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주택 지붕의 종류 - 서양 건축의 다양한 지붕 형태 [1]
도담채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1724 | 2018.01.06 12:53 | 신고

주택 지붕의 종류 - 서양 건축의 다양한 지붕 형태


웅장하면서도 경건함이 묻어나오는 아름다운 한옥 지붕에 이어서 오늘은 현대 우리나라에서도 주로 사용되는,
서양 건축의 다양한 지붕 형태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게이블지붕
(Gable Roof)



첫 번째로 소개해드릴 서양 지붕 형태는 우리나라에서는 박공지붕으로 불리는 '게이블 지붕'입니다.
게이블은 기본적인 지붕형태로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지붕양식인데요,
그리스에서는 신전 건축에 시공하는 장식적 요소로 페디먼트라는 박공식 벽을 사용하였는데,
파르테논 신전과 같이 고대 신전에 주로 사용되면서 고전 건축의 전형적인 모티브가 된 지붕이랍니다.^^

   


갬브럴 지붕
(Gambrel Roof)



갬브럴 지붕은 박공지붕의 일종으로 경사면이 2단으로 나누어진 형태입니다.
다락을 넓게 하기 위해 미국 동부지역과 캐나다에서 주로 사용하던 양식으로,
사진과 같이 용마루에서 두 단으로 꺾여내려오는 무난한 경사면과 가파른 경사면 두 단락으로 나뉘는 형태입니다.

   



멘사드 지붕
(Mansard Roof)



멘사드 지붕은 윗면이 평지붕으로 이루어 져있으며 경사면이 한 단으로 내려오는, 정면과 측면 모두 사다리꼴을 한 형태와
갬브럴 지붕과 마찬가지로 2단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형태가 있습니다.
1600년대 유럽에서 유행하였으며 다락공간을 비교적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예로부터 그 고급스러운 형태와 세련된 모습으로 귀족들이 좋아하던 지붕형태랍니다.^^

  


플랫 지붕
(Flat Roof)


플랫지붕은 우리나라에서 평지붕으로 불리는 지붕 형태입니다.
평지붕은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아주 약간의 경사를 가진 평평한 지붕으로,
지붕 형태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구조를 띕니다.

  
힙트 지붕
(Hippet Roof)



힙트지붕은 우리나라 한옥 지붕 중 우진각 지붕과 같은 형태입니다.
지붕면이 사방으로 경사를 짓고 있으며 측면에서는 삼각형, 예비 건축주님! 공부를 하셔야 부실공사없는 집짓기가 됩니다.사전에 공부나 준비없이 공사를 진행하다가 미심쩍은 점이 발견되면 그때서 검색하고 공부를 합니다. 공부를 하는순간 아는것이 병이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건축정석 시방서대로 공사하는 업자는 거의 없거든요.건축주가 아는많큼 업자와 갈등이 생깁니다.건축주님! 집짓기전에 핵심만 공부하세요!다음카페 도담채주택 전문카페 오셔서 "건축주 이것만 알아도 부실공사는 없다"최소3번만 읽으면 부실공사 없읍니다.건축주 이것만 알아도 부실공사 없다⇒ 도담채 주택전문 다음카페정면에서는 사다리꼴 모양을 띕니다.멘사드 지붕의 1단 경사면과 흡사하나 멘사드는 측면과 정면이 모두 사다리꼴인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쉐드 지붕
(Shed Roof)



쉐드 지붕은 경사면이 한쪽만 있는 형태로, 평지붕과 비슷하나 그 경사면이 평지붕보다 가파르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주로 높은 건축물에 많이 쓰이며 건축물을 더 높아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로 일조권 사선제한 등의 이유로 쉐드지붕을 시공하기도 합니다.

이미지출처 : Terada House / Mizuno architecture design association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