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전원생활 노하우 쌓고 이곳에서 이렇게 살아요 [21]
돌핀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20 | 조회 23085 | 2018.09.21 01:56 | 신고

전원주택 1번지인 양평 등지에서 전원생활에 실패한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다는

기사가 매일경제신문 등 경제신문에

일제히 보도되면서 다시 한번 전원생활의 신중함에 심혈을 기울일 필요성을 느낀다.

 

 

분명한 점은,

 

전원주택도 아파트와 마찬가지로 소형주택 위주로 매입을 하려는 인구가 점차 늘고 있다는 것이다.

허세보다는, 사치성보다는 실속과 실용성을 더 우선히 하는 것.

중대형 물건은 잔뜩 쌓여 '애물단지' 취급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 하나 분명한 사실은,

현실은 전원생활에 성공한 사람보다 실패한 사람이 훨씬 많다는 것.

 

 

 

그 이유는,

아직은 전원주택은 여유 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이기 때문이다.

시간과 돈의 여유이다.

시간이 남고 돈이 남아야 한다.

그리고 전원주택이 주거용으로 부적격이라는 것.

별장용의 의미가 더 크다는 것이 큰 걸림돌이요 문제점이다.

대중화가 되지 않았다.

대중성이 없다.

그런데도 공급량이 무섭게 늘뿐더러 업자들이 인터넷 바다에서 헤엄을 치고 있다.

헤매고 있다.

처절하기까지 하다.

 

 

귀농과 귀촌이 대세를 이루면서 전원생활의 이로운 점만 체크하려는 맘이 오판을 부를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서 귀농과 전원생활을 부추기는 판에 오판과 착각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귀농 프로젝트 난발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소정의 경제적 지원까지 약속하는 판에 오판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전원생활은 사진과 같이 환상적인 그림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할 터.

전원생활에 성공한 일부 사람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전원생활의 꿈을 준비하고 있다.

전원생활을 하고자 할 때 갑자기 많은 변화를 추구하면 안 되겠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수십년간 생활하다가 갑자기 강원 산골생활에 돌입한다면 위험하다.

갑자기 변한 환경조건이 잘 맞을리 만무한 것이다.

오랜 서울생활에 익숙한 사람들은 경기권역에서 전원생활을 맞이해야 할 것이다.

성공적인 전원생활을 하기 위해선 경제적인 여유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원주택을 투자상품으로 오인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전원주택 가격은 절대 오를 수 없다는 관념을 가지고 전원주택을 구입해야 할 것이다.

오지 땅을 사서 전원주택을 지어 분양하는 일이 아니라면 전원주택은 절대 투자가치가 없다는 말이다.

귀농과 귀촌, 그리고 전원생활의 구분선도 헷갈리고 있는 판국.

그리고 귀농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를 보면

경기도에서 경기도로 귀농을 하는 것이 태반 이상이더라.

서울에서 경기도로 가는 것이 귀농 아닌가.

경기도민이 같은 경기도로 가는 것이 귀농인가?

귀농자격조건 중 하나가 '평택에 귀농을 원한다면 평택시민이어야 한다'는 식이다.


예를 들어서 말이다.

조건대로라면 서울사람은 안 된다.

여하튼,

귀농과 전원생활의 기준점도 애매모호한 과정에서 전원생활이 정확도 높게 자리매김을 하려면 전원주택 가격이

저렴해지고 전원주택 공급의 안정이 우선시 되어야 되지 않을까 싶다.

전원주택이 너무 난발되고 그림 같은 아름다운 사진이 난발되고 있어 소비자, 수요자의 오판이 크게 우려된다.

전원생활의 성공자가 별로 없다는 사실이 현실이라는 것을 잘 인지할 때이리라.

내가 전원생활이 지금 가능한지 내 자신부터 점검하는 일이 아주 중요하다 하겠다.

긴가민가 하다면 도시생활을 더 하자.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