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0일자로 다음 부동산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그동안 서비스를 이용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종료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다음 부동산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 오늘 하루 보지 않기
에너지 제로를 향한 전원주택 건축 디테일의 집약 동•남향 배치를 고려한 평면 구성, 바닥 면적 대비 외기에 접하는 면적의 비율은 최소화할 것. 패시브하우스의 기본 설계에 건축적 최신 디테일들을 더해 에너지제로하우스를 구현한 대전 하기동 주택을 소개한다. ↑ 70평 규모의 단독주택 택지지구 내 들어선 집. 여름철 외부 차양을 내려 뜨거운 햇볕을 막는다. ↑ 치장을 배제하고 선과 면, 조명과 채광으로만으로도 극적인 효과를 내는 인테리어
❶ 기초콘크리트 방수방습의 완결판, 프리프루프(Preprufe) 시스템 ↑ 기초 바닥의 단열 시스템은 열교를 피하기 위해 연속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XPS 사이 우레탄폼은 5줄 이상 충진한다. ↑ XPS는 두 겹으로 설치하는데 지그재그로 덮어서 선형 열교를점형열교로 변환한다. ↑ 매트 기초의 방수방습을 위해 미국 그레이스社의Preprufe를 사용하였고, 그 위에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합성 멤브레인을 적용했다. ↑ 기초 벽체 부분의 방수•방습을 미국 그레이스社의 Bituthene3000을 사용하였다. 이는 영하 40도에서 방습성능을 유지하는 제품이다. ↑ 기초 벽체 역시 XPS 240㎜ 두께를 설치한다. 우레탄폼을 최대한 꼼꼼히 쏘고 부착한다. ↑ 배관 파이프들의 방수•방습을 위해서는 액체형멤브레인 LM(Liquid Membrain)이 필수다. ↑ 한 가지 색 브릭타일과 블랙 징크로 마감한 외관. A/V비율을 최소화하면서 디자인적 완성도도 놓치지 않았다.
국내 기후는 하절기가 유독 고온 다습한 환경이므로 냉방기구를 사용해 습도와 온도를 낮추어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다. ↑ 독일 Zehnder社의 3㎾ 태양광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집에서 필요한 에너지원은 태양광으로 충당한다.
↑ 록셀보드 전면에 본드를 최소 5㎜ 두께로 샌딩한 후 부착한다. ↑ 보드 접촉 부위는 우레탄폼을 충분히 충진하고 팽창 밴드를 설치한다. ↑ 보드 고정 시에는 스크루 사용을 최소화하고 스크루홀에는우레탄폼을충진해열교를 예방한다. ↑ 제로열교 화스너(0.002W/mk)를 사용한다. 스크류 머리 부분이 PVC캡으로 되어 있어 열교를 최소화할 수 있다. ↑ 화스너 시공 부위 우레탄폼을 충진한 상태. 외벽 단열체의 두께를 가늠할 수 있다. ↑ 건물 전체 외벽에 록셀보드를 전부 부착한 상태. 마치 견고한 요새를 보는 것 같다. ↑ 거실 층고를 과감히 오픈한 전경. 에너지 효율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 벽면 서재 진입부와 코너에는 작은 벤치를 두어 책 읽는 공간을 만들었다. ↑ 2층 침실에서 바라본 발코니와 주변 전경. 간접 조명을 활용했다.
↑ RC조 벽체 위에 지붕은 습기 제어에 유리한 경량목구조로 시공한다. 박공지붕 I-JOIST 구조를 먼저 시공한다 ↑ I-JOIST 구조 위 2×6 목구조를 설치해 선형열교를 점형열교로 변환한다. ↑ 지붕 구조체의 습기 배출을 위해 지붕용 투습방수지를 설치한다. 타이벡 수프로(Tyvek Supro)의 sd값은 0.015이다. ↑ 투습방수지 위에 2×4 장선을 설치해 환기층을 만든다. 그 위에 OSB합판을 시공한다. ↑ OSB합판에도 전체 지붕 면적 내비환기량을 고려해 환기구(벤틸레이션)을 타공해 준다. ↑ 환기구타공 부분에 방충망을 설치해 혹시 모를 벌레 등의 유입을 예방한다. ↑ I-JOIST 구조 위 2×6 구조재 사이에는 공기로 불어 넣는 방식인 고밀도 그라스울을 충진한다. 30K 밀도의 에코필 제품이다. ↑ 가변형 투습방습지 듀폰 SMART AIRGUARD를 시공한 천장. 지붕 웜루프 시스템은 실내 기밀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가변형 투습방수지 상고방이소바 VARIO를 시공해 기밀을 완성한 실내 천장. 이음매는 3M 기밀테이프를 사용했다. ↑ 돌출된 발코니 부분은 열교를 막고자 Schock社의 아이소코프를 적용했다.
↑ 창호 벽체 연결 부위는 스테인리스 브라켓과 스테인리스 스크루를 사용해 열교 저감을 유도했다. ↑ 창호 외부 프레임은 록셀 보드를 사용해 단열했다. 접촉 부위들은 팽챙밴드 시공, 우레탄폼 충진 등이 선행되었다. ↑ 창호 기밀시공을 위해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투습방습지 창호 전용 테이프를 설치했다. 브라켓 부위는 3M 기밀테이프로 보강했다. ↑ 창호 시공 디테일 - 1 ↑ 창호 시공 디테일 - 2
↑ 콘센트 기밀만 제대로 해도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10% 정도 줄일 수 있다. 중앙집중식 허브형 전기박스를 설치했다. ↑ 전기 파이프 끝단에는 콘센트 전기파이프 마개로 기밀을 유지했다. 외부 전기파이프 역시 기밀 마개를 시공했다. ↑ 콘크리트 벽체는 미장을 한 번 더해 철저하게 기밀성을 확보한다. 구조체에 20㎜ 두께로 한 번 더 미장하고, 바닥과 벽체 조인트 부분은 특히 주의한다. |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