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인테리어/DIY] 디자이너 아내가 꾸민 컬러풀한 협소주택
느티나무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2 | 조회 1576 | 2017.07.27 10:08 | 신고

 

디자이너 아내가 꾸민 컬러풀한 협소주택


 공릉동 Heimish


동남아시아 여행, 보헤미안 스타일을 좋아한다는 의상 디자이너 아내가 주도한 협소주택 짓기. 비비드 컬러로 존재감을 높인 밝고 화사한 이 가족의 러브하우스.


 협소주택 Heimish의 측면. 다양한 소재를 믹스해 고벽돌의 단조롭고 무거운 분위기를 잡아냈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대지면적 : 109.4㎡(33.09평)

건물규모 : 지상 4층

건축면적 : 61.04㎡(18.46평)  |  연면적 : 157.95㎡(47.78평)

건폐율 : 55.8%  |  용적률 : 144.38%

주차대수 : 3대  |  최고높이 : 13.44m

공법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철근콘크리트

구조재 : 벽, 지붕 - 철골철근콘크리트

지붕마감재 : 징크  |  단열재 : 비드법보온판 2종2호

외벽마감재 : 고벽돌, 징크패널, 스터코, 갈바늄

창호재 : 영림새시

에너지원 : 도시가스

시공 : 웃음건축 송제권

설계 : 한우리건축사사무소 하상수 |  소담재건축사사무소 이병성


 건축주의 취향에 맞춰 빈티지 스터코로 마감한 계단실은 임대세대와 독립적인 느낌을 주기 위 해 난간을 하나하나 끊어서 연결성을 주지 않았다.   /   신축보다는 리모델링을 선호할 정도로 오래된 집의 느낌을 좋아한다는 건축주. 시간이 지날수록 따뜻한 느낌을 낼 수 있는 붉은 고벽돌 위주로 건물의 외부를 마감했다.  


도착한 순간, 취재진을 당황케 한 육중한 볼륨의 빨간 벽돌집. 협소주택이 아니라 빌라에 찾아온 게 아닌가 하는 생각에 주소를 다시 확인해 봐도 이 집이다. 남들보다 협소주택 좀 가봤다 자부하던 에디터를 깜짝 놀라게 만든 외관은 오각형에 가까운 대지 모양과 외장재가 만들어 낸 착시효과일 뿐, 사실은 건축면적이 채 20평이 안 되는 건물이다. 이 집에는 12년 차 의류디자이너이자 의류브랜드 ‘날으는 물고기(www.flyingfish33.com)’의 대표인 박주영 씨와 남편 이현기 씨, 18개월 된 딸 해솔이가 살고 있다.

주택에 걸린 노란색 현판 ‘Heimish(아늑한)’에 대한 배경을 물으니 외관에 노란색 포인트를 주고 싶었는데, 딱히 더할 요소가 없어 현판을 걸기로 정하고 이름을 급하게 지었다는 아내. 이 집, 왠지 색에 관해서라면 대단한 사연이 있을 것 같다.

“옷을 디자인할 때도 색을 중요하게 여겨요. 집도 마찬가지죠. 집에 들어오면 밝고 즐거운 느낌을 받기를 바랐어요. 제가 좋아하는 동남아시아 여행에서 받았던 기억을 하나씩 떠올리며 컬러를 지정했어요.”


1층은 주차장과 출입문으로 구성했다.


놀이방은 아이방과 거실의 미닫이 문을 열면 한 공간처럼 연결된다. 아내는 동남아시아 여행지에서 사온 패브릭을 커튼삼아 걸어 두었다. 


SECTION     PLAN - 3F (61.04㎡) / PLAN - 4F (24.35㎡)


분홍색 침구와 요즘 트렌드인 열대식물 프린트 천으로 커버를 씌운 소파가 돋보이는 안방. 소파는 틀과 쿠션을 각각 의뢰해서 제작했고, 커버는 주영 씨가 직접 만들었다. 


하늘 아래 같은 색상이 없다고, 같은 ‘파랑’이라도 컬러 스펙트럼과 각자 떠올리는 이미지가 달라 색에 대한 소통이 가장 힘들었다는 아내. 청록색으로 지정한 출입문이 에메랄드로 칠해져 아내가 페인트 조색을 지켜보며 다시 칠한 에피소드도 있다. 그녀가 좋아하는 비비드 컬러로 포인트를 줄 수 있도록 실내는 밝고 깨끗한 색감을 베이스로 인테리어 했다. 그러면서도 어린 해솔이를 위해 벽체는 알프스월로 마감하고, 문과 창틀은 자작나무로 제작하는 등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는데도 신경 썼다.

