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복받는 전원주택 풍수의 모든 것 (내부)
자연의소리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996 | 2018.01.11 09:40 | 신고

·내부의 평면배치

- 안방

 

침실은 사람이 7∼8시간 동안 가사(假死) 상태로 잠을 자는 공간으로 주택 내부의 기가 왕성한 곳에 배치해야 피로가 풀리고 활력도 되찾는다. 여기서 안방은 주인의 휴식과 부부 생활 그리고 아기의 생육(生育)을 담당하는 공간으로 기가 가장 왕성한 공간에 배치해야 한다.

  그런데 실내의 평면 배치에서 안방이라 하면 안방의 중심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안방으로 출입하는 방문의 방위를 말하며, 현관을 통해 들어온 기가 거실의 무게중심에서 각 방으로 공급되는데, 안방은 방문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실의 중심에서 보아 현관의 방위와 안방 문의 방위가 풍수적으로 길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다음은 현관과 안방문의 관계 중에서 연년택과 생기택에 해당되는 것을 예로 제시한다.

==================================================
    현관의 방위          안방 문의 방위
==================================================
    震方          巽方(벼락부자,공명현달,아들생산), 離方(夫婦和樂, 家道繁昌)
    巽方          震方(官運速發, 秀才壯元), 坎方(夫婦和樂, 부귀영화)
    坎方          離方(夫婦正配), 巽方(子孝孫賢, 官運大吉)
    離方          坎方(福祿壽, 아들생산, 子孝孫賢), 震方(官運, 秀才壯元,부귀)
    艮方          兌方(夫婦和睦, 長壽, 少年登科), 坤方(공명현달, 夫婦長壽)
    兌方          艮方(집안화목, 관운, 부자), 乾方(후손번창)
    乾方          坤方(夫婦和樂, 아들생산), 兌方(재물운, 자손번창)
    坤方          乾方(長壽, 夫婦和睦), 艮方(長壽, 子孝孫賢)
-----------------------------------------------------------------------------------

  만약, 안방의 위치가 풍수적으로 불길하다면 거울과 관엽식물 또는 그림 등으로 비보해 줄 수 밖에 없다. 거울은 기를 반사시킴으로 살기를 막아주어 풍수상 살기의 순환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관엽식물은 기를 복돋아 주어, 정서불안이나 초조감을 덜어주며, 뿐만 아니라 초록색은 시력도 좋게 한다. 또 그림은 안정된 정서와 주인의 품격을 높여 타인의 존경을 이끌어낸다. 다만 소품의 위치와 크기가 중요하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진 : 기가 복돋아 준 침실 (외국의 사례) ]

 

 

- 거실

 

현대 주택의 거실은 고택의 대청과 같은 역할이나, 쓰임은 대청에 비해 다양하면서 매우 빈번하다. 또 가족실이라 칭할 만큼, 귀가 후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이다.

  생활의 중심 공간으로, 가정의 화목을 담당한다. 그럼으로 현대 주택의 거실은 가족의 숫자와 기능면을 고려해 위치와 크기가 결정되는데, 여기에 풍수적인 문제가 있다. 즉, 거실은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으로 사람이 활동함으로써 가사상태에서 잠을 자는 침실 공간보다 풍수적 영향력이 떨어진다.

  다시 말하면 잠을 통해 생활 활력을 되찾는 침실보다 풍수적으로 덜 중요시 되는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실을 침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여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거실은 풍수적으로 침실에 기를 공급하는 중심점으로써의 위치와 크기가 풍수적으로 길함이 우선이다. 앞뒤가 바뀐 꼴로 고정관념을 깨어야 지금보다 더욱 빨리 피로를 풀고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

  그러다면 거실의 위치와 크기를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가장 우리의 체질과 인성에 적합한 공간으로 꾸미는 것일까? 그 해답은 우리 조상들이 산 고택의 대청에서 찾아야 한다. 현대와 같이 생활의 편리성만 극대화된 거실이 아닌 체질과 인성에 맞는 생활 공간이 되어야 한다. 풍수적으론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현관을 통해 들어온 기를 각 방으로 공급시키는 중심점으로써 위치가 방위적으로 길해야 한다. 즉, 모든 방을 흉지가 아닌 복지로 만들 수 있는 위치가 우선이다.

