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정원꾸미기 - 전원생활을 위한 정원만들기..노하우
도담채 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28 | 조회 1952 | 2017.06.23 12:39 | 신고


정원꾸미기 - 전원생활을 위한 정원만들기..노하우



당신을 위한 세상에서 하나 뿐인 전원주택에 가장 어울리는 하나의 정원은 어떤 것이라고 상상하세요..?
직접 정원을 만들어 보고 싶지 않으세요. 도전해 보세요. 꽃과 늑대가 도와드리겠습니다. 
먼저 어떤 정원을 상상하고 계신지 들어 보고 싶군요..?

잔디밭의 푸름이 가득한 정원..?

텃밭이 있는 실용정원..?

큰 나무 그늘에서 쉴수있는 정원..?

꽃과 나비가 있는 정원..?

꽃잎이 흩날리는 무릉도원을 꿈꾸는 정원..?

연못과 수련이 있는 모네의 정원..?

꽃과 색으로 화려한 잉글리쉬가든..?

조각이 있는 예술적인 영감이 있는 정원..?

차를 마시기 위한 다정(茶庭)..?

바비큐 그릴이 있는 즐거운 정원..?

좋은 정원을 만드시기 위해서는 좋은 산책과 사색이 필요합니다.

먼저 동네주변부터 찬찬히 돌아보시면서 우리동네에는
어떤 종류의 나무가 심겨져 있는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나중에 정원작업을 하실 때 어떤 나무(향토수종이라고 합니다)가
잘 자라고 관리가 쉬운지에 대한 정답이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조금씩 범위를 넓혀 가면서 뒷동산까지 여러 번 산책을 하다 보면 나무 뿐만 아니라
길가의 하찮았던 돌맹이, 야생초까지 서서히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일단 보이기 시작하면 애정이 싹트기 시작한 겁니다.
그런 식으로 봇물처럼 솟아나는 애정을 갖게 되면 정원을 만드는 준비는 마친 셈입니다.

다음엔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조용히 떠오르는 풍경이나 느낌을 음미해 보세요.
어릴 적 추억이나 여행에서 보았던 아름다운 풍경들을 모아서 스크랩을 시작하는 겁니다.
앨범을 뒤져 가족 사진을 모으고 일부는 잡지책의 사진들을 오려서 이미지 정원을 만들어 보는 겁니다.

햇빛, 흙냄새, 풀냄새, 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 노랑나비, 쏟아지는 별빛,
어린왕자의 별, 늑대 한 마리, 시베리안 허스키, 백장미, 백라일락, 살구 자두, 계수나무처럼
소중한 하나씩을 모아 가면서 정원은 아름다운 것으로 채워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실제 정원에서는 채움보다는 비움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답니다.
잔잔한 울림이 있는 여백을 만드는 것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 보세요.
아마도 이제부터 당신의 전원주택의 정원에는 색다른 것들로 가득 차게 될 겁니다.

값비싼 정원수나 묘지를 지키던 석물로 채워진 죽은 정원이 아닌
살아있는 생명으로 가득 찬 정원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겁니다.

우리는 자연의 정원사입니다.
직접 정원사가 되어 나무를 심고 꽃을 심고 채소를 기르고 하는 일은
자연의 가치를 몸으로 이해하는 가장 숭고한 일이 될 것입니다.
정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합니다.
정원은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면서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담고 있는 정교한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한번에 세련되고 높은 정원문화를 소유하려는 과도한 욕심을 버리신다면
정원은 그리 어려운 것도 돈이 많이 드는 것도 결코아닙니다.

당신이 조선백자와 고려청자를 구별할 줄 알고 독야청청한 소나무를 본적이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당신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던 정원에 대한 본능을 일깨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원주택을 위한 정원은 돈을 많이 들인 깔끔한 정원보다 자연을 가깝게 끌

어들인 자연스런 정원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요..?
전원주택의 정원에는 공을 들여 가꾼 잔디밭이나 고급스러운 정원수가 그리 아름다워 보이지 않습니다.
정원을 만드는 일은 시간과 함께 일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큰 나무를 옮겨서 새로운 풍경을 만드실 수도 있지만 나무가 커나가는 과정을 지켜 보시면서도
좋은 정원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그럼 전원주택을 위한 정원만들기의 DIY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첫번째,

키가 크게 크는 교목류보다는 꽃피는 화목류와 키작은 화목류를 선택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교목류는 가격도 비쌀 뿐만 아니라 옮기고 심는 데는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수수꽃다리(라일락)과 같은 화목류는 키도 교목이나 관목의 중간

정도여서 승용차로 옮길수도있고 대부분 아름다운 꽃과 향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종류를 계절별로 골고루 심어 보세요.

