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집값이 강세인 이유?
김영종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25 | 2019.09.28 18:05 | 신고

집값이 강세인 이유?

 

-시장에 매물이 많지가 않습니다.-

 


행운의 네잎클로버

행운 이라는 네잎클로버를 항상 가슴에 묻고,

모든 분들의 가슴속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

 

 

강남 일부 지역에서 아파트 값이 평당 1억을 호가하고 있습니다.

빌딩 건물도 아니고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 값이 평당 1억이라는 말이 이제는 규정 사실화 되어가고 있는 듯 합니다.

 

금융 위기때 미분양 물량이 남아돌았던 지역이 불과 몇 년 만에 평당 1억이라니 꿈인지 아닌지 모를 정도로 위치가 좋은 지역은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집값이 강세로 이어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첫째, 다주택자 임대사업자 등록이 가면 갈수록 많아지고 있습니다.

 

주택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면 각종 세제 혜택이 주어지나, 장기적으로는 8년간 집을 팔 수가 없고, 집을 팔더라도 그 동안 받은 세제 혜택 등 패널티가 부과되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에는 임대사업자 등록된 매물이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둘째,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에 대한 양도세 중과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의 다주택자가 집을 매도하면, 장기보유특별공제을 배제하고 양도소득세가 중과 되기 때문에 집을 팔고 싶어도 팔 수가 없기 때문에, 버티기 작전 즉, 시장에 매물을 내놓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주택자가 집을 매도하면 거의 대부분 양도세로 나가기 때문에, 차라리 자녀 등한테 증여를 해버리는 경우가 많고, 굳이 양도세를 많이 내는 것보다는 자녀한테 증여를 해주는 것이 부의 대물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셋째, 분양가 상한제 영향이 기존 주택시장에도 그 여파가 미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분양가 상한제를 실시하면 서민한테 그 혜택이 돌아가야 하는데 이와는 정반대로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부자한테 그 혜택이 돌아가고 있는 듯 합니다. , 분양을 받더라도 중도금 등 대출이 막힌 상태에서 현금이 없는 서민들은 분양가 상한제는 그림의 떡으로 보일 수 밖에 없고, 그 혜택은 고스란히 현금 부자의 몫이 되어가고 있는 듯 합니다.

 

이와 더불어,

현금이 없는 서민들은 분양 받는 것을 포기하고, 기존 주택시장에 나온 매물을 매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넷째, 부동산 시장에 나오는 매물은 한정이 되어 있습니다.

 

1주택자들의 평수 늘려가기 즉, 갈아타기 매물과 예전에 분양 받은 집으로 입주를 하기 위해서 기존 주택을 내놓은 한정된 매물만 시장에 간혹 나올 뿐입니다.

 

이러한 사항으로 인해서,

현재 부동산 시장에는 매물이 잘 나오지 않고, 매물도 그리 많지가 않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