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인구증가지역과 가격상승지역의 격차 격파!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 | 조회 199 | 2018.08.29 11:30 | 신고



투자자는 투자하기 전에 주의 깊게 볼 사안이 많지만 국토 지도 역시 상세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안 될 주요사안 중 하나다.

그 중심엔 고수가 존재한다.

하수도 있다.

두 사람 간 보는 눈의 면적 차가 크다.





고수의 국토 분류법


1. 인구증가지역 - 잠재력↑

2. 인구감소지역 - 지속성↓

3. 인구불변지역 - 지속성↑(국토 대부분을 차지)



하수의 국토분류법


1. 가격상승지역

2. 가격하락지역

3. 가격정지지역(역시 국토 대부분을 차지한다)



가격구조와 인구구조는 사뭇 다른 성질.

하나는 결과요 하나는 과정이므로.

인구의 특성과 변화에 따라 가격의 크기가 정해지는 게 순리다.

인구증가지역과 인구감소지역의 투자가치는 극과 극.

가격구조는 작위적이므로.

사람들이 가격구조를 만든다.



인구와 사람은 다른 의미.

인구는 자연스럽지만 사람은 인공적이기 때문이다.

즉 해당지역 부동산주인과 중개인 등에 의해 가격구조가 조성되는 것이다.



부동산과 사람.


건물만 증가한다고 가격이 상승하는 건 아니다.

그러나 새 건물이 들어서면 어김없이 새 가격이 조성된다. 강한 명분을 앞세운다. 새롭다는 것에 집중한다.

역시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다.

내 집 인근에 건물이 들어섰다는 이유로 집주인과 중개인이 새로운 가격을 조성한다.


뚜렷한 가치가 없는 가운데에서도 가격이 폭등하는 곳이 있다.

중개업소가 즐비한 곳이다.

떴다방인 이동복덕방 수준.

이들이 가격을 조장하는 것(역세권이 조성되었지만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인근에 중개업소가 적거나 그들 영향력이 적어서다).

새 건물 공실률에도 아랑곳 없이 무조건적으로 새 가격을 창조, 강조한다.

두 가지 가격이 분출한다.

하나는 희망가격이요 또 하나는 정상적인 가격인 것이다.

중요한 건 정상적인 가격이 희망적인 가격이라는 사실이다.

희망가격은 접근이 수월치 않은 가격이나, 정상적인 가격은 수많은 부동산마니아들이 접근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양보와 배려가) 준비된 가격이기 때문이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