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오래된 구옥을 아이디어 하나 더 하기로 리모델링. [1]
전원지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3 | 조회 5489 | 2016.08.31 10:03 | 신고

다 쓸어저가는 구옥을 아이디어 하나 더 하기로 리모델링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넓다는 예당저수지를 감싸고 있는 충남 예산.

서로 볏단을 몰래 날라다 주던 의좋은 형제 이야기가 전해오는 따뜻한 마을에 김재운 씨가 산다.

그는 15년간의 서울 생활을 접고 고향인 이곳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온전히 자신의 힘만으로 구옥을 리모델링했다.

50년이 넘은 구옥은 벽지를 떼어내는 족족 시커먼 곰팡이 자국이 묻어 나왔다. 또 누군가 살면서 개조를 했는지 벽체를 철거하면 없던 창문이나 출입구가 생겨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 01 리모델링 전 상태 점검

↑ 02 창호 달기와 외부 사이딩 작업

↑ 03 실내 벽지와 곰팡이 철거 작업

↑ 04 부분별 목공과 페인팅 작업

↑ 05 가구 직접 제작과 설치

↑ 01 푸른색으로 페인팅한 창틀 아래 억새가 꽂힌 재활용 병이 놓여있다. 병 속 작은 해바라기는 아내가 취미 삼아 하는 뜨개질로 만든 소품이다.

↑ 02 목재 파레트로 만든 가구지만, 전혀 폐목같지 않은 이유는 수없는 사포질과 꼼꼼한 스테인 칠 덕분이다. 만질만질한 촉감에서 김재운 씨의 정성이 느껴진다.


50년 된 시멘트 블록집의 변신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홀로 집을 고치는 일은 상상도 못 하게 고되다. 중간 중간 일손 놓을 일이 생기는 통에 능률도 오르지 않고 시간마저 기약할 수 없이 흐른다. 이토록 지루한 일을 5년째 계속 하고 있는 김재운 씨. 서울 논현동에서 15년 넘게 인테리어에 몸담아 왔지만, 자신의 집을 최소의 경비로 개조하기는 그에게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육체노동과 시간과의 싸움이 참 힘들었어요. 물론 지금도 완성된 것은 아니고, 마당이며 별채까지 손볼 곳이 무수히 남아 있는 상태죠."

2006년 김씨는 도로에 인접한 2천㎡의 부지를 마련했다. 구입 당시 땅 안에는 폐가에 가까운 작은 살림집 한 채와 버려진 창고들이 있었다. 김씨는 식당과 살림집을 함께 구상하고 있었기에 각각 장소별로 목적을 나눠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기존에 사용한 흔적이 남아있던 주거용 건물은 시멘트 블록으로 지어진 50년 된 집이었다.

실내는 벽지를 뜯어내는 족족 시커먼 곰팡이 자국이 드러났다. 전(前)주인이 보수를 한 번 했는지 어느 벽은 벽지 안에 없던 창문과 통로가 불쑥 생기기도 했다. 김씨는 처음 지어졌던 구조를 최대한 유지, 활용하기로 하고 별다른 단열 장치가 없던 집에 보강을 시작했다. 단열재를 넣고 외부에 목재사이딩을 세로로 마감했다. 그가 사용한 나무는 근처의 농공단지에서 무료로 얻어 온 파레트용 목재였는데, 동파이프 배관을 운송하던 것이라 길이가 마침 길었다. 세로사이딩은 가로보다 독특한 분위기를 낼 수 있고, 때나 먼지가 잘 끼지 않아 관리가 더 쉽다고 그는 귀띔했다. 다행히 기와 지붕은 색도 마음에 들고 쓸만한 상태라 별다르게 손대지 않아 비용을 많이 절감했다.

↑ 03 창호가 있던 자리는 매입식 장식 선반을 만들고, 통로가 있던 자리는 책 선반을 직접 만들어 끼워 넣었다. 파레트 목재로 일체형 벤치를 제작하고 하단은 타일로 마감해 깔끔하다.

↑ 04 호롱불에는 심지 대신 전구가 연결되어 있다.

↑ 05 손잡이는 수도꼭지를 재활용했다. 사람들은 아무 생각 없이 문을 열다가 빙그레 웃고 만다.


재활용 소재 이용한 DIY 개조


현관으로 들어가는 길은 벽돌을 쌓아 낮은 담장을 만들고 작은 우편함으로 장식했다. 계단 한 단 높이의 데크를 두어 신발장도 올려 놓았다. 현관을 열고 들어서면 바로 거실이 나오는데, 오른편으로 부부 침실이 자리하고 맞은편은 주방으로 이어진다.

실내는 전문가다운 개성 있는 인테리어로 완성되었다. 3개월 간 집중적으로 수리한 내부는 희고 정갈한 분위기에 숨어 있는 벽장식과 소품들로 재미를 준다. 내벽은 인조석을 붙일 때 쓰는 접착용 타일 모르타르로 두껍게 발라주었다. 이는 기존 핸디코트의 1/3 가격이고 바를 때 힘이 많이 들지만, 건조하면 무엇보다 단단한 벽이 완성된다.

천장은 초배지로 쓰는 갱지류를 발랐다. 평상시에는 무르지만, 물에 젖으면 무척 질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하기 적당하다. 벽난로 맞은 편에는 일체형 벤치를 제작해 설치했다. 모두 파레트에 쓰인 목재를 이용해 만든 것으로 김씨의 손재주를 한 눈에 느낄 수 있는 아이템이다. 스테인 처리한 목재들은 나뭇결이 살아있고 곱게 사포질 되어 가구로 사용되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Tip 재활용의 숨은 공신, 목재 파레트(Pallets)


파레트는 수출입 시 물건을 대량 포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틀이다. 대개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데, 주변에 큰 공단이 있다면 빈 터 안에 쌓여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목재 파레트는 포장하는 물품에 따라 주문 제작되기 때문에 사이즈는 천차만별이다.

또한 공단 안에서 한 번 쓴 파레트는 처리할 방도가 없는 골치거리기 때문에 대부분 무료 수거가 가능하다. 실제 외국에서는 이 파레트로 골조를 만들고 짚이나 흙을 이용해 집을 짓는 사례도 있다. 국내에서는 데크 상판이나 평상 제작, 아기자기한 소품을 만들 때 요긴하게 쓰여 솜씨 좋은 주부들의 무한 사랑을 받고 있다. 출처 : 농가 한옥 리모델링 

목조. 이동식주택. 통나무. 황토흙집. 전원주택. 설계. 건축. 집수리. 부동산정보. 귀농/귀촌.
약초. 효소. 발효식품. 건강의 모든정보를 한눈으로 보는 "전원의향기" 입니다.
아래 홈페이지 영문주소 클릭 하시면 많은 도움을 드립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