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2년 전 구입한 농가 지금까지 혼자 힘으로 수리
주말주택5도2촌동호회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6 | 조회 3112 | 2017.06.20 07:19 | 신고

조성윤 씨는 2년 전 구입한 농가를 지금까지 혼자 힘으로 수리하고 있다. 그간 닳아 버린 목장갑이 수백 켤레에 달하고, 손이며 발이며 곳곳에 상처가 성할 날 없었다. 오로지 '하늘색 꿈'을 꾸며 '하늘색 꿈'을 짓는 열정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90년도 더 된 시골집, 그는 너무 젊은 나이에 주말주택을 갖게 되었다. 이후로는 쉬는 날이면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이곳을 찾아 아침 7시부터 해가 져 깜깜해질 때까지 묵묵히 연장을 들었다.

정선 구석구석 꿈꾸던 마을 찾기

서울에서 편집디자이너로 활동하던 조성윤 씨는, 고향인 정선으로 돌아와 군청의 관광과에서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나이는 35세. 사진과 영상 찍기, 광고 아이디어 등 전공을 살려 열정으로 일하고 있지만, 그에겐 조금 더 특별한 사연이 있다.

"정선으로 내려오면서 전통이 그대로 담긴 옛 마을을 찾아보고 싶었어요. 출장길에 수많은 마을들을 오가도 마음에 쏙 드는 곳이 없다가, 우연히 시내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작은 마을을 발견하게 되었지요. 그리고 대단한 인연이 시작되었습니다."

마을의 행정명은 덕우리, 부락명은 대촌이었다. 10여 가구가 모여 사는 작은 마을은 도로변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로 깊숙이 숨어있는 요새 같은 곳으로, 기암절벽을 등지고 강이 휘돌아나가는 멋진 풍광에 안겨 있었다. 게다가 늘 부지런하고 마을일에 발 벗고 나서는 사람들은 그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큰 마을, 대촌이란 의미는 마을 사람들의 인심을 보고 하는 말 같았다. 아직 개발의 여파가 미치지 않은 대촌 마을. 그는 꿈꿔왔던 마을의 이미지를 이곳에서 펼치자고 마음먹었다.

생각지도 못한 시골집 구입과 개조

우선 마을의 빈 집을 수소문했다. 마침 서울 사람이 주인인 빈 집이 있어 1년여를 설득에 매달렸다. 그의 열정이 주인의 마음을 움직였고 2008년 5월, 5천3백㎡(1천5백여평)의 땅과 50㎡(15평) 구옥이 꿈을 이루는 첫 자산이 되었다. 젊은 나이에 너무 일찍 갖게 된 주말주택이었다. 주변 사람들은 허름한 집의 주인이 된 그를 의아해했다. 시내에 멀쩡한 집을 놔두고 민박으로 돈을 벌기도 힘들 법한 시골집을 찾는 것도 이해가 안 되었다. 그러나 그는 쉬는 날이면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이곳을 찾아 아침 7시부터 깜깜해질 때까지 묵묵히 연장을 들었다.

90년도 더 된 시골집이지만, 애초에 좋은 나무로 신경 써 지은 집이라 기둥과 보는 그대로 쓸만 했다. 이전 주인이 마침 지붕도 개량해 놓아서 벽체와 바닥 공사만 하기로 했다. 해머드릴로 바닥 콘크리트까지 걷어내니 앙상한 뼈대만 남은 집이아슬아슬했다. 그는 건축에는 문외한이었던 터라, 막히는 부분이 있을 때마다 인터넷 검색에 의지해야 하는 외로운 작업이 이어졌다.




"아내가 아침마다 도시락을 싸줬지만, 손도 못 대고 도로 가지고 갔어요. 하루 종일 밥 한 끼 먹지 않고 중노동을 한 거죠. 몸은 성한 데 한 곳 없었지만 마음만은 어찌나 기쁘던지요."

리모델링 공사가 끝나고 나서는 쉴 틈 없이 마당으로 눈을 돌렸다. 입구에 주목을 심고 마사토를 덮고 잔디도 새로 깔았다. 친구들과 우정의 수돗가를 만들어 놓고, 요즘엔 공연장도 마련 중이다. 한옥을 해체하는 곳이 있으면 기와나 고재들을 얻어와 울타리, 배수로 등에 요긴하게 쓰고 있다. 재활용 자재들로 직접 가꾸는 집인 셈이다. 지금까지 수리에 든 돈은 1천여 만원 정도라지만, 그의 노동력과 아이디어들을 합치면 숫자로 헤아릴 수 없는 가치일 것이다.

↑ 01 2년 전 구입 당시의 집의 모습. 전 주인이 지붕은 한 번 손을 댄 터라 다행이었다.

↑ 02 마주보고 있던 창고 2동을 철거했다

↑ 03 벽체 철거 전에 세워 둔 지지대

↑ 04 내부 벽체를 철거하고 천장의 반자도 모두 들어냈다. 기둥은 단 한 개만 썩어 있어 그 부분만 목재로 감싸주었다

↑ 05 외벽과 바닥 철거

↑ 06 정선 흙으로 만든 황토벽돌을 쌓아 구들방을 만들었다. 바닥 구들은 전문가를 불러 시공했다

↑ 07 아궁이 제작

↑ 08 전면의 창호 작업

↑ 09 혼자 하는 굴뚝 작업이 지난하다. 시멘트 벽돌을 쌓은 다음, 외부에는 기와로 멋지게 무늬를 줄 것이다

↑ 10 서까래는 합판으로 감추고, 보와 기둥만 드러나게 했다

↑ 11 가스보일러를 사용하기 위해 바닥 배관을 둘렀다. 구들바닥을 걷어내 그나마 층고가 좀 높아졌다

↑ 12 뒷마당에는 만든 툇마루

↑ 13 현대식으로 화장실 만들기

↑ 14 마사토를 몇 차 붓고 그 위에 잔디를 다시 깔았다. 현관으로 향하는 진입로까지 완성했다

↑ 15 마루의 스테인 작업

↑ 16 구들방에는 특별히 종이장판과 한지로 마감했다

↑ 17 인조잔디바닥을 깔고 하얀울타리를 세워주었다

↑ 18 건물 외벽 하단부에는 와편을 이용해 장식을 했다

↑ 19 개조의 마무리 단계

↑ 20 하늘색 꿈 현판도 만들었다


그라인더로 서까래의 그을음을 벗겨내는 작업, 굴뚝에 기왓장을 쌓는 작업 등은 참으로 지난했다. 그래서 개조가 거의 마무리되고, 아내와 딸을 초대해 구들방에서 첫잠을 자던 날을 잊지 못한다. 지금도 그는 목공이나 도예 등을 계속 수련해 조금씩 집을 가꿔나가고 있다.

 

 

 

 

 

* 우리힘으로 만들어가고, 디자인을하고  함께짓고함께어울려 전원에살아요.

* 한옥,황토집,통나무,목조,스틸,콘크리트,벽돌, 귀농귀촌 정보,,등

   해외,국내 더많은 전원주택 상세전문자료(출처)가 궁금하시면 주말주택5도2촌동호회

 

                                                                                   감사합니다

즐감하시고 아래쪽에 추천한번 꼬~옥 부탁드립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