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부동산 백화점에서 공개하는 내집마련
전원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271 | 2011.07.18 06:25 | 신고

중소형→ 중대형 갈아타기’ 성공 전략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파트값이 중소형은 오르고 중대형은 내리면서 작은 주택에서 큰 주택으로 갈아타려는 수요자들에게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1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1월에 비해 중소형(66㎡∼99㎡)에서 중형(99㎡∼132㎡)으로 갈아타기 비용(구입비용)은 4390만원, 중형(99㎡∼132㎡)에서 중대형(132㎡∼165㎡)으로 갈아타기 비용은 6216만원씩 각각 줄었다.

이에 따라 요즘 같은 주택시장 침체기에 '갈아타기'에 성공하는 비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선 매도·후 매수 원칙 지켜야

갈아타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보유주택을 먼저 팔고 난 뒤 갈아탈 주택을 매수해야 한다. 요즘 같은 주택시장 침체기에는 살던 집이 팔리지 않아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거래가 많지 않은 비인기지역에서 인기지역, 비인기지역에서 비인기지역으로 옮길 때는 더욱 그렇다. 환금성이 떨어지는 단독주택이나 빌라, 다세대주택에서 아파트로 갈아탈 때도 반드시 먼저 기존 주택을 처분한 뒤 매수에 나서야 한다. 전문가들은 중대형으로 갈아타기할 때는 고급유효수요가 있는 지역을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지금이 중대형으로 갈아탈 수 있는 좋은 기회지만 나중에 되파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중대형 수요층이 전반적으로 얕아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대형 수요가 많은 서울 강남권이나 용산, 경기 성남 판교신도시 등을 택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여유 있게 급매물 노려야

갈아타기에서는 저렴한 매물을 잘 찾는 것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평균 시세의 하한가보다 낮은 급매물을 골라야 하며 실거래가가 공개된 2006년부터 현재까지의 거래추세를 눈여겨봐야 한다. 전고점 대비 가격낙폭을 본 후 급매물인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동산1번지 박원갑 소장은 "입주 예정단지나 입주 3년차인 단지는 싼 매물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며 "중개업소에 방문해서도 아파트 매수 의지를 확실히 표현하기 위해 동원 가능한 자금 규모와 원하는 금액대를 밝혀야 중개업자로부터 싼 매물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자금계획은 철저히 세워야

갈아타기를 위한 자금 계획도 꼼꼼히 세워야 한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각종 대출규제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가급적 자기자본 비율을 높이고 대출을 받을 경우 은행을 찾아 대출 가능 금액을 알아본 뒤 매수 계약을 해야 한다. 은행권의 대출 옥죄기로 매도자의 대출금을 매수자가 모두 승계하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매도자가 계약을 마음대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계약서에 이런 내용을 부기하는 게 좋다. 갈아타기에 발생하는 부대비용도 당연히 감안해야 한다. 양도세는 물론 취득세, 이사비용, 중개수수료 등을 자금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aber@fnnews.com 박지영기자
 

자료제공 : http://cafe.daum.net/65l5  ↹ 전국에서 제일싼 부동산 매매 우수전문카페

자료제공 : http://www.113korea.com/kks732  ⇔ 평창/횡성농수산물 직거레 장터 우수카페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