ 효과도 한몫하고 있고 미국·유럽풍의 단독주택을 예전처럼 산속 깊숙이 짓기보다는 수도권 근교의 택지개발지구에 지으려는 수요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 모델하우스는 LH에서 공급한 판교택지개발지구 내에 있으며 1층 85㎡(33평), 2층 56㎡(17평) 등 총 162㎡(49평)의 단독주택이다. 대지가 224.4㎡(68평)으로 주택면적을 제외한 대지는 주차장과 정원으로 꾸며져 있다. 

성승준 SK D&D 시공과장은 “모듈러(modular·박스형태의 주택 철골 구조) 공법으로 만들어진 집”이라며 “박스 형태의 철골 구조체 21개를 수원 모듈러 제작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대지 공사에서 마감 공사까지 3개월도 채 걸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현재 판교택지개발지구의 땅값은 3.3㎡당 800만~1200만원 수준. 수도권에서는 최고가 수준이다. 그러나 집 지을 땅만 확보하고 있다면 건축비용은 3억원 정도면 된다.
신승대 SK D&D 현장소장은 “시공비는 지역에 관계없이 3.3㎡당 500만원 후반대에서 600만원 중반대라고 보면 된다”며 “판교의 택지개발지구는 가격이 비싸지만 판교에서 차로 20분 거리인 용인 동백지구만 가도 3.3㎡당 땅값이 500만원 수준이고 수도권인 경기도 오산시 세교지구, 경기도 화성시의 동탄지구 등의 신도시에서도 3.3㎡당 400만원 중반대의 땅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모듈러 주택 내부의 계단 모습.
판교택지개발지구에 있는 162㎡(49평·대지 224.2㎡)형 주택은 대지가격이 3.3㎡당 800만원으로 5억4400만원이고 시공비가 3.3㎡당 600만원 수준으로 총 주택 조성 비용은 8억3800만원이다. 여기에 조경 및 기타 마감재 관련 부수비용이 더 있다고 쳐도 9억원 수준이다.

그러나 이 택지개발지구와 불과 5분 거리인 ‘현대힐스테이트’ 11단지 아파트는 이 단독주택보다 면적이 작은 142㎡(43평)형이지만 가격이 11억원에서 고층의 경우 14억원이다. 성 과장은 “아파트가 물론 환금성이 단독주택보다 뛰어난 것은 맞지만 가격 변동이 심하다는 리스크가 있다”며 “투자 개념이 아니라면 단독주택은 더 적은 비용으로 넓은 집에서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시공기간은 철근콘크리트(RC)와 목조, 스틸(모듈러공법) 주택형별로 다르지만 모두 5개월 이내다. 특히 목조주택은 시공기간이 3개월도 채 걸리지 않는다.

◆ 공사 현황 실시간으로 중계..주말마다 현장 갈 필요 없어

단독주택 건설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중 하나는 시공업체에 대한 불신 때문이다.

단독주택을 지으려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인터넷카페를 보면 시공업자에 대한 불만과 의심들로 채워진 글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자재 및 마감재를 전혀 볼 줄 몰라 싼 제품으로 바꿔치기하는 것 같다는 글이나, 시공 후 하자가 많았지만 다시 연락이 되지 않거나 수리를 거부한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모듈러 주택의 주방의 모습.
성 과장은 “(일반 소규모 시공업체들도)예전과 같이 철근을 덜 쓴다거나 구조적으로 위험할 정도의 부실공사는 없는 것으로 안다”며 “다만 단열재나 지수제(누수방지) 등 도면상에 잘 표현되지 않는 것들을 시공비 절감을 위해 떼먹는다거나, 인부들의 안전관리 등에 정해진 돈을 쓰지 않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독주택 수요가 많아지고 시공업체 간에도 경쟁도 치열해지면서 이러한 불신을 없애려는 업계의 노력들이 보이고 있다.

SK D&D는 지난 4월부터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실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공사의 기본정보 및 투시·평면도, 사진 정보, 현장 작업일보, 일일공사현황, 도면·하도급계약서·작업지시서·일일안전일지, 품질관리 등이 한 사이트에 총망라돼 있다. 건축주들이 접속해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사진과 동영상 등을 통해 요구 사항을 제기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성 과장은 “단독주택을 지을 때 건축주들이 주말마다 현장으로 오는 것이 당연했지만 이제는 PMIS를 통해 온라인으로 시공사와 건축주간의 소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단독주택 관리비 폭탄은 ‘옛말’

아파트와 단독주택을 비교할 때 항상 단독주택의 단점으로 꼽히는 게 전기·가스비다. 하지만 최근 시공되는 단독주택은 단열재 및 창호 성능이 개선되면서 냉난방 효율을 아파트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 지구에 있는 30평의 단층형 스틸형 주택(4인 가족 기준)은 지난해 12월 가스비가 9만원 나왔다. 판교택지개발지구내 2층 단독주택(162㎡·49평)은 가스비가 21만원이었다. 

성 과장은 “105㎡(32평)형 아파트의 한겨울 가스비가 10만~15만원 수준인 것으로 안다”며 “단독주택 가스비를 아파트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시공시 쓰는 단열재와 창호의 수준을 높였고 열화상 카메라로 열이 새는지까지 검사하는 등 겨울철 난방에 신경썼다”고 말했다.

정동수 SK D&D 과장은 “단독주택의 트렌드는 친환경적이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첨단 단열공법을 이용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한 건축물)쪽으로 흘러갈 것”이라며 “현재는 패시브하우스의 조성 단가가 너무 높지만 이를 낮춰가는 노력을 계속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 070-7502-4701

 

 

자료제공 : http://cafe.daum.net/65l5     ↹ 양평지역 부동산 매매 우수전문카페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