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김인만 칼럼] 누구를 위하여 매입임대는 폐지되나 [1]
김인만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08 | 2021.05.30 16:44 | 신고

누구를 위하여 매입임대는 폐지되나

 

여당이 주택시장 안정을 위하여 매입 임대제도를 폐지하겠다고 한다.

등록 임대 제도가 다 주택 자들의 세금 회피수단으로 변질이 되면서 무거운 규제에도 불구하고 매물동결현상이 심화된 것에 대한 대응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상하다. 임대사업에 등록된 매물은 의무보유기간에 걸려 팔고 싶어도 못 판다.

어차피 양도세 중과 회피매물 대상에서 임대등록매물은 제외라는 것이다.

6.1이후 적용되는 양도세 중과를 피하기 위한 매물은 임대등록이 안된 주택이 대상이다.

매도보다 보유가 더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정부의 기대와 달리 매물이 나오지 않은 것이다.

3주택자의 경우 6.1이후 매도하면 최고75% 높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6.1이전에 팔아도 최고65%의 높은 세율이 적용된다.

내가 위험을 무릅쓰고 내 돈 투자해서 얻은 자본이득(시세차익) 65%75%나 어차피 무거운 세율을 받아들이기 어렵다. 10억원 시세차익 중 60% 이상을 세금으로 내고 싶은가?

지금까지 많은 분들한테 물어봤지만 60% 양도세 내고 팔겠다는 사람은 거의 보지 못했다.

다 주택 보유자들에 대한 압박을 통해 매물을 나오게 하려면 6.1이전에 팔면 6-45% 기본세율과 장기보유특별공제를 적용해주었어야 한다.

이마저도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고 투자심리가 살아있는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

처음부터 실현가능성이 낮고 잘못된 규제를 무리하게 적용한 것이다.

 

매입임대 폐지는 득보다 실이 더 크다.

2017 8월 당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세제, 금융혜택을 다 드릴 테니 임대사업 등록을 하라고 권장했다. 지난 정권도 아니고 현 정권에서 권장한 임대사업 제도를 집값을 못 잡은 자신들의 무능력을 탓하지 않고 정부가 권장한 제도를 등록한 다 주택 자들한테 집값 상승을 떠 넘기고 있는 것이다. 안 그래도 땅에 떨어진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가 지하실로 내려가고 있다.

혜택은 없어지고 부담만 늘어난 임대인들은 늘어난 부담의 일부를 임차인한테 전가시킬 것이다.

2+2 계약갱신청구권이 안전장치가 되어줄까? 2+2가 끝나는 시점부터는 지옥이 시작될 것이다.

임대사업자제도는 임차인한테는 너무 좋은 제도였다.

8년 의무보유기간 동안 갱신 시 5%인상도 귀찮다고 안 하시는 임대인들도 많았으니까

몇 년 후 주택시장 분위기가 꺾여서 침체가 되면 더 문제다.

매물은 증가하고 새로운 매입은 꺼려하면서 민간임대물량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대사업자제도는 정부는 투명과세, 임대인은 세제혜택, 임차인은 안정적인 임대거주라는 세 마리 토끼를 다 잡는 정책이었다.

정부가 매입임대 폐지를 꺼내 든 명분은 주택시장 안정이지만 속 마음은 증세이다.

6.1부터 전월세신고제가 시행되면서 더 이상 임대사업자 혜택을 주면서 임대등록을 유도하지 않아도 투명과세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더 이상 당근을 줄 필요가 없어진 마당에 주택시장안정이라는 명분까지 생겼으니 이 때다 싶어 당근을 폐지하였다.

결국 매입임대 폐지는 임차인의 주거안정이나 주택시장 안정이 아닌 정부를 위하여 폐지가 된 것이다.

 

네이버카페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