  크기는 현관으로 들어온 기를 적당히 담아 사람이 자연 상태에서 숨을 쉬는 것처럼 편해야 한다. 너무 좁으면 압축된 공기를 사람이 마시는 격이고, 너무 넓으면 느슨한 공기를 마시는 꼴로 모두 흉하다. 자연 상태의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환풍이 좋아 항상 신선한 공기가 순환되어야 한다. 조상들은 방문에 한지를 발라 내외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배려했다. 사람은 수면 중에 20리터의 신선한 공기가 한 시간에 필요하다. 고택의 방은 자연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만 콘크리이트나 블록으로 지은 집은 몇 시간이 걸려야 자연 환기가 된다.

  [사진 : 정원이 보이는 거실 (외국의 사례) ]

 

 

 

- 부엌과 식당

 

 부엌은 음식을 만들고 먹는 공간으로 식록(食祿)과 관계되는 공간이다. 사람의 건강과 병은 음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으로 부엌은 가족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양택삼요』에서도 부엌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대문은 기가 출입하는 곳이고, 부엌은 식록이니 부엌과 대문이 모두 귀중하다. 사람들이 이 이치를 가벼이 보나, 무수한 집이 대문과 방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부귀를 누리나, 다만 이상한 질병에 시달리는 것은 모두 부엌이 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병은 대개 음식에 따라 생기므로 부엌이 길하면 자손이 번성하고, 부엌이 흉하면 자손이 없다. 여러 번을 시험해도 백발백중함으로, 그래서 부엌을 양택의 한 요소로 삼은 것이다. 부엌이 현관문과 어떤 방위로 위치해야 좋은 기를 받는 지 아래에 설명한다.

==================================================
    현관의 방위          부엌의 방위
==================================================
    震方(동방)          離方, 巽方
    巽方(동남방)        坎方, 震方
    坎方(북방)          巽方
    離方(남방)          震方
    艮方(북동방)        兌方
    兌方(서방)          艮方, 乾方
    乾方(서북방)        坤方, 兌方
    坤方(남서방)        乾方, 兌方
-----------------------------------------------------------------------------------

  또 부엌 아궁이(가스레인지)의 향은 동쪽과 동남향이 좋은데, 이것은 木은 동쪽이면서 나무이고, 오행상으로 火를 낳기 때문이다. 또 부엌은 남서방에 두는 것이 흉한데, 부엌은 물을 많이 사용하는 곳으로 부정한 설거지를 한다. 남서쪽은 이귀문에 해당되어 부정한 것을 꺼린다. 남서방의 부엌은 남풍이나 남동풍이 부는 여름에 열기, 음식 냄새가 집안으로 퍼지고 또한 화재의 위험도 높다.

[사진 : 부엌과 식당 ( "내가 꾸민 APT 인테리어-라사라패션정보" 이미지 인용)]

 

 

 

- 아들방

 

동양인의 아들선호사상은 유별난 오랜 가족관념이다. 딸보다 아들에게 더 큰 가치를 부여한 것은 가계 계승이란 목적 때문으로 아들이 없다는 것은 가계의 단절, 즉 절손을 의미하여 전통사회에서는 여자에게 칠거지악(七去之惡)을 적용하여 이혼 사유가 되었다.

  그럼으로 여자들은 이혼 자체보다는 가계를 이을 수 없다는 불안감과 조상에 대한 죄책감으로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아들 낳기를 기원하였다. 지금은 이러한 의식구조도 점차 변하고 있다.

  아들은 대개 성격이 도전적·호전적이며, 외향성과 능동성을 가진다. 따라서 집 내부에 남자다운 기를 받는 방에 아들의 방을 두어야 그 아들이 신체적 내지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자라난다. 아들을 음기가 강한 방에 기거시키면 기를 펴지 못하고 소심해진다.

  풍수적으로 아들방은 현관의 위치에 따라 다음의 위치가 길하며, 이 역시 아들방의 중심이 아니라 방문의 방위로 판단한다.

