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월세 장터] 보유세 인상 시기.방법.수단만 남았다. [1]
산수유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4 | 조회 664 | 2018.01.08 18:48 | 신고

강남집값이 벌써 20억원대를 넘어서고 있다는 소식에 이를 잡는숫법이 최종무기가 보유세 카드라고 합니다.

신용카드도 아니고 체크카드도 아니란 말입니다. 지방선거 이후에 결과가 나올 모양새이지만

설왕설래하는 마음들이고 모두들 보유세인상에 찬성쪽이 많은것은 사실입니다.

많이 가지지 못했으니 배아픔 티를 내는것이죠.


그러나 살고있는 주택에 소득도 발생치 않고 집값이 인프레 현상으로 상승했다고 미실현 소득에 대한 세금은 문제가있음에도 묻히고 말았습니다...모두들 주택에 살고 있으니 보유세 인상을 찬성한님도. 더 많이 올려라.소리친님도 모두가 부담해봐야 실감하는 일들일것입니다. 반대보다도 찬성댓글이 많은것이 특징입니다.


 

참여정부시절엔 자동차 보다 주택의 보유세가 적다고 한님도 있었죠.~~ 무지가 극에 달한님이였죠.

자동차는 무거운 보유세외에 휘발류에 엄청난 소비세까지  몽땅 부담하지만 싫어면 팔고

대중교통이용할수 있는 대체수단이 있지만 ~~

 

 주택은 그럴수 없는 상품인것을 잊은것이죠. 저출산을 해결할려는 의지도 부족합니다.

아이를 많이낳고 행복한 살림을 할려면 좀더 넓은주택이어야 하는데 종부세가 가로막았죠.

  무조건 세대당 적든 크던 한채식 있어야 살아가는데 지장이 없는 국민기본권리인 상품이 주택입니다.

이 상품을  세금걷는 도구로 사용하는 진보정권을 무척이나  도와주는님이 넘~ 많아요.


누가 그러데요. 70%중-서민층이 도와주고 있음이  만천하에 들어나고 있다고

30%가 벌어먹이고 있는 나라라고.... 근로자의 48% 가 소득세 한푼내지 않는 나라입니다.

산수도 못하는 국민입니다.

벌써.원전공사 일시중단으로 1천억원 까먹고. 수선비8천억원 들여 30년 재가동예정인

월성원전 스톱(페기)으로 8천억원 허공에~~..합이?


산수를 못하는 나라인가? 수학천재가 모인 나라라고 소문났는데 어째~~~

좀 이해가 가지않는 일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모두가 자승자박하는 모양새임에도 전혀 눈치를 못채고 있는것 같기도 하고

한참이나 뜸을 들였으니 보유세는 무조건 인상됨니다. 방법과 수단.시기만 남았죠. 


난몰라~ 집많은 부자들이니 세금많이 내야제~

난 전세살이니 해당안되~

 

보유세 왕창올려라..배가 넘~  너무아파~

수천개의 댓글.

그세금...최종적으로 누가 부담하남? 생각좀해야 하는데......

이런 판세가 오늘의 대한민국 자화상입니다. 

 

18년 4월 집값 폭등설? 

 500조원에 이르는 유동성자금이 어떻게 진로를 바꿀것인가에 따라... 가능성이 있는 썰~입니다.

강남집값(30평대) 22억-23억원(압구정은 벌써 30억원을 넘어섰고) 강남 집값.. 6-8억원 상승할때

잠실 롯데타운 123층에서 광역버스로 35분거리인  

경기도 남양주 평내지구  33평 2억6천.25평 2억3천.한푼도 상승하지 않았으요 ?

잠실에서 45분거리인 경기도 의왕은? 32평 3억2천만원 겨우 3천만원 상승했죠.

혹시나 강남쪽에 몰려가는 돈이 그긴 규제가 많으니 외곽으로 오지나 않을까? 기대하는 여론~~

 이게 4월 집값 폭등설이죠


주택보급율이 100% 넘어섰습니다.

집이 모자라 가격 상승이 아니라는것이죠

초저금리에.시중의 유동자금이 너무 많이 풀려 있다는것을 알아야 재태크 잘하는 님이죠.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