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대문과 담이 없는 고택으로의 여행
느티나무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1821 | 2017.07.10 08:47 | 신고

대문과 담이 없는 고택으로의 여행

고루함을 버리고 실용을 택하다

[내 맘대로 古宅 기행]명재 윤증 선생 고택 ②

 

윤증 선생 고택은 다른 고택과는 달리 대문과 담이 없다. 그 대신 너른 마당 전면으로 누마루가 아름다운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고, 그 뒤로 안채와 대문채, 곳간채, 사당이 위치하고 있다.

 

 

해시계의 기준을 잡던 일영표준(日影標準) 표지석(좌)와 금강산의 작은 모델인 석가산(石假山)(우) - 양길식 제공
해시계의 기준을 잡던 일영표준(日影標準) 표지석(왼쪽)과 금강산의 작은 모델인 석가산(石假山)(오른쪽) - 양길식 제공

윤증 선생 고택을 대표하는 사랑채 누마루에 앉아 멀리 밖을 내려다 보면 마당 중앙에 위치한 샘과 그 너머로 노성면의 논들이 보이는데, 시선을 바로 아래로 내리면 눈에 띄는 것이 두 가지 있다. 바로 석가산(石假山)과 일영표준(日影標準) 표지석이다.

 

작은 돌들로 조성된 이 석가산은 금강산을 모델로 해서 만들어 진 것으로, 몸은 여기 있지만 마음만은 금강산에 있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이런 이유로 사랑채 옆에 ‘도원인가(桃源人家 - 무릉도원의 사람 집, 즉 금강산 무릉도원에 있는 집)’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그리고 윤증 선생 가문이 실용적 학문을 중시했음을 보여주는 일영표준 표지석은 명재 9대손인 이은시사(離隱時舍) 윤하증 선생이 해시계의 영점을 잡아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윤하증 선생은 1910년, 24시간으로 움직이는 해시계를 독자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런 가문의 실용적인 학풍 때문에 명재 선생 종가는 윤하증 선생 때부터 음력 대신 양력을 사용하였으며, 설이나 제사 모두 음력이 아닌 양력으로 지내고 있다.

 

 

사랑채 좌측 누마루에 걸린
사랑채 좌측 누마루에 걸린 '이은시사(離隱時舍)' 편액. 명재 9대손인 윤하증 선생의 별호(別號)이기도 하다. - 양길식 제공

사랑채의 구조는 큰 사랑방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대청, 좌측으로는 누마루와 누마루방이 위치하고 있다. 누마루방 뒤로는 작은사랑방, 다시 좌측으로 안사랑방, 그리고 대문간으로 이어진다. 큰 사랑방에는 윤증 고택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방식의 문이 설치되어 있다.

 

대부분의 문들이 미닫이나 여닫이 방식이지마, 큰 사랑방과 작은사랑방을 연결하는 문은 미닫이와 여닫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미닫이 여닫이 문’이다. 이는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실용성을 중시한 윤증 고택의 가풍을 반영한 것이다.

 

 

현대적인 창호시스템과 유사한 형태의
현대적인 창호시스템과 유사한 형태의 '미닫이 여닫이 문'. 필요에따라 미닫이(가운데)로 문을 열었다가,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할 경우에는 문을 앞으로 미는 '미닫이 문'(오른쪽)으로의 변환이 가능하다. - 양길식 제공

앞마당을 통해 누구든지 사랑채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과 달리, 안채는 사랑채와 대문간으로 외부와 차단되어 있어 외부 사람들이 쉽게 안채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안채의 대청마루에서는 대문간과 내외벽 사이로 대문 앞에 서 있는 사람의 하체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서 집을 방문하는 사람의 성별이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랑채 좌측에 위치한 안채의 대문간, 대문간 문턱 아래로 공간이 있어 안채 대청마루에 앉아서 보면 사람이 오는지,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이 가능하다. - 양길식 제공
사랑채 좌측에 위치한 안채의 대문간. 문턱 아래로 공간이 있어 안채 대청마루에 앉아서 보면 사람이 오는지,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분이 가능하다. - 양길식 제공

대문간으로 들어서면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ㄷ '자 형태로 안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으로는 종부가 거주하던 안방과 웃방, 고방, 정지가 있으며 우측으로는 며느리들이 거주하던 작은 건너방과 건넌방, 그리고 마루방, 작은 정지가 있다.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정지와 고방, 종부가 기거하는 안방이 있고 정면 좌측에 있는 방은 시어머니가 기거 하는 방이다. 우측에는 며느리들과 딸들이 거주하는 방이다.  - 양길식 제공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은 정지와 고방, 종부가 기거하는 안방이 위치하고 정면 좌측에는 시어머니가 기거하는 방이 있다. 우측은 며느리들과 딸들이 거주하는 방이다. - 양길식 제공 출처 동아사이언스 양길식 기자  

 

안채 우측 며느리들이 기거하는 방 뒷채 모습. 사랑채에서 뒷채로 통하는 작은 쪽문이 있어 결혼후 주로 사랑채에서 머물던 아들이 부모님의 눈을 피해 아내를 만날 수 있었다고 한다. - 양길식 제공
안채 우측 며느리들이 기거하는 방 뒷채 모습. 사랑채에서 뒷채로 통하는 작은 쪽문이 있어 결혼 후 주로 사랑채에서 머물던 아들이 부모님의 눈을 피해 아내를 만날 수 있었다고 한다. - 양길식 제공

 


 

 



 

농가주택,시골집 수리하기,전원주택 .통나무, 목조,주말 주택.컨테이너,이동식주택.세컨드 하우스.황토주택 귀농,귀촌 ,강원도 ,횡성 부동산의 모든것이 산골 전원주택 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한번의 추천 과 칭찬은 글 쓴 저희를 춤추게 한답니다.

산골 생활 20년의 노하우가 아래에 다 있습니다.

더 많고 다양한 정보를 보시려면 아래 영문 카페주소를 릭하세요.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