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실패한 땅 투자자의 특징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2 | 조회 166 | 2019.09.28 11:32 | 신고




실패한 땅 투자자의 특징 중 하나.

애초에 방향을 잘못 잡았다는 것이다.

시작부터 길을 잘못 들어선 것.

이를 테면 지하철을 통해 길을 찾을 때 출입구를 잘못 선택했다면 방향감각을 완전히 잃어버릴 수 있는 것이다.


땅 살 땐 내가 실수요 목적인지 투자 목적인지 그 명분과 위치를 정확하게 선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땅 실수요자 - 원칙과 법률을 고수하는 자

2. 땅 투자자 - 변칙과 변수를 사랑하는 자


1의 예) 건축행위.

환금성보단 실용성에 집중하는 것이다.


2의 예) 투자수익과 환금성, 그리고 시간에 지배 받는 자.

잠재성에 지배 받는다. 미래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과2의 공통점 - 희소성에 신중하게 접근하여 거기에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

희소가치는 환금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희소성의 예) 실수요자 입장에선 독창적인 디자인에 집중한다.

투자자의 경우엔 높은 개발의 타당성을 모색하여 거기에 집중한다.


1-공실과 미분양, 가격과 거반 무관한 지경(실수요자는 실용성에 지배받기 때문에 미분양사태와 무관하다)


2-공실과 미분양, 가격과 상관이 있다(투자자는 가격상승에 지배받기 때문에 공실에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 공실률이 높다면 인구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


1-용도지역이 중요하다. 지목과 땅 모양 등 세세한 부분에까지 집중한다. 신중한 선택이 필요한 지경.

2-입지가 중요하다. 맹지위치가 중요하다.

맹지에게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파트 투자가치의 기준 - 주변 대중교통환경이 중요하다. 큰 도로(전철이 가는 길)와 작은 도로(버스가 가는 길)의 연계성을 검토한다.


토지 투자가치의 기준 - 접근성과 잠재성의 관계




아파트 - 현장답사가 중요하다.

주택은 실용가치가 중요하고 완성물이기 때문.

서류보단 현장이 더 중요하다.

실수요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서류가 덜 중요한 건 주택은 완성물, 지상물이기 때문이다.


토지 - 서류와 개발계획, 그리고 현장답사 등을 고루 검토할 필요 있다.

이것들은 서로 연계가 되기 때문이다.

지적도를 통해 접근성(접근성 높은 맹지와 그 반대의 상황이 공존하여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을 알아볼 수 있는데 이는 개발입지와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토지는 미완성물이기 때문이다.


상가투자 시 눈여겨 볼 사안 - 공실률

아파트투자 시 눈여겨 볼 사안 - 미분양률

토지투자 시 눈여겨 볼 사안 - 주변 상가와 아파트 상황.

공실률과 미분양률을 통해 인구의 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


인구증가의 강점이 있다.

실수요자가 증가한다면 투자자도 증가하기 마련.

실수요자인 주거 및 고정인구가 증가하면 주변의 기존 부동산의 가치가 높아져 희소성이 높아지게 된다. 공급과잉현상과 공급부족현상의 차이점은 크기 때문이다.

개발할 땅의 희소가치도 높아진다.


집 - 기능성에 충실(현실에 충성할 수밖에 없는 지경이)

땅 - 기능성과 더불어 가능성도 기대된다. 미래에 충실한다.


만족스런 성공투자를 바란다면 시작할 때 목표를 신중하게 정해야 할 것이다.

아파트투자하듯 땅 투자를 한다면 십중팔구 낭패보기 십상이다.

아파트는 실수요 성격이 강한 장르이고 땅은 투자의 성분이 잔뜩 들어있는 재목이기 때문이다. 하나는 성숙이 목표이고 하나는 성장이 목표이다. 희망이라는 목표와 방향이 다른 것이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