==================================================
    현관의 방위          아들 방문의 방위
==================================================
    震方(동방)           巽方(장원급제), 離方(공명현달)
    巽方(동남방)        震方(동량재목), 坎方(연속급제)
    坎方(북방)           坎方(재운), 巽方(관운), 離方(부귀)
    離方(남방)           巽方(仁義), 震方(수재장원), 坎方(충효현량)
    艮方(북동방)        兌方(소년등과), 乾方(발부발귀), 坤方(공명현달)
    兌方(서방)           艮方(장원급제), 乾方(재운)
    乾方(서북방)        艮方(부귀), 坤方(부귀)
    坤方(남서방)        坤方(부귀), 乾方(부귀)
-----------------------------------------------------------------------------------

  재미있는 속설들로, 예전에 아들 낳기를 기원한 민간의 풍습으론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고 한다. 석불의 코를 떼어 가루로 만들어 먹는다. 코는 남성의 성기를 의미한다거나, 비석의 글자 중 子, 男, 文, 武, 仁, 義, 智, 勇, 劍, 筆의 한자를 파내어 가루로 빻아 먹는다.

  또 아들 난 집의 금줄을 떼어다 방에 걸어두거나, 밥을 지어 먹거나, 금줄에 부착된 고추를 떼어다 간장을 담가 먹는다. 그외 아들 낳은 산모의 월경대나 속옷을 얻어 아랫배에 감고 다니거나, 아들 낳은 집의 부엌 칼을 훔쳐 허리끈에 매고 다니거나, 아들 낳은 집의 수저를 훔쳐 베개 밑에 감추기도 했다고 한다.

  [사진 : 공부방 ( "내가 꾸민 APT 인테리어-라사라패션정보" 이미지 인용)]

 

 

 

- 딸방

 

딸은 결혼하기 전 까지는 부모의 슬하에서 자라는데, 대개 가정적·평화적이며, 내향성과 수동성을 떠올리게 된다. 따라서 집 내부에 여자다운 기를 받는 방에 딸방을 두어야 그 딸이 신체적 내지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자라난다.

  전통적으로 딸은 출가 외인을 전제로 하여 가사나 예절, 복종을 가르쳤고, 온순과 인내를 기대하였다. 남녀가 평등한 현대에는 맞지 않지만 여자다운 신체적 특징과 인성을 고려할 때 딸방은 현관과 더불어 다음의 방위에 두면 길하다. 이 역시 딸방의 중심이 아니라 방문의 방위로 판단한다.

==================================================
    현관의 방위          딸 방문의 방위
==================================================
    震方(동방)           離方(女秀), 坎方(女善)
    巽方(동남방)        坎方(女秀)
    坎方(북방)           巽方(女秀)
    離方(남방)           震方(女秀), 巽方(女仁)
    艮方(북동방)            -
    兌方(서방)           艮方(女秀)
    乾方(서북방)            -
    坤方(남서방)            -
-----------------------------------------------------------------------------------

  풍수상으로 여자에 대한 배려는 출가를 전제로 했기 때문에 면밀하게 연구하지 않아 길한 방이 없는 경우도 있다. 다만, 노인이 거주하면 장수를 누릴 길한 방이 있음으로 그 방 역시 딸방으로 좋은 곳이라 생각된다.

  [사진 : 공부방 ( "내가 꾸민 APT 인테리어-라사라패션정보" 이미지 인용)]

 

 

- 노인방

 

노인방은 巽方(동남)과 離方(남)이 좋은데, 햇볕은 노인에게 보양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볕이 잘 드는 남향이 좋고, 남동쪽은 아침 해가 들어 일찍이 기침하는 노인방으로 제격이다.

  또 노인방은 가족의 방과 너무 멀어서는 안되며, 2층보다는 아랫층이 좋다. 2층의 경우는 계단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고 난간은 필히 있어야 한다. 화장실과의 거리는 짧게하고, 가능하면 방안에 전용 화장실을 두는 것이 편리하다.

  또 난방은 안정성을 고려하고, 뜰이 보여 간단히 나설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역시 노인방도 방문과 현관의 방위를 판단하여 길한 방을 정한다.

