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부동산투자의 형태와 걸림돌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2 | 조회 92 | 2019.09.30 10:11 | 신고



투자의 걸림돌은 소탐대실을 통해 발현한다.

작은 것에 집착하여 정작 큰 것에 집중력을 상실하고 만다.

예를 들어 가격이나 세금 등에 집착하는 바람에 가치를 등한시 하고 만다. 희소가치와 미래가치를 생각하지 않아 진보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만날 사람을 제대로 만나지 못한다.

엉뚱한 사람들만 만난다.

투자의 걸림돌이다.

공무원을 만나 미래가치를 질문한다.

우문이다.

공무원을 통해 현재가치를 질문해야 하는 데 말이다.

민원담당이 공무원 임무지 한 사람의 부동산 투자를 자문해주는 사람이 공무원은 아닌 법.

공무원은 실수요가치를 책임진다.

법과 상식, 상수를 통해 건축행위를 자문할 수 있다.

이장이나 지역유지, 지역주민을 만나 상세한 개발정보를 들으려 하는 사람이 있다.

문제 있다.

그들을 통해 정보를 알아내기보단 지역성질을 알아내는 게 안전하다.

뜬소문을 통해 개발정보를 인식하는 건 불안정적이다.

리스크가 크다.

지역부동산에서 가치를 묻지 않고 가격을 묻는 것처럼 리스크가 큰 것이다.

가치는 정해져 있고 가격은 정해져 있지 않아서다.

부동산주인과 중개인들이 언제 어느 때라도 임의대로 정할 수 있다. 가격담합행위가 가능하다.


투자의 핵심엔 여러 유형이 있을 수 있지만 자신의 처지에 맞는 것에 집중력을 발휘해야 할 터.

투자형태는 다음과 같다.


1. '문명'에 투자하는 과정 - 택지개발과정에 돈을 묻는 행위와 관련 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2. '문화'에 투자하는 것 - 도시개발과정에 돈을 묻는 행위와 관련 있다.

재건축이나 재개발과정이 이와 유사한 형태.

3. '혁명'에 투자하는 것은 택지개발에 집중하는 형태다. 이 역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이므로.

지역 유전자(체질)가 변하는 과정인 법.


4. '혁신'에 투자하는 것 - 도시개발에 집중하는 형태(리스크↘)



문화와 혁신의 의미 - 문화란 문명의 완숙(성숙)과정과 기저효과.

혁신이란 혁명과업을 진단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영역(공간)은 두 가지다.

'변화(성장)'에 투자하기와 '진화(성숙과정)'에 투자하기가 바로 그것.


전자의 경우가 택지개발지역에 집중도를 높이는 여정이라면 후자의 경우는 아마도 도시개발과정에 집중하는 모습일 터.

택지개발이 '지각변동과정'이라면 도시개발과정은 '인구변화과정'이라고 본다.

인구가 변한다는 건 기존 주거인구인 실수요자가 투자자로 변신할 수가 있다는 것.

택지개발은 맨 땅인 생땅에 각종 지상물들이 입성하는 형태지만 도시개발은 기존의 소중한 인구가치를 통해 새로운 인구들이 입성하는 형태이기 때문. 즉 가수요인구가 집중적으로 몰릴 가능성이 지대하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실수요 겸 투자자일 터.

결과적으로는 투자자의 모습일 테지만 말이다.


지역혁명의 실례) 역세권개발과 신도시개발과정 - 안전성

(인구확보가 쉽지 않은 지경. 미분양과 공실 우려가 크다)


지역혁신의 실례) 미니지하철건설(경전철)

미니신도시개발(택지개발)


지역혁신의 경우, 안전성이 높을 수도 있다.

인구확보가 수월해서다. 미니신도시가 역세권개발지역이나 신도시 인근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는 법이니까.

기존 주거인구의 역할이 지대하기 때문.

그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택지개발과정은 무에서 유를 개발하는 것.

생지와 맹지를 개발한다.

최소비용으로 시작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이다.

도시개발과정은 기존 도시에 새로운 주거단지가 형성되는 것으로 새로운 인구유입이 수월하다. 분당일대 낙생지구개발이 그 좋은 실례라 하겠다. 인근 다양한 인구구조가 큰 강점. 성남인구는 96만 명이지만 성남시 하루 이동인구는 250만 명이 넘는다.

이 중 주거인구로 변형될 수 있는 인구도 있을 법하다.


택지개발과 도시개발의 차이 - 도시개발지역엔 청약조건과 전매제한의 규제가 덜하다. 개발속도가 빠르다.


택지개발과 도시개발의 공통점(강점) -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개발과정을 밟는다.

그린벨트가 기회의 땅으로 돌변, 업로드 되는 순간인 것이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