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인생의 제 2막인 은퇴후의 전원생활
소매물도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 | 조회 1273 | 2021.02.10 19:58 | 신고

인생의 제 2막인 은퇴후의 전원생활

 

중장년층들에게 은퇴후 하고 싶은 일을 물어보면

여행과 전원생활을 가장 높게 응답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3번째로 인구밀도가 높은 곳이다.

더구나 서울과 경기도와 같은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49%가 살고 있다.

수도권의 면적은 우리나라 면적의 12%에 불과하다.

수도권의 인구밀도는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러다보니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은 강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실시한 여러 조사를 보더라도 우리의 중장년층들은

거의 60%대에 달하게 전원생활이나 귀농귀촌을 하고 싶다고 밝히고 있다.

물론 전원생활은 주거지를 멀리 옮기며 생활터전이 완전히 변화하는 것이므로

생각보다 실행에 옮기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도 은퇴후 전원생활은 중장년들의 영원한 꿈인 것 같다.

 

 

 

전원생활의 장점은 너무나 많다.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스트레스 없이 지내다 보면

수명이 증가되고 생활의 만족도는 높아지게 된다.

스스로 재배한 작물을 소비하니깐 생활비가 한달에 70~80만원선으로 하락하기도 한다.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대단히 만족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단점 또한 만만치 않게 많다. 우선 음악당, 도서관, 영화관과 같은

문화시설도 멀어지므로 여가활동이 어렵게 되고.

 

병원도 멀기 때문에 아무래도 고령으로 건강이 악화될 경우 관리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전원생활을 하드라도 시골의 군천이나 읍.면사무소 옆에 정착 하는것이 좋다.

 

 

 

전원생활을 잘 영위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방법을 고민해봐야 한다.

 


첫 번째로는 별장형으로 전원생활을 해보는 것이다.

도시에서 전원으로 완전히 이사하기 보다는 두가지 생활을 같이 해보면 좋다.

 

 

두 번째 방법은 철새형으로 지내는 전략이다.

건강할 때는 전원생활이 가능할지 모르지만 부부중 한사람이 중병에 걸리거나

간병기가 열리면 전원생활을 매우 어려워진다.

건강할 때그리고 기후가 좋을 때는 전원생활을 한다.

추운 겨울이나 간병기가 열려도 요즘은 군단위로 의료시설과 

여가활동 할수있는 시설을 다 가추고 있다.

그러나 도심과 1시간 거리가 적당하다.

 

 

 


세 번째는 전원생활을 하더라도 혼자서 외롭게 이주하기보다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전략이다.

하지만 전원까지 같이 가서 공동체를 형성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전원생활의 성공요건이 공동체라는 점을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사람은 사람과 왕래를 해야 행복해진다고 한다.

취미와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들이 같이 모이거나,

은퇴를 한 친구들끼리 함께 가는 동호회가 좋다.

좋은 공동체가 곁에 있는 곳으로 정하면 바람직하다.

 
네 번째는 몇가지 특이한 방법을 시도해보자.

대도시나 중소도시의 외곽에 전원형 주택에 거주하거나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는

단독주택을 구입하고 주말농장이나 텃밭을 임차하는

소위 ‘도시형 전원생활’을 하는 것도 대안이 된다.

 

 

 

 

 


또한 지방자치 단체들이 만드는 전원단지에 입주하는 것도 방법이다.

은퇴자 도시가 제공하는 입지, 시설, 서비스 등을 꼼꼼히 따지고

다른 주거생활 유형과 비교한 후 적당한 은퇴자도시에서 사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노후에 전원생활은 도시의 탁한 공기를 피하기 위해 시도하기 하기보다는

좀 더 적극적으로 자아를 성취하기 위해 하는 것이라는 점을 잘 인식하자.

글. 우재룡 한국은퇴설계 연구소장 / 현실에맞은편집

자료/다음카페(전원의향기) 사진:전원지기

전원주택 / 주말 주택지 개발 전문 사이트  "전원의향기"
아래 홈페이지 영문주소 클릭 하시면 많은 도움을 드립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