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0일자로 다음 부동산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그동안 서비스를 이용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종료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다음 부동산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 오늘 하루 보지 않기
부동산 위치와 입지는 두 가지. 투자자와 실수요자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다. 투자자가 바라보는 입지(위치) - 1. 안전한 위치(접근성↑) - 인구흡수력이 높다 2. 위험한 위치(접근성↓) - 인구흡수력이 낮다 실수요자가 바라보는 시각 - 1. 물리적으로 안전한 위치 2. 물리적으로 위험한 위치(입지) 결국, 부동산 매수자는 두 가지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 있다. 물리적으로 위험한 위치가 투자자입장에서 투자가치가 떨어지는 건 아니다. 개발계획이 수립된 지경이라면 상황이 반전 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실수요 명분의 매수자는 물리적 안전성에 지배 받는다. 물리적 안전성 - 현재가치 투자 위치 - 미래가치 모델하우스 - 하우스푸어의 발화지점(개미들 아지트) 실체(실상)와 거리가 멀다. 실수요가치만 강조할 수 없는 공간. 왜? 실체가 아니므로. 허상이기에 과대포장이 필요한 것이다. 프리미엄을 강조한다. 강력하게 요구한다(강요). 예를 들어 산 조망권과 물 조망권을 강조하는 것이다. 투자가치를 강조하지 않으면 청약률과 계약률을 높일 수 없다. 모델하우스는 개발청사진이나 조감도와 진배 없기 때문이다. 모델하우스의 위치는 허상. 실물위치와 거리가 멀다. 모델하우스의 특징 - 화려함과 거대함 유지 신도시 속 신도시 존속 현상 - 난개발 존속의 이유. 공급과잉과 하우스푸어의 발화점이다. 예) 강북지역 '상계신도시' |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