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머문이의 삶을 기억하는 곳 장락골 농가
월영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6 | 조회 2797 | 2017.08.28 08:56 | 신고

머문이의 삶을 기억하는 곳 장락골 농가

 

폐자재를 기둥과 서까래 삼아 지은 농가 한채, 건축주는 그초라한 폐가에 반해 강원도 홍천에 눌러앉아 리모델링을 시작했다. 옛 틀을 살려둔 채 조화롭게 고치고 나니 사람은 바뀌어도 세월을 담은 기둥과 서까래는 그대로다.


  

12평 남짓의 'ㄱ'자 형 구조의 농가. 투박하게 나무를 깎은 자국을 보니 낫질로 다듬어 집을 지은, 가난한 이의 농가였으리라 짐작할 뿐이다. 건축주는 이 집을 사서 장장 15년간 개조에 매달렸다. 화가인 본업을 잊을 정도로 집 고치는 매력에 푹 빠져 살았다는 그. 폐허였던 농가가 이씨의 눈에는 정감있는 조형물로 보였으니 스스로 생각해도 '콩깍지가 단단히 씌인'때였다. 그는 밑그림을 그려가며 벽체를 헐고 기울어진 기둥들을 바로 세워 복구를 시작했다. 

 

 

마당과 집을 웨워싼 돌담은 하루에 1~2cm씩 작업량을 정해 천천히 쌓아올렸다. 근처 강가에서 적당한 크기의 돌을 구해와 올리는 식이었다. 이렇게 돌담을 쌓는데 1년이 걸렸고, 뒤뜰의 석축과 바닥돌을 까는데 또 2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간 이 집의 주인 행세를 하며 자리잡고 있던 느티나무는 어느덧 10여년의 세월이 흘러 안마당에 짙은 그늘을 선사하고 있다. 실내도 부단히 변화를 준 요소들이 눈에 띈다. 욕실과 방 사이의 숨은 공간과 현관에 들어서면 주방이 보이지 않게 둔점 등이 재미나다.


 

 

그에겐 작업을 할 때 나름의 방침이 있다. 옛 것에 손대지 않으면서 기존 것과의 조화로움을 맨 우위에 둔다. 삐딱하게 기울어 비정형의 멋을 풍기는 문과 창살도 이러한 기준이다. 귀틀집 형태의 본채에는 황토모르타르와 목재사이딩, 핸디코트, 돌 등 다양한 외벽마감재를 사용해 각 면마다 색다른 분위기를 드러낸다. 지붕은 기와를 올릴 생각이었지만, 하중으로 인해 무광 플라스틱기와로 대체했다. 안정되고 차분한 느낌을 전해주면서 무게도 가벼워 이 집에는 제격이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