==================================================
    현관의 방위          노인방 방문의 방위
==================================================
    震方(동방)           離方(壽高百旬)
    巽方(동남방)            -
    坎方(북방)              -
    離方(남방)           坎方(福祿壽)
    艮方(북동방)        兌方(百壽)
    兌方(서방)           艮方(長壽)
    乾方(서북방)        坤方(百壽)
    坤方(남서방)        艮方(長壽)
------------------------------------------------------------------------------------

  [사진 : 노인방 ( "내가 꾸민 APT 인테리어-라사라패션정보" 이미지 인용)]

 

 

 

- 욕실

 

현대 주택은 욕실 내에 화장실을 두며, 따라서 현관문과 욕실의 문이 일직선 상에 놓이면 항상 부스럼 병을 않는다.

  화장실이 현관의 정면에 버티고 있으면 남의 눈에 띄는 것이 손님이든 집안 식구이든 기분이 불쾌해진다.

  또 욕실은 艮, 坤방에 두면 나쁜데, 북동은 귀문, 남서방은 이귀문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귀문·이귀문은 물이나 부정한 것을 꺼리고, 따라서 더러움을 씻는 욕실을 그 방위에 두면 흉하다.

  북동방은 겨울에 찬바람이 들고, 또 햇볕이 안들어 습기가 찬다. 또 욕실을 집의 중앙에 두면 흉한데, 집의 중심은 가장의 방이 위치해야 길하고, 불결하고 부정한 욕실을 집 한 가운데에 두면 집 주인의 몸이 약해진다.

  [사진 : 욕실 ( "내가 꾸민 APT 인테리어-라사라패션정보" 이미지 인용)]

 

 

 

- 계단

 

계단은 집의 중앙에 설치하지 않음이 원칙이다. 계단을 가운데에 두면 집을 둘로 갈라놓아 단일성이 깨지며 가족의 행복에 금이 간다.

  중앙은 소중한 곳임으로 거실 등 중요한 방을 배치해야 한다. 위층이 주로 개인 방이나 침실이어서 프라이버시를 중히 여긴다면 현관 안쪽이나 식당·부엌 근처에서 올라갈 수 있게 설치한다.

  욕실이나 화장실을 침실 가까이 만든 경우도 이 위치가 편리하다. 이층이 손님 방이거나 프라이버시가 그다지 문제되지 않는다면 현관에서 직접 올라가게 하는 것이 편리하고 공간의 이용에서도 효율적이다.




  [사진 :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외국 사례) ]

 

 

 

 

 

· 가구배치와 인테리어

- 침대의 위치와 방향

 

방안에 침대를 두는 위치는 풍수적으로 침대보다는 사람이 누워 자는 위치가 중요하며, 나아가 사람의 코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 지를 판단하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는 기가 사람의 내부로 출입하는 통로이며, 코의 위치가 기의 순환 중에서 길한 곳을 택해야 사람이 건강하고, 피로가 풀리고, 활력를 되찾기 때문이다. 때문에 방안에서 침대를 두는 위치는 방의 무게중심에서 방문과 코의 위치를 방위적으로 판단해 상호 길한 방위를 택하는 쪽으로 침대를 설치한다.

  현대주택을 보면, 방문이 달린 벽면과 반대쪽 벽면 중에서 반대쪽 벽면에 장롱이나 옷장을 설치하고, 방문의 벽면 쪽에 침대를 둔다. 침대는 방의 한가운데서 방을 가로질러 놓거나, 또는 창문쪽으로 벽면과 평행하게 놓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머리를 창쪽으로 두거나 또는 방문쪽으로 두는 경우가 있다. 즉, 방안에서 머리를 두는 장소는 방의 가운데에서 방문쪽 벽면이거나, 창가쪽이거나 또는 방문쪽을 향하는 세가지이다.

  이 중에서 어디에 머리를 두어야 좋은 가는 전적으로 방문을 기준으로 머리의 위치가 연년택, 생기택, 천을택, 복위택, 천의택에 해당되는 방위이고, 그 방위에 맞게 침대를 설치하면 된다. 물론 여기에도 머리를 두는 방위에 따라 발복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다음과 같다고 본다.

