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토지투자와 주택투자의 성격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250 | 2018.08.31 09:37 | 신고




아이의 희소가치와 노인의 희소가치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그 가치 차이가 크다.

아마 미래가치와 현재가치의 차이일 것이다.

아이인구는 감소하고 노인인구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감소지역과 인구증가지역 중 인구감소지역의 가치가 더 높을 수 있다는 증거다.

인구(현재)의 희소가치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시나리오.


풍족의 가치와 부족의 가치의 차이다.

만족과 풍족의 의미는 다르다.

부동산은 심리전이다.

부족하면 더 찾기 마련.

군중심리가 문제.

집착과 집중의 과정은 다르다.



한 지역의 건물이 감소하고 있다면 건물의 희소가치가 높다 할 수 있을까?

인구와는 다를 것이다.

공실률과 관련 있을 수 있기 때문.


1. 시설물의 가치(도로의 가치)

2. 인물의 가치(인구의 가치)

3. 지상물의 가치(건물의 가치)



사용가치≒희소가치


놀고 있는 상태에서의 희소가치는 무의미하니까. 활용도가 극대화 되지 않은 경우는 무의미하다.

인구 역시 매한가지.


건물(작은 공간)의 공실률만 리스크가 큰 게 아니다. 지역이라는 큰 공간의 인물(인구) 공실률 역시 가히 충격적!

건물과 인구를 분류해서 분석해야 하는 이유다.



움직이지 않는 희소가치는 역사일 뿐이다(예-문화재).

움직이는, 즉 활동량(활용도↑) 많은 상태의 희소가치가 최고의 투자가치를 보증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땅 - 희소가치에 투자해야 자신의 역할(책무)을 할 수 있다.

집 - 존재가치에 투자해야 자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구가 무조건 증가하는 게 좋은 건 아니다.

그 지역 적성(특성)에 맞는 인구가 필요한 것이다.

지역특성에 맞는 인구가 증가해야 한다.

젊은공간에 늙은 인구가 증가한다면 공실률 높은 공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용 및 활용가치의 극대화에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이 농후하다.



결국, 젊은인력이 지속성을 가지고 꾸준히 증가한다면 해당지역의 희소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전체적으로 젊은인구가 감소세이므로.

젊은사람들의 희소성에 관한 기대감이 높다.



땅값이 단기간 내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보단, 매일 조금씩 소폭상승하는 땅의 희소가치가 더 높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왜? 땅값은 큰 폭으로 계속 상승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큰 폭의 상승기류는 그 기운이 약해 지속력이 낮다.

장기간 큰 폭으로 상승할 수는 없다.

만약 있다면 그건 십중팔구 거품일 것이다.

거품은 거래를 막는 장애물.

심리전과 관망세, 소강세가 심한 지역으로 투기세력이 판 칠 것이다.



땅투자 - 끈기와 여유에 투자하는 것. 땅은 장기투자종목이므로.

끈기 잃은 땅투자는 투기를 의심 받아 마땅하다.

지속력이 떨어진다.

땅값이 떨어질 것이다.

집 매수행위 - 힐링공간에 투자하는 행위.

집은 실활용종목이니까.

사용하지 못하면 존재가치가 낮아져 낭비와 사치의 온상으로 전락하여 지역애물로 변절되고 말 것이다.

의식주 중 주가 곧 집.

주거시설이 주인 것이다.

의식주는 투자명분이 낮다.



땅투자 - 그림(미래)에 투자하는 것.

예측능력이 필요한 이유다(정확도가 중요).


집매입 - 사진(현재가치)에 투자하는 것.

예측과정이 필요치 않다.

만족도에 집중한다.

만족도가 높다면 행복지수가 높아질 건 당연지사이므로.



땅투자 - '희망'에 투자하는 행위.

땅은 미완성물(미래)이므로.


집매입 - '만족'에 투자하는 행위.

집은 완성품이기 때문이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