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마을의 랜드마크가 된 스웨덴풍 가정집 [2]
전원가고파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8 | 조회 8341 | 2018.10.10 09:45 | 신고

 

 

 

마을의 랜드마크가 된 붉은기와를 입은 스웨덴풍 가정집

 

 

약간 경사진 대지를 그대로 살리고 하얀 울타리를 둘러 경계를 삼았다.

 

 

타운하우스 개념으로 조성된 경산의 사동지구는 전체 7백 필지로 적지 않은 규모다. 가족은 터를 마련한 지 딱 1년만에 입주까지 모두 끝냈다. 공사 기간은 두달 반. 건식인 목조주택이라 겨울 공사도 가능했기 때문이다. 공정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다만 터잡기에 앞서 주택의 향을 정하는 데 애를 먹었다. 지세의 형태나 조망 확보 측면에서 남향이나 동향으로 집을 앉히기가 여의치 않았기 때문이다. 지관까지 불러 여러 논의를 거듭한 결과, 산을 등진 좌청룡 우백호 형상의 북향으로 설계가 진행되었다. 

 

 

 

 

 

주택의 입면은 일본의 건축예술가 미찌코 도바리 씨가 기본 콘셉트를 잡았다. 주택은 뚜렷한 스타일과 계획을 가지고 완공되었다. 외관은 스터코와 파벽돌로 마감해 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특히 외벽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내단열(글라스울 충전)공법과 외단열(스티로폼 접착)공법으로 이중단열을 적용하였다. 경량목구조는 외단열에서의 열교와 내단열에서의 결로 발생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선택이다. 바깥쪽으로는 통기층을 두고, 투습방수지를 설치해 결로를 예방한다.

 

 

 

 

 

주방과 다이닝룸을 포함한 시원하게 오픈된 거실

   

 

    HOUSE SOURCE
  • 지붕재 테릴기와
  • 단열재 이소바 R-11, R-19, R-30
  • 창호재 미국식 LS시스템창호
  • 외벽마감재 상부 - 스터코
    하부 - 인조파벽돌
  • 내벽마감재 거실천장 - 원목루버
    그 외 - 규조토
  • 바닥재 합판마루
  • 주방가구 한샘
  • 욕실기구 아메리칸스탠다드
  • 데크재 구조 - 수입 방부목
    상판마감 - 삼나무 

 

    시공비 내역서(구분/ 비용[단위: 원])
  • 가설공사 5,520,000
  • 기초공사 7,200,000
  • 구조공사 18,800,000
  • 외장공사 24,968,000
  • 단열공사 3,082,000
  • 내장공사 18,452,000
  • 계단공사 3,200,000
  • 수장공사 6,735,000
  • 욕실공사 4,733,000
  • 창호공사 6,124,000
  • 설비공사 3,721,000
  • 보일러공사 2,850,000
  • 전기공사 3,840,000
  • 등기구공사 1,470,000
  • 도장공사&방수공사 4,180,000
  • 산재보험및기타 3,800,000
  • 조경공사 3,000,000
  • 데크ㆍ대문ㆍ휀스공사 2,500,000
  • 가구공사 6,124,000
  • 130,299,000
  • * 부가세 제외 

 

 

단열과 친환경에 초점을 맞춘 시공

 

 

지붕의 45。경사각은 유럽 주택의 풍모를 물씬 풍긴다.

 

 

실내는 4인 가족이 생활하기에 적당한 연면적 105.78㎡(32평)에 1층에는 안방을 기점으로 거실과 주방, 다용도실을 배치하였다. 계단실과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수납공간을 충분히 두었고, 별도의 드레스룸을 내어 잔살림까지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마치 다락방에 올라선 듯한 느낌의 2층 방은 훗날 아이들이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하였고, 지붕의 경사도를 활용해 천창을 설치한 채광 좋은 화장실도 눈에 띈다.

 

신발장이나 붙박이장까지 목수들이 직접 제작함으로써 포름알데히드가 분출되지 않는 무공해 주택을 지향했다. 눈여겨 볼 만한 것은 벽이나 천장에 해저 심층의 어패류 화석에서 채취한 초다공질 재료인 규조토를 시공해 친환경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이는 각종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하며, 습기에 의한 결로를 방지해 실내를 쾌적하게 해주는 효과가 탁월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실내 원목의 마감 역시 화학성분이 첨가되지 않는 수입제품인 헤펠레 천연도료를 사용했다. 

 

 

 

[POINT 1] 오픈형 거실과 주방

 

1층 부부침실 곁에 자리한 드레스룸과 욕실.
2. 2층은 벽에 맞도록 책장을 짜 넣고, 빛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책상을 배치했다.
3. 같은 디자인의 반대편 2층방. 지금은 안주인이 바느질을 하거나 책을 보는 취미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거실과 주방을 자연스럽게 한 공간에 모아 오픈형으로 꾸몄다. 싱크대가 있는 공간은 답답해 보이지 않도록 천장과 타일 마감 사이에 빈 공간을 만들고, 상부장도 낮게 디자인해 달았다. 원색으로 자유롭게 배열된 타일이 공간 전체에 포인트가 되고 있다. 

 

 

 

[POINT 2] 천창이 있는 2층 욕실

 

 

주택 전면으로 지붕 한가운데 천창을 내었는데, 이는 바로 2층 욕실을 밝게 해주는 채광창 역할을 한다. 좁은 공간이지만, 일체형 샤워기와 세면기로 활용도를 높이고 밝은 색 타일로 마감해 넓게 보이는 효과를 준다.

 

 

[POINT 3] 경사진 지붕의 뻐꾸기창

 

 

지붕 위에 돌출된 이 부분은‘도머(Dormer)’라고 부른다. 경사가 심한 천장은 실내 공간이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채광과 천장 확장을 위해 주로 뻐꾸기창을 낸다. 단, 목조주택에서는 시공 시 방수에 특히 신경 써야 한다.

 

 

2층에 위치한 아이들의 도서관 겸 작업실에는 생동감이 깃든 뻐꾸기창을 달아주었다. 

 

 

 

[POINT 4] 수납 속의 수납, 그릇장

 

 

 

주방 한켠에 마련된 책장 형태의 그릇장. 모든 물품들은 별도의 상자나 바구니, 보관함에 넣어 큼직하게 수납하는 형태로 미관을 높였다. 오픈된 주방에서는 정돈된 분위기를 만드는 일등공신이다.

 

            

HOUSE DATA

  • 대지면적 400.00㎡(121평)
  • 건축면적 69.35㎡(21평)
  • 연면적 105.78㎡(32평)
  • 주차장 외부 주차장
  • 공법 기초 - 줄플러스매트 기초/
    지상 - 미국식 2×6 공법
  • 구조재 스프러스
  • 창호재 미국식 시스템 창호
  • 단열재 내단열 - 인슐레이션 충진/
    외단열 - 스티로폼 부착
  • 외벽마감재 드라이비트, 스터코, 파벽돌
  • 내벽마감재 규조토, 루버, 벽지
  • 지붕재 테릴기와
  •  

     

     

     

     

     

     

     

     

     

     

     

     

     

     

     

     

     

    즐감하셨다면 추천 꼭 눌러주시고  아래 " 전원가고파 " 홈페이지 주소 클릭하시면 

    다양한 전원주택 사진, 설계도 ,시공 노하우와  전원생활, 귀농귀촌 정보가 있습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