==================================================
    방문의 방위          머리의 방위
==================================================
    震方          離方(부부애정, 가도번창), 巽方(영재, 부귀)
    巽方          坎方(부부애정, 재운, 관운), 震方(관운, 영재)
    坎方          巽方(子孝孫賢, 관운), 離方(부부애정)
    離方          震方(관운, 영재), 離方(건강)
    艮方          兌方(부부애정, 영재, 재운), 坤方(관운, 건강)
    兌方          艮方(재운, 영재, 건강)
    乾方          坤方(부부애정, 부귀), 兌方(재운)
    坤方          艮方(건강), 乾方(부부애정, 건강, 효도)
-----------------------------------------------------------------------------------

  [ 사진 : 침대의 위치를 잘 설정하였다 (외국 사례) ]

 

 

 

 

- 책상의 위치와 방향

 

아들방과 딸방에 책상을 두는데, 학생들의 방은 먼저 집중력을 높혀주는 일이 중요하다. 방안은 커튼을 이용해 약간 어둡게 하고, 창문은 작아야 좋다. 창문이 크면 밖을 바라보거나, 집을 떠나 여행을 가고픈 생각이 들어 집중력이 떨어진다.

  또 성장하는 시기 임으로 방안의 기운이 활기차고 기가 충만하여 성장에 알맞은 기의 공급이 충분해야 한다. 현대에는 컴퓨터가 책상의 한쪽을 차지하고, 컴퓨터에서는 전자파가 나옴으로 전자파의 피해를 줄여주는 것도 아이들의 건강에 중요하다.

  여기서 청나라 때에 확립된 풍수 이론을 현대의 공부환경에 적용하기엔 어딘가 무리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수재가 된다는 방위가 있으니, 방문과 책상에 앉은 학생의 머리를 방위적으로 판단하여 상호 길한 방위에 책상을 배치함이 중요하다.




==================================================
    방문의 방위          책상의 방위
==================================================
    震方          離方(登科), 巽方(甲科最利)
    巽方          坎方(甲科連續), 震方(甲科及第)
    坎方          震方(갑과연속), 巽方(총명)
    離方          震方(甲科最利, 수재 장원)
    艮方          兌方(소년 登科)
    兌方          艮方(갑과급제)
    乾方               -
    坤方               -
-----------------------------------------------------------------------------------

  [ 사진 : 능률을 향상시키는 책상 (외국의 사례) ]

 

 

 

- 실내 인테리어

 

주택 내의 인테리어에 대해서는 풍수 경전이나 풍습으로 전해지는 것이 거의 없다. 이것은 실내 꾸미기가 현대에 들어 새롭게 생긴 것으로 과거는 침실에 되도록 옷장, 농, 궤 등을 두지 않는 것을 길하게 여겼다.

  침실의 넓이와 개방감을 해치기 때문이고, 장식이 많은 집은 흉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겉치레가 화려하고 사치한 것은 마치 마지막 불꽃을 피우는 촛불처럼 곧 쇠망할 징조로 까지 보았다.

  또 겨울에 창·천장·벽 등에서 찬바람이 나오는 외풍을 막아야 괴이한 꿈에 시달리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역시 현대 주택은 단열재가 좋아 외풍이 불지 않으니, 염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실내 인테리어에 대해 근래 미국에서 부는 양택 풍수에 대해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 常綠廣葉樹은 기의 흐름을 순화시키고, 정서를 안정시키고, 피로를 풀어준다.
  ★ 木局의 경우 벽지는 푸른 계통을 도배하고, 스탠드 조명은 붉은빛이 나도록 한다.
  ★ 金局의 경우 벽지는 흰색 계통을 도배하고, 스탠드 조명은 노란빛이 나도록 한다.
  ★ 火局의 경우. 벽지는 핑크색 계통으로 도배하고, 스탠드 조명은 노란 빛이 나도록 한다.
  ★ 水局의 경우 벽지는 회색 계통으로 도배하고, 스탠드 조명은 흰빛이 나도록 한다.
  ★ 자녀의 공부와 정서안정·병자의 치료·승진·재물·부부의 사랑 등 바램이 있다면, 그에 따라〈맞춘인테리어〉를 설계한다.
  ★ 에어컨 실외기의 소음을 차단한다(공부 방해, 정서 불안, 두통)

 [사진 : 스탠드 조명 (외국의 사례) ]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