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왜 개발하는가(투자자가 알아야 할 점)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424 | 2016.12.05 11:40 | 신고

부동산 활동이 활발한 대한민국 국토는 항시 이중구도를 달린다. 적극 그린다. 투자자와 실수요자 반경이 공존하는 이유다. 양적가치와 질적가치를 구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국토는 안전지역이 있는가 하면 (불규칙적인) 불안전지역이 공존한다.

안전지대는 둘.

물리적 안전지대와 행정적 안전지대로 대별되는데 행정적의 의미는 행위, 즉 '부동산 활용범위(용도-건폐율과 용적률)'를 의미한다. 그러나 영원한 안전지역은 존재할 수 없다. 역시 변수 때문이다. 안전지대가 전격 불안전 지대로 변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즉 규제 대상지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리스크 없는 국토 공간은 존재할 수 없다. 국토는 그 공간 안에 반드시 '리스크 큰 지역'과 '리스크 크기가 작은 지역'이 공존하기 마련이다. 리스크 크기를 작게 만드는 작업은 인간의 몫이다. 즉 위정자와 부동산주인들의 몫으로 남는 것.

리스크 크기가 작은 곳의 특징은, '삶의 질이 높은 것'이다. 이런 상태라면 고정인구가 집중적으로 몰린다. 더불어 자연스럽게 투자자도 몰리는 법. 이동복덕방이 많은 지역엔 희망이 있을 수 없다. 한 지역을 투자자가 거품지역으로 만들어 놓을 수 있어서다. 의미 없다. 거품은 아무 의미 없다. 거품은 미분양 및 높은 공실현상을 만드는 암적존재라 하는 말. 더불어 거품현상은 미거래현상도 만들어 놓는다.

 

국토 - 편익공간과 불편한 공간으로 대별(이는 개발의 긴요성을 대변하는 법)

 

개발의 이유(개발의 필요성) - '불편함'을 '편안함'으로 바꾸기 위함

 

미개발지역의 특징 - (도시지역 대비) 불평등하다. 불편하다.

 

개발 명목이 무엇이랴.

삶의 질을 높이는 게 개발의 궁극적 목표, 목적(명목)이다.

불편한 곳에서 높은 삶의 질을 모색하는 건 무리다. 마치 사막에서 시원한 물 찾는 격이라서다. 불편한 곳을 무조건 개발하는 건 아니다. 개발의 타당성을 견지, 견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난개발은 국토의 황폐화의 원흉 아니랴.

 

 

개발의 타당성에 관한 검증 과정이 힘겨운 까닭 - 무조건적으로 개발에 대한 공익과 사익, 두 가지 사안에 합당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손해가 되는 개발은 안 하느니만 못한 것. 왜? 애초 개발을 안 했다면 '손해'라는 나쁜 변수가 없었을 테니까.

 

공익 - 국익으로 큰 이익이다.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사익 - 개인의 이익으로 공익사업의 영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공익이 우선이 되어야 할 줄 안다(공익이 더 중요해서다).

공익이 성공적이어야 만족도 높은 사익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개개인의 이익을 위해, 유익을 위해 공익사업을 진행하는 것. 국민의 삶의 질이 높 아야 국가발전 하는 것 아닌가.

반대로 국가를 위한 개발이 곧 개인의 발전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진보한다.

하나 개발진행 시 무리한 수가 들어간다면 위험. 검은 거짓, 즉 공약을 수호하지 않는다면 큰 재앙에 직면할 것이다. 개발 실패다.

 

개발청사진을 과대포장 하는 행위 -

이는 마치 선물 자체보다 선물 포장 비용이 더 비싼 경우인 법.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지경이라면 비효율적이다. 경제이론에 정면으로 위배되어서다. 3만 원 상당의 선물용 초콜릿에 포장비가 과용. 이는 초콜릿 값은 10,000원인데 포장비용이 20,000원인 경우다. 상식에 어긋난 행동은 위험하다(개인 파탄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국가, 개인 모두에게 불이익이다.

 

부동산에 대한 지식과 상식

(지식≒상식)

 

지식의 예) 사업성, 안전성

상식의 예) 수익성, 환금성

 

지식과 상식으로 부동산 투자를 한다면, 수익의 크기는 크지 않으나 안전성 면에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자연히 환금성도 보장 받을 만하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