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용적률'에 집중하는 자와 '공실률'에 집중하는 자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05 | 2019.09.29 07:59 | 신고





부동산 '크기'에 집중하는 하수와 부동산 '역할(쓰임새)'에 집중하는 고수의 가치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한 사람은 외모에 집착하고 한 사람은 실용가치에 집중하는 모드이기 때문.

단면(존재감, 현장감)만 보는 경우와 양면(변수, 미래가치)을 견지할 수 있는 경우의 차이 역시 너무도 크다.

이는 단순히 인구의 크기에 집중하는 사람과 인구의 증가상황을 집중 연구모색하는 사람과의 차이로 그 가치 차이는 이루 형언할 수가 없다.

이 역시 단면만 보는 경우와 양면을 볼 수 있는 시각의 차이인 법.

후자의 경우, 투자가치가 높아 인구의 집중화현상은 계속 이어질 것이다.


부동산 투자과정을 거칠 때 체격(크기)보다 체력(잠재능력)을 모색하는 게 유리하다.

체격상태는 단순한 하드웨어상태로 고정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지만 체력이란 움직일 수 있는 진보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의 체격 - 용도지역으로 가늠이 가능하다


부동산의 체력상태 - 지역인구의 변화(진화)를 통해 감지가 가능하다



부동산 매수 시, 혹은 투자 시 참고자료는 다양하다.

신중하면서 집중력 있게 잘 선택해야 하는 이유다.

워낙 그 양이 방대하고 막강하여 그 자료를 십분활용 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다음의 10가지는 부동산 매입할 때의 참고자료들이다.

투자할 때나 매입을 할 때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1. 공실률과 녹지율

2. 건폐율

3. 용적률

4. 인구증가율

5. 인구감소율

6. 고용률과 실업률

7. 자살률과 범죄율

8. 출산률

9. 교통사고 발생률

10. 아파트 미분양률과 청약률



부동산에 관한 자료(통계와 수치)와 재료(희소가치)가 중요하나,

서로가 단절된 상태에선 희망이 없으므로 이 두 가지는 반드시 연계되어야 한다.


하수 - 용적률에 지배 받는 자.

부동산 규모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고수 - 공실률에 지배 받는 자.

인구증가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용적률은 쉽게 변할 수 없는 자료(사안)이나, 공실률은 쉽게 변할 수가 있다.

용적률은 사용용도로서 용도지역에 관한 사안을 알 수 있는 자료로 상용되고 공실률이라는 자료형태는 사용량을 의미한다. 사용가치를 대변한다. 인구를 통해 희소가치를 모색할 수 있다.


부동산투자의 자료와 재료 중 재료에는 부동산 개발노하우와 개발타당성이 포함된다.

자료는 수치에 불과하지만 재료는 노하우와 가치를 적극 대변하는 것이다. 자료 대비 자극적이라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고수는 재료에 집중하고 하수는 자료에 함몰되기 쉽다.


용도변경보다 더 중요한 건 지역공실여부이다.

단순히 용적률을 높이는 것보단 녹지공간과 주변 건물의 공실 상태를 점검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부동산 구조는 항상 녹지공간 안에 건물들이 입성하는 형태이므로 녹지공간확보가 광대할수록 지역가치를 높일 수 있다.

힐링의 재료가 곧 녹지일 테니까.

힐링공간은 인공의 때가 묻지 않은, 작위적이지 않은 최고의 커뮤니티다.

여기엔 조망권과 일조권 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