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는, 다양한 풍경이 있는 집
도담채 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4 | 조회 3956 | 2017.01.19 11:25 | 신고

 


집으로 숲을 이룬 마을 중턱목멱산과 인왕산이 바라다보여 이름 지어진 목인헌이 있다.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는 그곳에는오늘도 다양한 풍경이 일상이 되어 공존한다.

 

 

 


 


↑ 리노베이션 전 목인헌의 내외부 모습

 

목멱과 인왕이 보이는 내사산의 응봉자락마치 집으로 숲을 이루고 있는 것

같은 풍경의 중간허리쯤에 목인헌이 위치한다성곽 아래 동네에 숨은 듯,

목인헌은 그곳의 일상 그리고 풍경처럼 스며들어 있다이 높이에서 바라보는

서울의 경관은 좌측 목멱의 길게 누운 듯한 모습과 우측의 인왕의 당당한 기세를 길게 펼쳐볼 수 있는,

매우 드문 체험을 제공한다비슷한 규모의 집들이 불법으로 증축한 혹들을 달고

층층이 겹치고 쌓이면서 시간과 함께 만들어 낸 마을의 모습은 이제 서울에서도 보기 드문 풍경이다.

 

 


 

↑ 꽃 그림 계단 골목과 새 옷을 입은 목인헌이 조화를 이룬다.

 


↑ 경사지의 다양한 레벨과 시간사람들이 만들어낸 일상적 풍경

 

<공사 전>

 

 


↑ FRONT ELEVATION

 


↑ RIGHT ELEVATION

 

<공사 후>

 


 

↑ FRONT ELEVATION

 


↑ RIGHT ELEVATION

 

1958일제강점에서 해방된 후 낙산 성곽과 이화장 사이의 서쪽 사면에 수

십 채의 현대식 타운하우스가 들어섰다지역의 역사를 일상으로 담고 있는 서울 성곽

아랫동네는 뜨거운 서향 햇빛이 수평으로 그림자를 드리우는 고도에 30~45도의 경사지.

사람이 살기조차 어려워 보였으나주택영단(주택공사의 전신)의 주도하에 우리

기술로 지은 신식 2층 집이 새로운 역사와 일상을 시작했다.

 

작은 집들은 가파른 산지에 높은 축대와 골목을 형성하면서 층층으로 풍경을 만들며 배치되었다.

그렇게 시작한 낙산 성곽아래 이화동 마을은 수도와 연탄 보급이 어려운 산동네의 특성을

보이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모이는 동네로 바뀌어 갔다면적과 높이를 임의로

확장하고 증축하면서 독특한 형태의 마을로 진화하였다법과 제도가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던 당시필요에 의해 너도나도 처마 밑을 확장하고 2층 외부를 방으로 만들면서

골목을 제외하고는 빈 땅이 없을 정도로 거의 모든 집들이 확장되고 팽창되었던 것이다.

 

지금의 이화동은 벽화마을로 더 많이 알려진 동네다이곳의 시공간은 지금도 1960

정도쯤에 멈추어 있다. 2006낙후된 마을 분위기를 바꾸려 시작한 공공디자인사업으로

낡고 퇴색한 마을의 골목과 담에 진한 화장이 입혀졌다예쁘라고 그린 형형색색의

그림들로 무엇을 감출 수 있을까이곳에는 그림으로 덮을 수 없는 사람들의 일상이 있었고,

산동네가 만든 독특한 풍경이 있었다골목과 사람마을이 원래 가지고 있었던 생명력,

그것이 마을을 유지하는 힘이었다그로부터 수년이 지나 시간의 마술이 다시 한 번

작동하면서 골목과 벽화도 어느덧 일상처럼 마을의 한 풍경으로 자리 잡았다

(요즈음은 이곳에 외국관광객까지 줄을 서서 사진을 찍으며 그들의 추억을 남긴다).

 

뉴타운의 광풍이 불어 재개발 조합까지 결성된 이 마을에, 2012년부터 뜻있는 사람들이

마을가꾸기에 나섰다주민과 함께 천천히 발전되어가는 마을필요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는 마을,

현재의 골목 일상과 마을풍경이 유지되는 마을을 꿈꾸는 일이 시작되었다.

 

 


↑ 60여 년간 견뎌온 어진 나무의 흔적그리고 철거 전 나온 철재 못과 애자.

 


↑ 1층 출입구 홀 전경지붕과 콘크리트 벽체 부분은 기존 재료를 노출했다.

 


↑ 2층에 위치한 방

 


↑ 창을 통해 바라본 인왕산의 경치

 


↑ 2층으로 오르는 단정한 계단실

 


↑ 곳곳에서 옛것과 새것의 조화가 엿보인다.

 


↑ 발코니에서 바라본 난간 너머 도시의 파노라마

 


↑ PLAN - 1F, PLAN - 2F

 

건축가의 디자인이 매순간 무엇인가를 선택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이라면,

목인헌의 리노베이션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설계의 비중이 크고기존 공간을

들어내고 덧붙이는 선택과 결정이 많이 필요했던 과정이었다.

 

먼저 60여 년 동안 임의로 진행된 증축공간을 들어내고 1958년에 지었던 원형을

확인하고자 했다새것과 옛것의 표현즉 시간 표현을 위한 마감 재료와 색,

새로운 기능의 추가도시를 바라보는 경관마을을 구성하는 풍경인자로서의

자세와 대응에 대해 고민해야 했다그것은 일상으로서의 풍경과 물리적

실체로서의 건축에 대한 표현을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이며건축가로서

어느 정도의 깊이로 개입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였다.

 

마을의 다른 집과 마찬가지로 마당이나 외부공간을 모두 증축하여 방으로

사용하고 있었던 집 목인헌은 1층 30, 2층 15의 2층 구조에 단열 없이 6인치 블록 한 장으로

벽을 쌓고 ''자형 지붕틀에 박공지붕이 올려져 있었다이화동 마을의 집들은

증축으로 외형이 바뀌는 과정에서도 이 집은 초기에 지은 2층 주택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목인헌 내부는 1958년의 목재가 60여 년 인고의 시간 동안 나무 본연의 생물적

힘을 이기지 못하여 뒤틀리고 틈이 생기는 과정을 거치며 온순하고 어질게 되고,

이제는 얌전하게 제자리를 잡고 있는 상태다내부에 사용된 1950년대 생산되었던

시멘트블록의 벽체와 목재를 껍질도 벗기지 않은 채 사용했던 목조지붕틀은

이 집이 가지고 있는 시간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다일제강점기에 서구식

건축기술을 습득한 목수나 조적공의 기술은 단순하고 투박했으나천장 안의

지붕 목구조는 시간이라는 마술사 덕에 오히려 훌륭하고 멋진 모습으로 남아 있었던 것이다.

 

이곳에서는 좌측으로 목멱산(남산의 옛 이름)과 우측으로 인왕산,

그 사이의 도시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그래서 목멱과 인왕이 보이는 집,

'목인헌'이라 이름을 지었다아울러 이 집에는 젊음을 누르지 못했던 나무들이

뒤틀리고 갈라진 흔적으로 드러난다. 60여 년 전 껍질도 못 벗은 채 이곳에 와서,

콘크리트와 못에 강제되고 추위와 더위에 노출되어 온몸을 뒤틀며 힘으로 저항했던

나무그들이 60년의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이제는 어질대로 어질어져 있었다.

나무가 어질어진 집어진 나무의 집그래서 다시 한 번 '목인헌(木仁軒)'이라 불러본다. (참고)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