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전원주택은~ 집은 죽이고 정원을 살려라
소매물도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5 | 조회 957 | 2020.12.10 14:08 | 신고

전원주택은~ 집은 죽이고 정원을 살려라

 

 

 

대개 전원주택을 지으려는 이들은 조금 무리를 해서라도

크고 화려한 내 집을 갖고 싶어 한다. 하지만 이미 전원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

열이면 아홉은 가급적 첫 집은 작게 짓고, 살면서 필요하면 늘리라고(증축) 충고한다.

부자를 제외하곤 고급 전원주택을 짓고 살면서 대부분은 나중에 후회한다.

  

 

집을 크게 짓자면 우선 건축비가 많이 든다. 세금도 많이 내야하고 관리비 부담도 적지 않다.

특히 겨울철 난방비 부담이 커진다. 살다가 사정이 생겨 집을 팔려고 해도 덩치가 크고

가격도 높기 때문에 결국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큰 집을 짓는 이유는 찾아오는 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일종의 과시욕과 함께 이들을 위한

배려에서다. 찾아오는 이들이란 도시에 사는 자식을 비롯한 친척, 지인 등 이다.

 

 

 

 

전원주택의 면적은 아파트와는 달리 실제 사용가능한 면적이기에 생각보다 작지 않다.

아파트는 엘리베이터 계단 등 공용 공간도 면적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전용면적은 훨씬 줄어든다.

하지만 전원주택은 실제 면적인 데다 다락방이나 지하실, 창고, 데크 등을

별도로 만들게 되면 훨씬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6㎡(20평) 정도의 전원주택을 짓는다면 다락방을 26㎡(약 8평) 정도

만들어도 실내 공간은 답답하지 않다.

여기에 외부 데크 공간을 만든다면 실제 사용면적은 훨씬 커진다.

마당컨테이너창고나 천막창고를 별도로 설치하면 집 공간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주말용으로 이용하는 세컨드 하우스라면 큰 집 보다 작은 집이 여러 모로 이득이다. 

집은 작게 짓는 대신 정원과 텃밭은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넓게 확보하는 게 좋다.

 

 

 

 

나와 가족의 손으로 직접 정원과 텃밭을 꾸미고 일구는 것이야말로 진정 전원생활의 묘미다.

이 때 정원은 돈을 들여 한꺼번에 조성한 ‘보는 정원’보다는 테마를 정해놓고 가족이

함께 서서히, 조금씩 만들어 나가는 ‘가꾸는 정원’이어야 한다.

 

그냥 보는 정원은 오래지 않아 싫증을 느끼기 마련이다. 정원을 조금씩 가꿈으로서

행복을 느끼고, 그것을 통해 생활의 재충전이 이뤄지기도 한다.

개성 있고 매력적인 정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정원의 테마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원의 위치와 면적, 일조량과 지대의 고저 등 자연조건을 파악하고,

어떤 테마로 꾸밀 것인지에 대해 가족 구성원의 의견과 취미 등을 반영한다.

 

부모를 모시는 가정이라면 소일거리가 될 수 있는 텃밭을 좀 더 크게 만들고,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은 아이에게 모험심과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는 놀이공간을 배려한다.

 

또 채광이 좋지 않은 곳이라면 음지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을 심고,

삭막한 돌담을 가리고자 한다면 활엽수 보다는 사시사철 푸른 침엽수가 좋다.

침실 앞이나 거실창가 주변에는 향기 좋은 나무를 심어 ‘자연 방향제’로 활용한다.  

 

 

 자료/다음카페(전원의향기) 사진 ; 소매물도

전원주택 / 주말 주택지 개발 전문 사이트  "전원의향기"
아래 홈페이지 영문주소 클릭 하시면 많은 도움을 드립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