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전원주택 준비 중 꼭 짚어야 할 부분, 경량목조, 조립식주택등.
시골기차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4 | 조회 2312 | 2015.10.31 17:16 | 신고

 

전원주택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꼭 짚어야 할 부분 (목조 조립식주택 콘크리트 alc)

 

부풀어 오른 가슴을 안고 전원의 꿈을 실현하고자 하시는 분들

꼭 챙겨 보셔야 합니다.

 

집은 장난감이 아닙니다.

                   

집을 가지고 폼을 잡을 일도 아닙니다.

 

집이 지어질 때는

기초 골조 벽체 지붕 내부치장 외부치장으로 구성 됩니다

 

그런데 우리는 치장을 아주 좋아 합니다

아니 뭔가 부족했는지

남에게 보이기 위한 집을 많이 짓습니다

 

채광이 잘되는 집과 그렇지 못하는 집은

그 집에 오랜 동안 살게 되면 사람 성격도 바뀌고

건강에도 많은 영향을 줍니다.

 

왜 일까요?

집안에 볕이 잘 들면 일단 잡다한 세균들이 줄어듭니다.

피부병 등 각종질병으로 부터 점점 멀어지게 됩니다.

 

생각이 건전하게 됩니다.

햇볕을 보고 살면 우울증으로 부터 벗어나고

진취적이고 긍정적이며

음과 양  중에 양의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두 번 째 동선 입니다.

평면이 들 쭉 날 쭉 움푹 패이거나 돌출되거나

이렇게 되면 건축비가 더 들어가게 되고

지붕은 한마디로 아주 요란합니다.

그것이 예술인양 우쭐대고 보기 좋다고 ...가관도 아닙니다.

     

상기 주택을 보시면 대부분 인위적으로 억지로 지붕에 모양을 만들거나 하지 말아야 될

구조물들을 만들었습니다. 향후 십수년이 지나면 이런 구조물들은 하자의 원인이 됩니다.

상시 사진은 특정되지 않은 전원주택이라고 검색하면 떠 올라 오는 사진 들입니다.-한국의 전원주택 현주소.

                                                                           

 

               평당 600만원 이상 들여 지은 집들: 일본  큐슈 사가현 ; 명품은 지붕이 심플 합니다.

 

빗물이 어디로 해야 할지.

모여 계곡을 이루어

어떤 집은 아예 서로 절벽을 만들이 물이

지붕에서 골짜기로 흘러내리게끔 하는 집도 있습니다.

 

 

 

또는 모던 형이라고 평지붕()을 만들어 빗물을 한쪽으로만 흘러내리게 합니다.

이러다 보니 아주 동네는 무당집 동네가 만들어 집니다

처음 짓는 집이고

누구보다 아름답고 예쁘고 독창적인 집을 지어

동네서 가장 잘 지었다는 집이고 싶은 마음 간절하겠지만

집은 살아가면서

원천적 구조적 형태적으로 하자발생이 적을 집을 선택하시고

햇볕이 잘 들고

내구성이 좋고

화재는 무조건 조심해야 하고(어떤 구조의 집이라도 실내 인화성 물질에 불이 붙으면

                                    그 집은 철거하고 다시 지어야 합니다)

통풍이 잘되어 결로나 곰팡이로부터 해방되고

무엇보다 단열이 잘되는 집이 최고입니다.

 

 

                단조로워 보이지만 가장 실용적이고 유지관리와 변형이 적은 형태의 지붕을 선택한 이유는 뭘까요?

                우리보다 약 50년은 앞서 전원주택이 시작된 선진국 들의 시골 주택 단지 입니다.

 

돈을 무조건 많이 들인다고 해서 그 집이 좋은 집은 절대 아닙니다.

십수년이 흘러 속을 태우기 시작하면

꼭 발바닥에 무좀같이 성가시게 됩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