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

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인구증가하는 이유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300 | 2021.10.02 09:17 | 신고


인구증가하는 이유는 두 가지.

투자가치가 높을 때와 삶의 가치가 높을 때이다.

 

중요한 건 삶의 가치가 높다면 투자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삶의 가치는 곧 실수요 가치 아닌가.

 

 

 

 

 

 

삶의 가치가 높은 곳도 두 가지.

 

자연의 가치가 높다면 건강의 가치가 높을 것이고

도시의 가치가 높다면 삶의 가치가 높을 것이다.

 

 

1 실수요 겸 투자자가 증가하는 곳은 지역인구가 꾸준히 증가한다.

 

경제적인 이유(자본의 공간)로 사람들이 몰리는 것이다.

 

실례) 경기도 일대

 

 

2 삶의 질이 높은 공간에 인구가 몰린다.

정신 및 육체적인 이유(자유의 공간)에서다.

 

실례) 지방

 

 

 

 

결국, 삶의 질이 높다면 실수요가치가 높을 것이다.

 

문제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기준이다.

 

도시기능이 뛰어난 전원도시와

시골기능이 뛰어난 전원도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신도시도 그 중 하나.

원조신도시 대비 갈수록 녹지율이 높아지고 있지 않은가.

 

 

 

여하튼,

삶의 질에 모든 사안이 결정되는 것이다.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곳이라고 해서

무조건 삶의 질이 높다고 볼 수는 없다.

 

예컨대 아파트 가격이 폭등하는 곳에

층간소음문제로 살인사건이 자주 터진다면

그 아파트 가치가 진정으로 높다고 볼 수 없다.

가격은 높지만 삶의 질은 높지 않다는 것이다.

 

고수이름 | 김현기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yoosoojung

소  개 | '돈이 되는 부동산 독이 되는 부동산' 저자

공간의 미를 넓은지붕으로 연출하는 주말주택. 소매물도 21.10.17 21:49
[김인만 칼럼] 중개보수 인하 시작되다 김인만 21.10.17 18:13
섬 마을에 지어진 실속있는 주말주택 [1] pretty 21.10.17 15:47
제2의 대장동에 투자하라 김현기 21.10.16 16:09
[김인만 칼럼] 누구를 위한 전세대출규제인가 김인만 21.10.10 18:11
전원생활에 투자하는 자와 전원주택에 투자하는 자의 차이 [1] 김현기 21.10.09 05:58
인기의 재료 김현기 21.10.06 23:36
화천대유 대장지구 부동산개발에 등장한 인물을 보면서 행운 21.10.06 14:03
  답글 화천대유 대장지구 부동산개발에 등장한 인물을 보면서 도도우루 22.11.13 17:53
[김인만 칼럼] 대장동 블랙홀 제대로 바라보기 김인만 21.10.03 16:21
인구증가하는 이유 김현기 21.10.02 09:17
거짓과 사치! 김현기 21.10.01 20:21
보이지 않는 사기꾼 김현기 21.09.29 21:34
토지거래허가구역과 분양가상한제의 한계 김현기 21.09.28 21:34
[김인만 칼럼] 비 아파트 규제완화로 집값 잡는다고? 김인만 21.09.26 20:51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기도 하남시의 존재감 김현기 21.09.22 04:05
분양가상한제가 불요불급한 이유 김현기 21.09.12 14:54
소액 땅투자 십계명 김현기 21.09.09 23:09
부동산 경기가 반드시 좋아야 하는 이유 김현기 21.09.09 22:55
주말주택 농막을 저렴하게 지어보자. [1] pretty 21.09.02 01:07
[김인만 칼럼] 기준금리인상 시작되다 김인만 21.08.29 21:16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