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

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부동산 경기가 반드시 좋아야 하는 이유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80 | 2021.09.09 22:55 | 신고

 

 

부동산 경기가 반드시 좋아야 하는 세 가지 이유 

 

 

1 부동산 종사자가 많기 때문.

 

기획부동산, 공인중개사, 건설사, 종합건설사 등

 

 

2 의식주 중 주가 부동산!

 

건설사의 아파트 존재감과 현장감↑

 

현장감과 박진감, 긴장감의 재료 - 아파트

 

아파트의 재료가 편익시설물이기 때문.

 

예) 백화점, 쇼핑몰

 

 

3 부동산업자가 증가하기 때문

 

투자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기사가 매일 매번 화두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

 

지방자치시대, 위정자의 공약 중 부동산 관련 개발이 주요 이슈거리이기 때문.

(부동산은 부자의 재료이기 때문)

 

부동산 경기가 좋아야 하는 이유≒부동산정책은 백약무효

 

우리나라 부동산정책의 특징 - 규제 일변도

 

규제의 목적 - 가격거품을 일단 죽이기

가격을 일시적으로 죽이기

 

그러나 단기규제로는 절대로 가격은 죽지 않는다.

단기간의 규제란 해제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

해제되는 순간, 가격이 자유로운 몸이 되어버린다. 

길고 깊은 동면에서 깨어난다.

 

부동산 - '기획'의 대상

(부동산은 동산화가 필요하기 때문)

 

기회의 대상 - 기획

 

기회의 대상물 - 부동산

 

부동산의 역사 > 인간의 역사

(인간의 원자재가 바로 부동산이기 때문.

부동산의 재료는 대자연)

 

풍선효과의 결과물 - 쉽사리 지을 수 없는 흑백논리를 만든다

 

범례) 수도권과 비수도권

서울과 비서울

경기도와 비경기도

서울 강남과 강북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드는 현상 -

풍선효과 빨대효과(거품의 원흉)

 

부동산 경기가 나쁘면 실업률, 실업자, 부자가 증가한다.

부자의 능력은 위기를 십분활용할 수 있는 힘이기 때문.

가치 높은 부동산을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에 구입 가능하다.

 

부동산 불경기와 코로나시대 - 부자에겐 호기

 

 

수도권의 인기와 집중도가 계속 높어질 수밖에 없는 건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현상 때문이다.

수도권에 장차 4기 신도시, 10호선 전철의 계획 및 기획이

절대로 무리가 아닐 수 있는 이유다.

인구의 다변화와 다양성 때문이다.

 

 

자연 자본 자유는 늘 하나다. 한 몸이다.

자본의 원자재가 곧 자연과 자유이기 때문.

 

자본의 힘은 자연의 힘과 자유의 힘으로부터 발현!

 

부동산의 속성=인간의 속성

(∵잠재성↑ 자연의 재료=부동산, 인간)

 

 

개발의 의미와 의지.

 

1 도시 개발 - 재개발과정 

 

유(有-존재가치)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재창조)

 

2 시골(자연) 개발 - 신도시 및 택지개발

 

무(無-자연)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

 

1-현재가치를 보고 미래가치 정조준

2-개발청사진(미래가치)인 지역 잠재성을 보고 투자를 정조준

 

 

용도지역에 치중하는 짓은 투자의 장애.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집을 지을 수 있을까?

 

도로 상태와 지목상태, 입지상태 등에 의해 건축의 가능성을 감지해야 한다.

 

용도지역 - 현재가치

 

도시지역에 집을 지을 수 있는가?

 

역시 도로상태 등에 의해 결정.

도시지역 내 맹지에 건축은 불가능!

 

용도지역에 집착하지 말고 건축사안은 맹지 발견에 집중, 예민해야!

용도와 건축 여부보단 도로와 건축 여부에 집중하는 게 순리. 정도이다.

 

도로상황에 의해 건축 가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린벨트 내 집 짓는 행위라고 크게 다를 바 없다.

고수이름 | 김현기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yoosoojung

소  개 | '돈이 되는 부동산 독이 되는 부동산' 저자

  답글 화천대유 대장지구 부동산개발에 등장한 인물을 보면서 도도우루 22.11.13 17:53
[김인만 칼럼] 대장동 블랙홀 제대로 바라보기 김인만 21.10.03 16:21
인구증가하는 이유 김현기 21.10.02 09:17
거짓과 사치! 김현기 21.10.01 20:21
보이지 않는 사기꾼 김현기 21.09.29 21:34
토지거래허가구역과 분양가상한제의 한계 김현기 21.09.28 21:34
[김인만 칼럼] 비 아파트 규제완화로 집값 잡는다고? 김인만 21.09.26 20:51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기도 하남시의 존재감 김현기 21.09.22 04:05
분양가상한제가 불요불급한 이유 김현기 21.09.12 14:54
소액 땅투자 십계명 김현기 21.09.09 23:09
부동산 경기가 반드시 좋아야 하는 이유 김현기 21.09.09 22:55
주말주택 농막을 저렴하게 지어보자. [1] pretty 21.09.02 01:07
[김인만 칼럼] 기준금리인상 시작되다 김인만 21.08.29 21:16
[김인만 칼럼] 중개보수처럼 세금도 개편하라 김인만 21.08.22 15:16
내년까지는 집값 안잡힌다네요 몽실몽실 21.08.19 10:02
[김인만 칼럼] 용산공원에 공공주택은 반대합니다 김인만 21.08.15 12:22
내 집 마련의 꿈이 '꿈' 인가? 김현기 21.08.12 10:38
주식과 토지가 위험자산인 이유 김현기 21.08.09 11:01
[김인만 칼럼] 2023년 양도세 개편안 집값 잡을 수 있을까? 김인만 21.08.08 18:08
조망이 아름다운 양평의 전원주택. 소매물도 21.08.02 18:46
15년 된 건물을 4천5백만원으로 변신한 주말주택 소매물도 21.08.02 18:42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