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주택산업과 주차산업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 | 조회 247 | 2018.09.01 11:06 | 신고



주택산업은 사양산업이지만 주차산업은 성장산업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그 희소성이 막강하다.

주택은 풍족하다 못해 공급과잉에 시달리는 판국이지만 그에 비해 주차는 주차전쟁 중이다.

인도를 무단으로 침범하는 일은 이젠 예삿일.

차도의 한 차선은 아예 주차시설로 악용하여 통행 흐름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주택시장 - 심리전

주차시장 - 주차전쟁 중


주차산업 - 대한민국에선 최고의 미래산업으로 구축(대중교통 이용자 중에도 대다수가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


주거공간+주차공간 - 공유, 공존


주차공간이 주거공간 가치를 업로드 시킨다.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 역시 주차전쟁이 만연 중이다.

전원주택은 다르다.

전원주택의 주차시설은 개성 만점이기 때문이다.


전원주택의 주차공간≒녹지공간의 일부


전원주택의 특징 - 대자연이 곧 정원(마당)


단독주택의 특징 - 아파트 등 큰 공동주택, 그리고 빌라 등 작은 공동주택과 공존한다는 것.

상대적으로 체격이 왜소해 보여 비교대상이 되고 만다.

외형상 가치 차이가 심한 편. 가격차가 심하다.



집합건물인 아파트의 주차공간이 태부족.

상가건물 역시 주차공간이 부족한 지경이다.



역세권 아파트가 겪을 만한 삼중고 현상 - 층간소음과 주차공간 부족현상, 여기에 전철 소음까지. 가격 대비 삶의 질적가치가 문제 있다.

즉 가치 대비 가격거품수준이 높다는 것이다.



대한민국≠단일민족(∵중국인 등 동남아인구 급증현상)


대한민국≠동방예의지국(∵추악한 도덕성 추락현상)


옆집을 배려+고려하는 맘↘

국가가 국민을 배려+고려하는 맘과 신세대가 구세대를 이해하는 힘↘


여하튼 주거문화와 주차문화는 서로 연계된다.

배려와 양보,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의 주거 및 주차문화가 제대로 정착되기는 힘들다.

새 주택과 주차공간이 생기는 곳은 복마전이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