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내집짓기 - 좋은 집터를 선택하는 방법
도담채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 | 조회 997 | 2018.01.09 09:29 | 신고

내집짓기 - 좋은 집터를 선택하는 방법


1. 땅기운

좋은 조건

1. 산맥기의 여기가 있고 경사가 5。~20°정도의 완만하고 평탄한 터

2. 주변 산들이 수려하고 산자락이 감아 도는 안쪽의 터

3. 주변의 집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하며 뒤쪽이 높고 앞쪽이 낮은 터

4. 대문 입구의 진입로가 약간 낮거나 평탄한 터

5. 물이 집 뒷쪽으로 흐르지 않는 터

6.좌우나 또는 앞쪽으로 물이 터를 치고 흐르거나 개울이나 강뚝이 접하지 않는 터

7. 큰 차가 다니는 대로가 멀리 있는 터


나쁜 조건

1. 골짜기를 메우거나 고른 터

2. 늪, 웅덩이, 쓰레기등의 매립지, 모래 땅

3. 산이 흘러가는 등성이를 고른 터

4. 경사가 급한 산을 절개하여 축대를 높게 쌓은 터

5. 좌나 우로 경사진 땅을 고른 터

6. 산 자락이 배역하는 산 옆구리의 터

7. 주변산이 흉한 모습인 곳

8. 절벽위나 절벽아래 터

9. 뒤쪽이 낮고 앞쪽이 높은 곳

10. 대문입구의 진입로가 높은 터

11. 집 뒤가 허물 허물하여 무너질 위험이 있는 터

12. 깎아지른 듯한 절벽, 높은 언덕이 전후의 어느 곳에든지 있는 집이라면 집안에 겹쳐서 싸움, 시비, 소송이 잦아지게 되면 큰 화를 겪게 된다.

13. 초목이 잘 자라지 않는 땅, 산은 별장이나 전원주택지로 부적합하다.

14. 집안이 망해서 나간 집터나 별장을 사들이면 자신도 그와 같은 처지가 될 확률이 높다.

15. 예전에 물레방앗간, 대장간이었던 곳은 지기가 너무 강해서 자칫하다가는 집안이 패가망신하여 몰락할 수 있다.

16. 감옥, 전쟁터, 도축장이었던 곳은 주택, 별장을 지을 공간으로 사용해선 안된다.


2. 공기

1. 공기의 오염이 없고 청정하고 안정된 곳을 택하라

2. 소음이 없는 곳을 택한다.

3. 사면 팔방의 산이 잘 짜여져서 에너지 장이 잘 형성된 곳을 택한다.(이런 곳은 공기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4. 3의 조건이 완전하지 않더라도 북서풍을 피할 수 있는 곳을 택하라.

5. 골바람과 팔풍이 치는 곳을 피하라

6. 도로에 의한 골목바람이 직사하는 곳을 피하라.


3. 물

1. 물이 청정하고 용수가 충분한 곳

2. 물이 감아 돌면서 흘러가는 곳

3. 물이 구불구불 흘러와서 모였다가 돌아서 흘러 가는 곳

4. 땜이 가까이 없는 곳

5. 물이 직래하거나 옆으로 와서 집터를 치거나 스치고 지나가지 않는 곳

6. 물이 직거하지 않는 곳

7. 배수가 잘 되는 곳

8. 큰 수맥이 통과하지 않는 곳


4. 일조시간

1. 양지바르고 일조시간이 긴 곳

2. 남향일 때는 뒷산이 높고 북향일 때는 뒷산이 낮은 곳

3. 동향일 때는 앞산이 낮고 뒷산이 높으며 서향일 때는 앞산이 높고 뒷산이 낮은 곳

4. 높은 건물이 햇빛을 가리지 않는 곳

5. 큰 나무가 햇빛을 가리지 않는 곳


5. 집터의 모양

1. 집터 모양이 가장 이상적인 것은 세로가 1일 때 가로의 길이는 0.721의 비율이 가장 이상적이다.(0.577 ~0.866의 중간임). 이러한 직사각형의 모양이 만약 전면이 약간 좁으면 진취적인 형이라고 해서 더욱 좋다. 그러나 너무 좁으면 흉이 된다.