협소주택의 미덕은 아주 작은 공간조차 알뜰하게 쓰는 것. 공간배치에도 심혈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전층을 가족의 집으로 지으려던 계획이 예산 문제로 난관에 부딪혔다. 부부는 2층을 원룸 두 칸으로 만들어 임대를 주고, 주어진 3,4층 내에서 집을 짓는 것으로 변경했다. 따라서 공간안배 역시 큰 과제로 남았다.


계단실에는 나무를 엮어 만든듯한 이케아 펜던트 조명을 달아 자연스럽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  현관에는 나뭇가지에 밝은색 실을 감아 걸어 방문자에게 환영의 의미를 전달한다. 욕실 문 앞의 천장 부분은 투명하게 처리해 자연 빛을 끌어들였다.  


자작나무 천장과 흰색 벽을 베이스로 전등과 페브릭으로 포인트를 준 주방  


• COLOR POINT •

의상 디자이너인 주영 씨는 자신이 좋아하는 디자인과 색을 집에 담기 위해 시공사와 끊임없이 소통했다. 그 결과 탄생한 분위기 살리는 이 집의 색상 포인트.




취재_이아롬  |  사진_변종석

출처 월간 전원속의 내집 

INTERIOR

내벽마감재 : 알프스월, 벤자민무어

바닥재 : 구정 맥시강 아트오크, 아트화이트

욕실 및 주방 타일 : 윤현상재 수입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바스, 이케아

주방 가구 및 계단난간 : 자체 제작

조명 : 이케아, 자체 제작

계단재, 방문, 아트월 : 자작나무 자체 제작

현관문 : 단열 방화문

데크재 : 뉴테크 합성우드

주차장 천장 : 수입 루버

계단실 : 빈티지 스터코


애교 많은 딸 해솔이가 가장 좋아한다는 옥상에서 보내는 가족의 일상


“협소주택이라고 예산을 너무 적게 생각한데다 저희가 디자인 욕심이 많아서 비용이 계속 추가됐지 뭐예요. 그래도 저희 집이랑 똑같은 자재들로 임대세대 인테리어도 예쁘게 했더니 전세금이 꽤 높게 책정되었어요. 지금 사시는 분들도 만족도가 참 높고요.”

자재와 색, 디자인 모두 이국적인 스타일을 제시한 부부는 수많은 과제를 던져줌에도 단 한번도 No를 외치지 않고 취향에 맞춰준 동갑내기 시공사 대표가 참 고마웠다. 하지만 건축주와 시공사 모두 자재의 특성을 완전히 이해하고 선정한 것이 아니라 살면서 겪는 시행착오도 있다. 알프스월은 아이의 건강에 좋지만 벽에 기댈 수 없을 정도로 가루가 많이 묻어났고, 욕실 앞 채광을 위해 일부를 투명하게 처리한 천장 부분에 결로가 생기는 하자가 발생해 최근 보수했다. 부부에게 가장 불편함을 주는 건 바로 주방 상판. 디자인적 요소만 고려해 나무로 했는데, 나무 틈으로 물 스밈이 심하단다. 그래도 전보다 청소를 많이 하게 돼 깔끔한 습관을 안겨주었다. 에디터는 이 부부에게도 협소주택 건축주를 만나면 늘 묻는 질문 하나를 던졌다. 바로 협소주택에서의 삶이 불편하지는 않은지.

“청소할 때마다 이 집도 참 넓다는 걸 느껴요(웃음). 우리한테 맞춰서 설계한 집이니 불편함 보단 만족도가 더 높죠. 그리고 살다보니 동네가 참 중요하더라고요. 우리 집이 역세권인데다 주변에 초•중•고등학교가 있고, 주민센터도 있어요. 그래서 새 아파트도 부럽지 않아요.”

이제야 아이와 집 근처 공원에 산책도 다니며 동네 풍경을 만끽하며 산다는 이 가족. 집안 곳곳에 집을 짓던 기억과 앞으로 쌓을 추억에 하루하루가 즐겁다.

“이 집에서 1년을 살았는데요. 그동안 할 일이 참 많았는데 이제 어느 정도 정리가 됐어요. 그래서 저희는 요즘 이런 말을 해요. 우리집의 피크는 지금부터다!”  



 

 



 

농가주택,시골집 수리하기,전원주택 .통나무, 목조,주말 주택.컨테이너,이동식주택.세컨드 하우스.황토주택 귀농,귀촌 ,강원도 ,횡성 부동산의 모든것이 산골 전원주택 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한번의 추천 과 칭찬은 글 쓴 저희를 춤추게 한답니다.

산골 생활 20년의 노하우가 아래에 다 있습니다.

더 많고 다양한 정보를 보시려면 아래 영문 카페주소를 릭하세요.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