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기회의 공간 모색 과정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067 | 2018.10.11 09:19 | 신고



부동산 투자의 기회는 차이와 사이를 통해 발현한다.

가령 고수와 하수의 차이, 아파트와 토지의 차이, 지상물과 시설물의 차이, 혹은 사이 등을 통해 투자의 공간을 모색할 수 있다.


차이 - 투자자가 견지할 사안(부분)


사이 - 투자의 공간


사이를 알아보기 전에 차이를 잘 인지해야 한다.

차이라는 공간에서 사이라는 공간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간에서 공간을 찾는 작업이 투자과정이다.

건물 안에서 인간이 활동을 하나, 건물 밖에서도 활동을 하므로.

즉 건물과 건물 사이는 광대하여 그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그것을 '미래'라고 말할 수 있을 법하다.



인구와 도로 사이 - 투자 공간

(인구급증현상에 따라 작은 도로가 큰 도로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올 수도 있기 때문. 도로의 특징이 바로 연계성의 힘인 것. 즉 도로는 어차피 애초에 하나였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큰 도로와 작은 도로는 없다. 길고 짧다는 의미가 무의미한 것이다)


실력 있는 위정자와 그 반대의 위정자의 차이 역시 투자자가 반드시 인지할 부분이다. 비현실적이고 인기영합주의에 빠진 개발공약에 마음의 깊은 상처를 입는 경우가 부지기수라서다.



차이 = 차별화


차별화 - 환금화의 모토


차별화과정이 환금성을 높일 수 있는 강한 무기(재료)인 셈. 동산화 역시 차별화와 관련 깊다.


예) 가격차별화 - 가격경쟁력과 연관 있다.


차이에 대한 연구 과정이 끝났다면 기회의 공간(사이)을 발견,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차이가 사이를 낳는 구조가 부동산구조다.


예) 큰 건물과 작은 건물이 공존하고 있을 때 차이가 발견된다.

차이가 사이를 낳을 수 있는 이유다.


반드시 차이가 존재하는 건 긴 것과 짧은 것이 있기 때문인데 이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즉 긴 것에 짧은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긴 것은 대자연을 대변한다.

도로 역시 큰 도로와 작은 도로로 분류되나, 큰 도로 안에 작은 도로가 예속되어 있다.




큰 도로의 의미는 둘.


1. 대자연상태

2. 고속도로 등 개발된 도로


잊지 말아야 할 부분은 대자연상태라고 해서 무조건 부동산의 하드웨어로 인식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개발이 완료되었을 때 반드시 녹지공간이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공간의 크기가 만만치 않다.

즉 존재가치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녹지공간이 부실한 지경이라면 상업공간이나 업무공간, 주거공간 등의 수명이 짧아질 수도 있다.

환경오염도가 문제점으로 점화되는 것이다.

공기 정화엔 넓은 녹지공간의 역할이 지대하다.



이 땅의 모든 가치가 동일 할 수는 없다.

물론 큰 가치 안에 작은 가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큰 가치는 하나이나, 작은 가치는 여럿.

큰 가치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모습으로 분화, 분출했기 때문이다.


가치의 차이를 바로 견지했다면 그 눈에서 '사이'라는 기회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눈높이의 차이를 통해 사이라는 가치가 발현하는 것이리라.


가치의 혁명이 가격혁명을 분만해야 하는 것처럼 '차이의 가치'가 '사이의 가치'를 분만한다.



사이와 차이의 연구과정 - 연구를 '연구'하는 모양새

(그만큼 주도면밀한 사색과정을 통해 부동산의 핵심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실패확률과 리스크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도인 것이다)



부동산투자자가 견지할 부분은 인구와 지역성장 관계다.

미달과 미숙의 차이를 관철해야 하는 이유다.

 

미달 - 인구미달현상은 지역슬럼화의 가능성을 높여 위험!


예) 미분양의 산실

미숙 - 지역성장 대비 성숙도가 미약하다면 지속력이 약화, 악화될 수 있다. 양적 가치 대비 질적 가치가 낮다면 지속력이 미약하다.


예) 지역성장 대비 성숙도가 낮다면 삶의 질과 인구의 질이 낮아지는 것이다




도약과 도전 사이 -

도전이 우선순위.

도약은 그 다음단계.


도전 - 정신적인 소유, 정서적 문제다.

도약 - 행위적(행동반경이 광대하다) 사유


도약과 도전 사이 - 희망을 꿈꾸는 사람이 집중적으로 몰릴 수 있는 광활한 공간(예비투자자들은 선택과 결정의 기로에 서 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