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내집짓기 - 주택 하자보수 알아보는법
도담채 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5 | 조회 1766 | 2017.01.19 11:15 | 신고

내집짓기 - 주택 하자보수 알아보는법

 

벽체크랙(갈라짐)

 

벽체의 크랙은 시공상의 잘못도 있지만 여러가지의 원인이 있다.

 

1.건조수축

크랙카바제로 보수하고 도장마감을 하면 어느정도 보수가 되었다고 본다.

2.창문틀주위

문틀고정후 보수완료

3.지반침하

기초보강후 크랙부위 깨어내후 몰탈접착후 마감완료(기온에 따라 물축임)

4.미장

미장바름을 한번에 두껍게 바른경우에 생기는 크랙은 깨어낸후

여러번 덧발라 마감하면 된다.

 

--------------------------------------------------------------------

문짝의 뒤틀림을 알아보는방법..

먼저 뒤틀어 졌다고 생각하는 문을 몇번 열고 닫는다.

그리고나서 문의 대각선 길이를 두번 재서 비교해 본다.

두개의 길이가 똑같으면 문의 변형은 아니므로 문에 달린 정첩에

기름칠을 해준다.

무거운문을 정첩 2-3개로 받쳐주므로 처진경우가 있다.

기름칠이 되어있는 나사를 조아주거나 교체해준다.

문에 무거운것을 걸어두거나 아이들이 매달리는것을 방지해야 한다.

 

--------------------------------------------------------------------

아파트 단열공사(간략한 시공방법입니다. 전문가용)

 

아파트 단열공사

-1층바닥에 스치로폴30t(30mm)정도 설치.

-지하 천정은 20t(20mm)정도의 암면뿜칠

-측세대 욕실벽은 스치로폼,주방 측벽에도 70t(70mm) 정도의 암면을 시공.

-옥상층바닥에도 스치로폼을 2겹정도 다른사이즈로(50mm,30mm) 시공한다.

측벽단열 순서는

바탕처리-시공먹놓기-지지핀설치-단열재시공-석고보드시공

* 바탕처리방법

벽체의 cone 구멍을 막고 tiepin을 필히 제거한다.

이물질과 먼지를 처리한다.

창호주위는 우레탄폼 시공

* 시공먹 시공

주방,거실,침실의 시공 한계선을 점검한다.

골조의 수직,수평을 확인하여 시공두께에 맞게 먹줄을 놓는다.

* 지지핀 시공

석고보드 규격에 맞게 가로900mm간격으로 본드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 단열재 시공

단열재를 꽉 채워놓고 틈이 없도록 한다.

* 석고보드 시공

띠 스티로폼과 지지핀 덮개 위에 석고본드를

바른 다음 군데군데 가볍게 두드려 부착한다.

 

--------------------------------------------------------------------

 

방문이 닫히지 않을 때...

**세가지 원인이 있다.

 

하나.

방문짝이 휘어졌을(밴딩) --방문교체

1.시공전에 자재를 관리할때 세워놓거나,기대어 놓아서 휘어짐,

2.사용중인 문이 휜경우는 항상 방문을 열어놓고 사용할시(욕실문)

 

.

방문짝이 처졌을 때--경첩풀고 재 조임

1.나사를 풀고 난 후 나사구멍에 나무젓가락으로 구멍을 메운다.

2.얇은합판이나,우유팩을 경첩크기만큼 잘라서 문틀에 댄다.

3.피스로 고정완료

.

문틀이 휘었을 때--문틀고정 앙카 작업

1.문틀을 손등으로 두들겨보면 소리가 나는쪽이 고정이 탈락된 곳이다.

.

방문짝이 조금 처졌을 때--경첩으로 조정

1.경첩에 드라이버를 집어넣고 문을 닫은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제껴가며 조정

2.필히 요지(이쑤시개)를 집어넣어 주기바란다.

 

--------------------------------------------------------------------

결로 및 방지법..

*결로란?

 

내부의 온도가 이슬점[露點] 이하로 떨어져 물체 표면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

공기 중에는 약간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양은 같은 기압 아래서 온도에 따라

최대한도가 정해져 있다. 어떤 온도의 공기가 그보다 차가운 벽에 접촉하여 기온이 내려갔다고 하면,

이 공기의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올라간다. 그것이 이슬점[露點]에 이르면 수증기는 물방울이 되어 벽면에 맺힌다.

건물 내부는 일반적으로 옥외보다 온도가 높고, 수증기를 발산시키는 근원이 많기 때문에 안팎의 온도차가 크며,

또한 환기를 자주 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결로에 의한 건물의 피해가 문제될 때가 있다.

 

*결로 방지법

 

이론적인 방지법 : 옥내의 환기나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공기가 정체되는 것을 피한다.

1.방의 결로(물방울 및 곰팡이)

방의 벽체에 생기는 결로(물방울)은 환기 및 벽체에 단열공사를 해야 한다.

 

2.발코니의 결로

벽체에 무늬코트 등의 유성도료로 도장하거나 단열공사를 해야 한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