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명품 전원주택 구입하는 요령 [1]
자연의소리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 | 조회 988 | 2017.12.18 09:43 | 신고

1.대도시와 교통망이 잘 연결되었거나 신설.확장 계획 있는 곳을 택합니다.

도로 신설 계획만 있고 착수하지 않은 곳은 땅값이 크게 오르지는 않았지만,

길이 나면 땅값이 오르므로 투자가치도 높은 곳입니다.

 


2.출퇴근의 교통수단이 승용차라 하더라도 전철노선이 있거나 계획중인 곳을 택합니다.

전철노선이 생기면 거기에 맞춰 고속도로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3.주변경관을 중시하여 산이 있고 강이 보이는 곳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조건을 갖춘 곳은 드물고 있다하더라도 땅값이 높습니다.

산이든 강이든 하나만 택하도록 합니다. 산도 강도 없다면 탁트인 곳을 택합니다.

 


4.산 그림자가 지는 응달은 피하이 좋습니다.

응달이 지면 봄.여름.가을에는 좋을지 몰라도 겨울에는 햇빛도 잘 안들고

무엇보다도 눈이 오면 잘 녹지 않고 빙판이 생깁니다.


5.람이 세지 않은 곳을 택해합니다.

바람이 거센 허허 벌판이나 산등성이를 고르게 되면,

여름에는 시원하지만 겨울에는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6.강이나 저수지와 지나치게 가까우면 안개가 많이 낀다는 것을 염두해 둬야 합니다.

안개가 많이 끼면 일조량과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좋지 않습니다.

또 비가 많이 오면 물이 범람해 물에 잠길 수도 있습니다.

 

7.마을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을 마을 사람들이 거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마을 한가운데로 가는 것도 보기 좋지 않을 뿐 더러 자유로운 전원생활을 즐기기에는 눈을 많이 탑니다.

산비탈에 약간 비켜선 곳이나 마을 가장자리좋습니다.


8.안전을 생각하여 마을과 지나치게 동떨어져 있는 곳을 피합니다.

가능하면 소재지 중심가에서 30분정도는 되는 곳에 있어야 물품을 사러가기도 편합니다.


 

9. 확보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길이 나 있어도 사유지라면 통행을 사전에 허가 받아야 하고,

새로 길을 내야 한다면 땅을 파는 사람에게 토지사용 승낙서나 합의각서를 받아 주도록 요구해야 합니다.

 

 

10.주변에 오염원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강이나 개울 상류에 폐수를 내보내는 공장이나 축사가 있다면 물 뿐만 아니라

파리와 모기도 많이 모이게 되므로 좋은 곳이라고 할수없습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