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내집짓기-전원주택 결로현상 예방법 [1]
도담채 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5 | 조회 3616 | 2017.01.10 09:15 | 신고

내집짓기 - 전원주택 결로현상 예방법

 

 

주택의 심각한 하자의 원인이 되고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해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이 주택의 결로입니다. 주택의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곳과 결로를 없애는 방법을 알아보

겠습니다.

 

주택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해 주택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결로라고 합니다. 결로로

인해 주택 내부에 곰팡이가 생기며 심하면 물이 고이고 겨울철에는 벽면에 얼음이 얼기도

합니다. 결로는 단순히 물방울이 맺히거나 물이 흐르고 곰팡이가 생기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주택의 근본적인 문제로 발전해 기둥이 썩는 등 심각한 하자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어 건강주택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신경쓸 내용입니다.

 

결로를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선 올바른 시공입니다. 시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열입니다. 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겨울에 바깥 온도는 낮고 실내 온도가 높을 때

실내 벽면 온도가 낮아져 그 부분에 결로가 생깁니다.

 

수증기의 발생 원인을 애초에 차단하거나 제습기를 설치하는 것도 결로를 없애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실내에 빨래를 말릴 때나 음식물 조리를 할 때 생기는 수증기로 인해 실내에

습도가 높아져 결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욕조의 물을 받아놓거나 어항도 습도를

높이는 요인이며 특히 관엽식물의 경우 물을 주게 되면 그만큼의 수증기를 발생시킵니다.

이때 제습기를 이용하면 효과적입니다. 주택 시공할 때 벽면의 석고보드나 도료, 벽지

등을 제습기능이 있는 것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결로는 실내에 수증기가 일정한 공간에 머물러 있을 때 발생하므로 환기도 필수입니다.

환기를 통해 실내 수증기를 바깥으로 내보내줘야 합니다. 하루 중 잠깐씩 창문을

열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결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결로는 수증기의 양과 온도의 관계에서 발생합니다. 수증기의 양이 같더라도

방 온도가 높으면 발생하지 않고 낮으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결로의 특별한 원인이

없는데도 발생하는 공간에서는 실내온도를 높여 벽이나 유리의 표면 온도를 높여주면

효과가 있습니다. 창문에 결로가 생겨 온도를 높이면 다른 공간에 결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

 

결로가 발생하기 쉬운 곳이 있습니다.

몇 가지 주의할 점들만 기억하면 결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난방이 안 되는 곳

 

일반적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크면 벽 표면의 결로가 생기기 쉽다고 말하지만 그것보다

방 온도가 낮고 상대습도가 높은 곳에서 생기기 쉽습니다. 즉 난방하지 않은 곳에서 결로가

생기기 쉬우므로 난방을 통해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온을 낮게 하면 바깥 공기와의 온도차가 적어 결로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 일부러

난방을 하지 않고 낮은 온도로 생활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실제로는 역효과입니다.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곳

 

환기가 되지 않고 한곳에 머물러 있는 공기는 결로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실내에서 공기가

움직이지 않으면 벽면에 열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표면온도가 낮아집니다.

 

 

방의 구석진 곳이나 장롱이 놓여 있는 뒤쪽에 결로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치 않기 때문입니다.

 

커튼이나 장롱이 가로막고 있는 벽면이나 액자 뒤편 등은 공기가 원할히 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방의 구석진 곳

 

실내 벽면의 표면 온도는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대류에 의해 방바닥보다 천장 쪽의 온도가

높습니다. 방바닥의 구석진 곳은 다른 곳보다 일반적으로 2~3정도 낮습니다. 특히 겨울

철에는 유리창의 온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표면의 결로가 맨 먼저 발생합니다.

 

 

 

구석진 곳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막히고 열전달도 적어지며 발산되는 열량이 많아 표면온도

가 낮습니다. 이런 이유로 구석진 곳에서 결로가 심합니다. 방의 구석진 곳의 관리가 필요합

니다.

 

이질 자재의 접합부

 

주택 시공에서 이질 자재의 접합부위는 표면 온도에 차이가 생겨 결로가 생기기 쉽습니다.

특히 공법상에서 단열재가 들어가지 않는 곳이나 적게 들어가는 곳에서는 표면 온도가 내려

가 결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골조의 기둥이나 대들보 부분은 단열재가 다른 곳만큼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공간별 결로와 방지대책

 

주택의 공간별로 결로가 생기는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창문의 결로

 

결로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이 창문입니다. 창문의 결로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 방치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방치할 경우에는 커텐이 젖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며 물이 흘러 벽면을 타

고 방바닥에 스며들어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창문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열샤시와 다층유리를 이용해 유리와 샤시의 표면온도를

높여주어야 합니다. 이중창이나 덧문을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특히 결로가 생긴다는

것은 공기가 더러워져 있기 때문인데 환기에도 신경써야 합니다.

 

 

붙박이장의 결로

 

붙박이장이 설치돼 있는 곳도 결로가 자주 발생합니다. 시공할 때 붙박이장이 설치되는 곳

의 단열에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붙박이장을 설치할 때 주변으로 2이상의 환기

공간을 만들어 주고 통풍구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습제나 건조제 등으로 습기를 제거해주고 따뜻하게 해줍니다.

 

욕실의 결로

 

욕실은 물을 사용하는 공간이므로 습도가 높아 곰팡이가 항상 발생합니다.

항상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목욕 후 욕조의 물을 바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 욕조는 뚜껑을 설치하는 것이 좋고 사용 후에는 창을 열어주거나

환풍기를 켜 환풍을 시켜주어야 합니다.

 

부엌의 결로

 

부엌은 조리를 위해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는 공간입니다. 조리 후에는 환풍기를 틀어

조리 중의 수증기나 그을음, 악취 등이 실내에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하실의 결로

 

지하실은 여름철에 결로가 많이 발생합니다. 땅은 지열로 인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 줍니다.

 

여름에 지하실의 벽면은 저온에 가깝기 때문에 벽면에 결로가 생깁니다. 지하실을 창고로

사용할 경우에는 곰팡이가 많이 생깁니다.

 

 

만약 경사진 곳에 집을 지어 부분적으로 지상에 지하실이 있을 경우에는 여름철에 차단해주

어 따뜻한 공기가 실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환기는 오히려 결

로 발생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락방의 결로

 

천장 단열에 문제가 있으면 다락방에 결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이질 자재의 결합부위나 온도가 낮은 부분에 결로가 생기는데 겨울에는 천장 밑,

벽면에서부터 습기가 새어나오므로 수시로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장은 쉽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곰팡이나 얼룩이 생긴 후 결로에 대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이미 안방이나 서까래도 썩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지붕 전체를 수리해야 하는 대공

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시공할 때 처마 밑에 환기구를 설치해야 하고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합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