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지형의 단점을 장점으로 풀어낸 경사지형의 전원주택 입니다 [13]
도담채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3 | 조회 35760 | 2018.11.15 16:08 | 신고

지형의 단점을 장점으로 풀어낸 경사지형의 전원주택 입니다.

폴란드의 건축가 "Robert Konieczny"가 설계한 현대적인 주택은 많은 

건축상을 수상한 주택 입니다.


아름다운 목초지에 집을 짓는것은 많은 사항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주택은 산사태등의 위험에 대비해 안전하게 지어졌으며 가장큰 특징은

빗물이 주택을 관통해 흐른다는 점 입니다.

주택의 기초는 독특하다 못해 불안정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경사지형의 장점을 살린 주택은 하나의 모서리만 지면과 밀접하게 접촉된 형상을 합니다.

내집짓기 할때는 주택 공정별 정석 시방서가 필수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주는 주택 공정별 시방서를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다
시방서를 알고는 있지만 가볍게 간과하고 지나처서 후회하는경우가 많다
건축주님 공사를 맡길때 어디에 기준을 두고 공사비를 책정하고 공사를 진행하신가요?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그냥 전문가이니까 잘 지어줄것이다 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공사를 맡긴다
내집을 지을땐 반드시 구조별 공정 정석시방서를 구해서 공사하세요
그래야 어떤자재를 쓰고 어떻게 시공하고 어떤 장점이 있고 시공기준이 있어야
시공과정을 보고 잘짓고 못짓고를 판단을 할수 있고 시방서자재를 쓰고 있나 감리기준이 되고
갈등이 없어집니다 행복한 집짓기 하고싶으세요? 주택 공정별 정석시방서를 가지고 공사하세요
명심 또 명심 하세요 주택 공정별 정석시방서 입니다 잊지마세요!!

주택은 경사지형에 의해 1층 바닥 높이를 자연스럽게 높여 줍니다.

건물의 한쪽 높이는 자연스럽게 2층 높이가 됩니다.

내집짓기 할때 건축비 지급 방법 필수
업체를 선택햇다면 주택 공정별 정석시방서를 작성해주라 하면서 가계약금 200만원 지급
가계약금 200만원은 건축비에 산정합니다.(업체교체한다면 시방서 비용으로..)
건축비는 공정별로 5단계로 지급하세요 - 참고 공사시작할때 비용이 많이 든다.
① 공사시작 40% ②골조공사 마감 30% ③지붕,외벽마감 20% ④바닥벽지공사 7% ⑤완공 3%
이렇게 5단계로 지급하면 절대로 골치 아플일이 없읍니다
초창기에 공사비를 많이들어간 만큼 시공업체가 선 공사비를 요구하는 경우는
업체에 공사비를 지급하지 말고 자재상에 입금하시기 바랍니다 - 행복한집짓기 됩니다.


주택을 출입하는 입구는 10m의 개폐식 벽과 출입구를 셔터식으로 설치해 

보안과 방범문제를 해결 합니다.




콘크리트로 지어진 주택의 면적은 138㎡ 입니다.

개폐식 벽의 닫혔을 때와 열렸을 때의 이미지 입니다.


막힘없이 밖으로 뻗어 있는 전망은 이집만의 가치를 높여 줍니다.

주택의 내부는 습기없는 쾌적한 실내 공간을 만들며 전원생활의 질을 높여줍니다.



주택의 대형 통창은 풍부한 자연채광으로 실내를 밝게 유지시킵니다.


거꾸로된 지붕처럼 설계된 주택의 기초는 구조적으로 건물의 강성을 높이는 설계를 요구합니다.

주택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며 완성 됐습니다.


집 주변의 목가적인 들판은 이상적고 꾸밈없는 자연조경이 됩니다.


폴란드의 산지에서의 박공지붕에 대한 제한 법률은 오히려 독특하고 창의적인 건축물을 만들게 합니다.


규제를 장점으로 풀어낸 건축사례로 평가 됩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