두번째,

나무와 꽃을 고르실 때는 가족과 함께 식물원이나 수목원을 찾아 가셔서
직접 관찰하고 일일이 이름을 구별하고 구입하도록 하세요.
가능하면 학명이나 품종명까지 알아두신다면 좋겠죠.
그리고 나무를 심고 나서도 이름표를 달아 주세요.
식물의 이름을 일일이 불러서 구분하고 이름을 기억해서 하나 하나 불러 주는 것은
정원만들기를 즐길수 있는 행복한 방법이라고 할수 있죠.

세번째,

지피류와 초화류를 많이 사용하세요.
가능하면 자생화를 사용하시면 좋겠죠.
그리고 신품종의 초화류에도 관심을 가져 보세요.

사실 교목이나 관목보다 지피류와 초화류는 종류가 엄청 많아서 꽃의 색이나 전체의 질감을 잘 섞어서 심는 것은
정원이라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다고 생각할 때도 있어요.
하얀 꽃 만을 심어서 하얀정원을 만들어도 좋구요.
제가 좋아하는 흰색정원(white garden)이나 보라빛정원(violet garden)은 어떨까요..?

네번째,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는 정자목이라고 해서 마을의 어귀에 자연스럽게 자리잡고 있는 멋진 나무를 구경하신 적이 있죠.
정자목으로사용되는 나무는 수명이 긴 나무를 쓰는 것이 요령이구요.
정자목을 정원 한쪽 구석에 구상해 보세요. 그 밑에는 책을 읽거나 바비큐 그릴을 위한 장소를 만드시면 어떨까요..?
심으실 때는 서향의 빛을 가리기 위해 가능한 서쪽에 심는다는 것 잊지 마시구요.
(풍수를 고려한다면 남향집에는 동쪽에 대문을, 남쪽에는 오동(벽오동)을 북쪽에는 대나무를 심어 보세요.)

다섯번째,

나무마다 가족들의 이름을 붙여서 관리를 해주시면 어떨까요..?
그렇게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고 관심을 가져 줄 때 정원은

아름다워질 이유가 있는 거 아닐까요..? 집앞에서 현관까지는 아빠가 관리하는 공간이에요.
전정이라고 하죠. 거실에서 보이는 정원은

주정이라고 해요. 그곳은 아이들과 엄마가 관리하는 공간이에요.
집뒤에 부엌과 가까운 곳에는 후정을 만들어 보세요. 그곳에는 온 식구

가 정성껏 가꾸는 텃밭을 만들어 보세요.
혹 강화도에 사시는 분들이라면 순무를 심어 보시면 어떨까요..?

 

예비 건축주님은 공부를 많이 하셔야 부실공사없는 집짓기가 됩니다
사전에 공부나 준비없이 공사진행하다 미심쩍은 점이 발견되면
그때서 검색하고 공부를 합니다 그때는 이미 늦어버려서
업자와 건축주간에 불신만 쌓여서 공사진행에 차질이 생깁니다

건축주님! 바쁘시더라도 이것만 알고 시작하세요
다음카페 도담채주택 전문카페 오셔서
공지글에 "건축주 이것만 알아도 부실공사는 없다"
최소 3번은 읽어보시고 공사하시면 큰도움이 될거에요 

 

여섯번째,

어쩌면 가장 중요한 정원 만들기의 핵심은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끌어 들이는 것에 있습니다.
전문용어로는 차경(借景)이라

고 하죠. 주변의 풍경과 어울리는 정원이 가장 아름다운 정원이랍니다.
세심한 건축가는 집을 지을 때 땅의 생김새 뿐만 아니라 땅 위에

있던 돌과 나무를 주의깊게 살핀 답니다.
돌하나 바위하나도 그냥 내다 버리지 않아요.
그건 땅과 밀접한 집을 짓기 위한 거랍니다.