2. 전면이 넓고 후면이 좁은 사다리형의 터는 후퇴라는 모양이라서 흉이 된다.

3. 정사각형의 터는 정지된 형태로써 흉이 된다.

4. 세로의 길이가 좁고, 가로의 폭이 넓은 터는 좌우로 왕래하는 형태로써 아주 흉이 된다.

5. 삼각형의 터는 아주 대흉이 된다. 이렇게 생긴 터에는 부득이 건물을 지어야 한다면 튀어나온 부분을 짤라서 집을 지어야 한다.

6. 원형의 터에 원형의 집을 지어서 생활할 수 있다면 아주 이상적이다. 왜냐하면 응축된 핵에너지는 원형 에너지가 충만하고 안정된 곳이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 같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예비 건축주님! 공부를 하셔야 부실공사없는 집짓기가 됩니다.

사전에 공부나 준비없이 공사를 진행하다가 미심쩍은 점이 발견되면

그때서 검색하고 공부를 합니다. 공부를 하는순간 아는것이 병이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건축정석 시방서대로 공사하는 업자는 거의 없거든요.

건축주가 아는많큼 업자와 갈등이 생깁니다.건축주님!

집짓기전에 핵심만 공부하세요!다음카페 도담채주택 전문카페 오셔서

"건축주 이것만 알아도 부실공사는 없다"최소3번만 읽으면 부실공사 없읍니다.

건축주 이것만 알아도 부실공사 없다⇒ 도담채 주택전문 다음카페.


상생상극과 오행원리에 의한 주택의 기본 배치도

방위

관련 구조

오행

해당 가계

식당. 침실. 현관. 어린이방

목(木)

과일가계

남동

부엌. 주부의방. 서재. 침실

목(木)

예식장

어린이방. 안방

화(火)

안과

남서

현관. 응접실. 가재도구실

토(土)

쌀가계. 산부인과

침실. 욕실. 세면장

금(金)

목욕탕

북서

현관. 차고. 가사실. 욕실. 노인방

금(金)

금은방. 시계방

세면장. 욕실. 식품보관소

수(水)

수산업. 주류업

북동

현관. 식당. 욕실. 부엌. 가사실

토(土)

복덕방

 


양택 8방위는 동·서사택을 구분하는 기준이며 주역 8괘와 5행이 어우러져 의미로 해석한다


양택에는 8방위가 적용된다. 이 때문에 집 방향이 8개로 나눠진다. 나경으로 역시 측정한다. 나경은 음·양택 방위 측정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셈이다. 양택 방위는 음택 24방위를 3개씩 일괄적으로 묶는 형태를 취하니 8방위가 된다. 그 방향은 동(東), 서(西), 남(南), 북(北), 북동(北東), 동남(東南), 남서(南西), 서북(西北) 등이다.


나경상으로 동은 묘(卯), 서는 유(酉), 남은 오(午), 북은 자(子)로 정해진다. 북동은 간(艮), 동남은 손(巽), 남서는 곤(坤), 서북은 건(乾)이다. 이 나경상 글자는 각 8방향의 정중앙(正中央)에 있다. 이것을 8개 각 방향의 기준으로 본다. 여기에 좌우로 나경상 글자가 하나씩 더 붙어 양택의 한 방향이 되는 것이다.


갑묘을(甲卯乙)이 동, 경유신(庚酉辛)이 서, 병오정(丙午丁)이 남, 임자계(壬子癸)가 북이 된다. 마찬가지로 축간인(丑艮寅)이 북동, 진손사(辰巽巳)가 동남, 미곤신(未坤申)이 남서, 술건해(戌乾亥)가 서북으로 정해진다. 재미있는 점은 이 8방위에 주역 8괘의 의미가 더해진다. 또 하도낙서의 수로서 생수(生數)와 성수(成數)가 적용된다는 것이다. 생수는 '처음 시작하는 숫자'란 뜻이며 여기에 5를 합한 것이 '완성된 숫자'란 의미의 성수로 알려져 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