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건축상을 받은 제주삼나무로 지어진 목조주택
느티나무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7129 | 2019.04.24 11:00 | 신고

건축상을 받은  제주삼나무로 지어진  목조주택

 

 

제주삼나무 테스트하우스

 
 
▲ 건물 전면
 


 

 

 

 

 

  
 
 
 

Works of the OFFICE  노바건축사사무소
2012 제주건축문화대전 본상, 2012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목구조상


 

 

 


제주삼나무 테스트하우스는 제주에서 자라고 있는 삼나무를 활용해 공업화 목조주택을 짓기 위한 테스트 목적으로 지어진 특별한 건물이다.


제주도에 심겨진 삼나무는 일제에 의해 들어온 도입종으로 목재로 활용하기 위해 심겨졌지만, 해방 이후 30~40년 전부터는 감귤과수원의 방풍용으로 활용됐다. 하지만 최근 감귤산업의 쇠퇴에 따른 과수원의 폐원으로 방풍림의 기능을 못하게 되자 삼나무를 활용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던 중 국립산림과학원과 난대산림연구소를 중심으로 공업화 목조주택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됐고 그 결과로 지어진 것이 제주삼나무 테스트하우스이다.
제주삼나무 테스트하우스가 가지는 특별한 가치는 주요 구조재인 기둥-보의 자재가 국내산 목재라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지어지는 목조 건물의 대다수가 수입목재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국내 목재를 제재 가공하여 국내 기술을 활용한 집성목으로 지었다는 점은 국내산 목재산업의 공업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사례라고 본다.


 

  
 
▲ 건물 후면 / 삼나무숲에서 바라본 건물
 

테스트하우스는 건물의 주요 구조재를 현장에서 제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미리 정밀 가공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프리커트 방식으로 지어 공사 기간을 단축했고 정밀시공을 가능하게 했다. 아직 목재가공산업이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에서는 제주에서 자란 삼나무를 벌채 후 제재, 가공(글루램)하기 위해서 인천에 있는 공장까지 운반하여 제작 후 다시 제주로 가져와야 했었고 시공 과정에서도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기둥-보 부재간 연결부재인 철물이 국내 기술로 개발된 것이 없어 국립산림과학원과 협력업체에서 새로 개발해야 했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이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들이어서 많은 에피소드가 있었다.


 

 

 

 

 

  
 
▲ <배치도> 1) 주차장 2) 마당 3) 도로
 


 

 

 

설 계 자 : 강승희(노바건축사사무소)
대지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지면적 : 812㎡(245.63평)
건물규모 : 지상 2층
주요용도 : 연구소
구    조 : 중목구조+경골목구조
건축면적 : 140.46㎡(42.48평)
연 면 적 : 179.09㎡(54.17평)
건 폐 율 : 17.28%
용 적 율 : 22.05%
주요외장재 : 제주산삼나무사이딩, 제주현무함, 스터코, 징크칼라강판

 

 

  
 
▲ 연구소-1, 연구소-2
 


 

 

 

 

 

  
 
▲ 연구소-1 / 연구소-2
 

테스트하우스는 제주난대산림연구소 부지 내에 위치하며 삼나무숲에 자리하고 멀리 한라산이 보이는 곳이다. 대지와 조우했던 3월의 이른 봄날, 기존 관사 너머로 보이는 눈 덮인 한라산의 풍경과 곧고 높게 자란 삼나무, 정겨운 제주 돌담은 이 집의 컨셉이 됐다. 대지가 가지는 장소성에 제주 민가건축의 개념을 부여하고, 제주산 삼나무를 사용해 장소와 건축수법, 재료가 제주성을 가지는 목조건축물을 계획했다. 건물의 배치는 대지 가운데 놓이게 되면 가려져 사라질 한라산의 풍경을 위해 두 개의 매스로 분리하여 그 가운데로 한라산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고, 삼나무 숲의 모습은 건물 전면에 있는 수직 루버로 은유적으로 표현됐다. 홍보나 연구 목적으로 지어진 연구소동은 1~2층이 트여진 공간에 기둥-보의 구조재를 그대로 드러내 목조건축의 구조미를 느끼게 하고자 했다. 제주산 삼나무로 만들어진 글루램은 그 자체로 전시 효과를 가질 것이다.


 

 

 


 

  
 
▲ 목재루버와 삼나무숲 / 건물의 우측면
 

제주산 삼나무를 사용해 건축을 했던 전례가 없었던 터라 벌목에서부터 목재가공, 시공, 준공 과정에 있었던 수많은 시행착오와 그로부터 얻은 교훈들은 제주산 삼나무의 공업화에 작은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이라 여겨진다.  
 글·자료제공_강승희 노바건축사사무소 대표  
 에디터_박광윤 기자


 

 

 

 

  
 
▲ <1층 평면도>
1) 연구실-1
2) 준비실
3) 다목적실
4) 현관
5) 수공간
6) 보일러실
7) 탕비실
8) 현관
9) 직원휴게실
 
  
 
▲ 2층 평면도
1) 연구실-2
2) 연구실-3
3) 휴게실
 
  
 
▲ 프레임도
 
  
 
▲ 연구소-1 입면도
 
  
 
▲ 연구소-2 입면도
 


 

 

 


출처 나무신문 박광윤 기자  

 

 



농가주택,시골집 수리하기,전원주택 .통나무, 목조,주말 주택.컨테이너,이동식주택.세컨드 하우스.황토주택 귀농,귀촌 ,강원도 ,횡성 부동산의 모든것이 산골 전원주택 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한번의 추천 과 칭찬은 글 쓴 저희를 춤추게 한답니다.

산골 생활 20년의 노하우가 아래에 다 있습니다.

더 많고 다양한 정보를 보시려면 아래 영문 카페주소를 릭하세요.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