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경매/투자] [Weekly Taein] 농지 형질변경에 수반되는 농지보전부담금
부동산태인 홍보팀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983 | 2017.04.06 13:47 | 신고

농지 형질변경에 수반되는 농지보전부담금! 

배보다 배꼽이 클 수도...




A씨는 지목이 전인 토지를 6,600㎡(2,000평) 갖고 있습니다.

농사짓기도 힘들고 남에게 맡기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여유자금 조금 들여서 태양광 발전소를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요즘은 태양광 사업도 시원치 않다는 평이 있지만, 사업검토를 하는데

몇 가지 비용이 들어간다고 해서 알아보기로 합니다.


먼저 지목이 전(田)인 농지이다 보니 농지전용(農地轉用)을 해야 합니다.

공시지가가 ㎡당 20만원대라서 농지전용비용을 계산해보니 3억9600만원이 나왔습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것 같아 깜짝 놀랐습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개발부담금이라는 것이 더 붙는다는데...

이건 더 골치 아프다고 하는군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농지나 임야를 개발할 때 비용이 수반되는데...

크게는 농지보전부담금이 있고 또 하나는 개발부담금이 있습니다.


오늘은 농지보전부담금에 대해서만 살펴보고 나머지는 추후 게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농지보전부담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지에 공단을 조성하는 등 농지나 산림지를 다른 목적으로 전용할 때 부과하는 것이 전용부담금입니다. 1992년 2월 22일부터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에 의해 ‘전용부담금’이라는 명칭으로 신설됐습니다. 기업이나 개인이 농지와 산지에 집을 짓는다든가 근린생활시설을 만들 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이들의 투자기관이 공공시설을 설치할 때 부과됩니다. 농지를 훼손하면 대체농지를 만들게 됩니다. 따라서 농지를 전용한 자가 낸 전용부담금은 대체농지조림이나 농어촌 관리자금으로 쓰입니다. [참고 : 농지 및 산지 전용부담금 (한경 경제용어사전)]


그럼 농지보전부담금의 부과기준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농지법 시행령 53조>


농지보전부담금을 계산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농지보전부담금 = 농지면적(㎡) × 개별공시지가(㎡)의 30%

그런데 개별공시지가의 30%가 50,000원을 넘으면 최대 50,000원만 적용합니다.


이 경우,

농지보전부담금 = 농지면적(㎡) × 50,000원/㎡

가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토지면적이 6,600㎡이고 공시지가가 100,000원/㎡이라면

농지보전부담금 = 6,600㎡ × (100,000원/㎡ × 30%) = 1억9천8백만원

을 내야 합니다.


같은 토지 6,600㎡의 토지 공시지가가 200,000원/㎡이라면...

공지지가의 30%가 60,000원으로 기준인 50,000원을 넘기 때문에

농지보전부담금 = 6,600㎡ × 50,000원/㎡ = 3억3천만원

을 부담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농지보전부담금은 분납할 수 있을까요?

농지법에 따라 정부투자기관이나 지방공사 및 산업단지의 시설용지로 농지를 전용하는 경우 등 농지전용으로서 농지보전부담금을 한 번에 내기 어려운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될 시에는 농지보전부담금을 분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분납할 때 나눠 낼 농지보전부담금에 대한 납입보증보험증서를 미리 예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농지보전부담금 제도가 올해 2016년 1월 21일부터 기존 허가 후 납부 방식에서 허가 전 납부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농지전용 협의 후 농지보전부담금 고지서가 신청한 주소로 발송이 되면, 농지보전부담금을 납부하고 영수증을 등록하여야 개발행위허가 처리가 됩니다.


또, 현금으로만 납부할 수 있었던 농지보전부담금이 2017년부터는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로도 납부할 수 있게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농지보전부담금이 환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농지법 제38조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농지법 제38조 5항>


오늘은 여기까지...


그러니까 개발목적으로 땅을 구입할 때 어떤 지목의 땅을 구입할지 구체적인 지표가 될 수가 있는 부분입니다.

자칫 잊어버리기 쉬운 내용이기에 정리를 해 봤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농지보전부담금도 큰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더 큰 부담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 개발부담금입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