일곱 번째,
새와 나비를 정원에 자연스럽게 끌어들이고 모기나 뱀을 자연친화적으로 쫓는방법을 고려하세요.
DIY채널의 홈그린홈 7회에

방송된 적이 있거든요. 나중에 시간나면 요약해서 들려 드릴께요.
아름다운 전원주택은 아름다운 정원으로 비로소 완성된다는 것 아시죠

..? 주제가 있는 정원은 주인(정원사)의 관심과 취향에 따라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 따라 정원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정원은 다국적인 문화적 배경에 의한 다양한 형태와 양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원만들기는 얼마든지 취미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정원

은 예술이라는 것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정원의 취향은 의․식․주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의(衣)는 옷을 입거나 고르는 개

성을 말합니다. 어떤 분은 모노톤의 세련된 스타일을좋아하시는 분도 계실 테고
오일릴리 브랜드같은 화려한 색감의 옷을 좋아하시는 분

도 계실겁니다. 정원도 마찬가지입니다.
정원의 색을 담담한 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대담한 색으로 구성하실 수도 있습니다.

식(食)은 요리에 관심이 있으신 분을 위해 만들 수 있는 정원입니다.
외국에서는 kitchen garden 또는 chef's garden이라고 해서 매우

인기가 있는 정원입니다. 허브가든, 텃밭, 유실수정원이 이런 정원에 해당되죠.


주(住)는 지금 어떤 집에 사시는 가에 따라 정원의 스타일(양식)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잘 어울리죠. 건축가가 지은 집, 황토

집, 스틸하우스, 원목집이 있겠고요 전원풍이나 이태리풍, 미국풍,
그리고 일본풍(?)도 있기 때문에 전원주택의 정원은 이런 것이다라고

이야기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아무튼 정원은 밖에서 보는 풍경이 집과 어울려야 한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집안에서 보는 풍경도 중요하다

는 것을 있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정원의 주제를 정하는 간단한 방법은 하나의 색이나 식물을 중심으로 정원을 만드는 것이죠.
영국의 유명한 정원중에 '화이트가든'이라

는 아름다운 정원이 있습니다. 난을 좋아하시는 분은 난과 식물을 중심으로 정원을 만드셔도 좋지 않을까요..?
이런 정원은 다른 곳에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정원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원주택을 조경 전문가에게 주문하실 때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

설계비는 공사비와 별도로 책정하여 지불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면밀한 설계과정을 거치는 것이 매우 유리하게 때문입니다.
그리고 정원

에 몸을 맞추기보다는 가족의 몸에 정원을 맞추셔야 합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실제로 진행하다보면 욕심이 생기기 때문이죠.

가족의 의견을 모아야 편안하고 쾌적한 정원이 만들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설계단계에서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검토하는 것이 좋습

니다. 그래야 오래도록 정원을 즐기실수 있죠.

조경수의 가격

거래되는 조경수의 가격은 매년 조경수협회나 조달청(관공사)에서 책정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그 가격은 교목의 경우 100본을 기준으

로 하고 일반적인 수형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수형이 좋은 나무를 고르실 때는 2배 이상을 주어야 구입할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

다. 하지만 조경수협회에서 발표한 가격을 참고로 하시면 많이 참고가 되실겁니다. 


조경수 고르기 정보 (신품종을 중심으로)

풍요로움을 주는 나무(有實樹) - 감나무, 자엽자두나무(좋은자두알아보기),
대추나무(빗자루병 주의), 아로니아, 앵도나무, 호도나무,

산초나무, 블루베리


꽃과 향기가 좋은 꽃 피는 나무(花木類) - 매화나무, 수수꽃다리(원예연구소),낙상홍(그린플로라),
별목련(천리포수목원), 꽃산딸나무,

목련(산목련), 모과나무(적성병 주의), 석류나무(자손번창,화분에 심음),
자귀나무(合歡樹라고 하여 부부 금술이 좋아진다는 나무)

꽃이 이쁘고 오래가는 나무 - 산수국(지피식물원), 물매화(노랑색), 미선나무(흰색), 백철쭉(흰색),
박태기(보라색),산수유(노란색), 화

살나무(단풍), 위성류(잎이 잔잔하고 아름다움), 배롱나무(木百日紅, 꽃이 100일동안 붉다는 나무로 여름에 꽃 피는 나무)

꽃이 예쁜 자생화(native plant) - 지피식물원, 한국종묘, 자생화의 홈페이지를 방문.
봄 : 영춘화, 아주가, 하늘매발톱, 술패랭이, 꽃

잔디, 꽃창포, 노루오줌 여름 : 은방울꽃, 원추리, 범부채, 솔나리, 수련(모네의 정원) 가을 : 한라구절초, 벌개미취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