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바로가기

메일받은메일수

메일함이 없습니다
메일함 생성을 위해선 Daum아이디가 필요합니다

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토지지분투자는 사기다 [1]
김현기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431 | 2021.11.20 12:11 | 신고
 

기획부동산은 소액지분투자자를 대거 모집하는 집단이다. 

떴다방이다. 

한 자리에서 5년 정도, 혹은 1~2년 머물다 사라져

지속성이 낮은 집단이기 때문이다. 

사후관리를 하지 않는다. 비리 온상이다.

 

 

과연 지분투자자를 모집하는 게 불법행위일까?

 

 

지분투자자가 증가하는 건 지분투자의 강점 때문이다.

 

소액투자가 가능하다. 그것도 수도권에 개발청사진이

제대로 정립된 곳에 말이다.

1억 이하에서 해결되다 보니 기획부동산 물건에 손을 대는 것이다.

 

중개업소에선 1억 이하 물건을 전혀 취급하지 않는다.

 

중개수수료가 터무니 없이 낮고 땅은 환금성과 안전성 면에서

아파트보다 훨씬 미개하므로 중개사들이 1억 이하 땅에

손을 댈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다.

 

2~3천 만원으로 수도권 땅을 살 수 있냐는 질문을

서울의 공인중개사들에게 해봐라.

공인중개사들은 콧방귀도 안 낀다.

기획부동산이 지금까지 온존히 생존하는 이유이리라.

 

 

문제는, 거짓말!

 

과대포장이다.

 

토지지분투자를 브리핑할 때 모순이 발견된다.

아파트 비유가 부적절하다.

 

아파트 한 동에 여러 가구(호)가 들어가듯

땅도 마찬가지로 한 필지에 여러 명이 들어간다는 것.

 

매수는 문제없으나

추후가 문제.

매도 시 동의가 필요.

아파트는 매도 시 옆집 주인에게 매도 동의가 불필요.

그러나 땅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아파트로 지분토지투자를 유도하는 짓은 노우!!

 

위치 공증이라도 받아서 내 땅 위치를 분명히 알아두어야 하는데

문제는 대다수 법인부동산들이 떴다방이라는 사실.

 

땅의 약점 중 하나가 낮은 환금성이다.

잠재성 대비 너무 낮다.

 

땅은 시간이 생명.

땅은 술의 습성을 닮아 오래두면 오른다.

업그레이드 된다.

주변가치의 변화 때문에 내 땅이 진화하는 경우는 허다하다.

 

 

단독필지가 유리하다.

그러나 큰 돈으로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서민들 입장에선 화중지병.

환금성이 높은 편도 아니다.

대신 희소성이 높다.

매매 시 기획부동산을 전혀 의심하지 않아

관심도가 높다.

중개업소에선 단독필지 땅을 선호한다.

완성도 높은 토지를 취급하다 보니

돈 되는 땅을 중개업소에서 구하려 한다면

최소 10억 이상의 현금을 손에 쥐고 움직여야 한다.

이 역시 기획부동산이 지금까지 온존한 이유다.

 

지분토지의 환금성은 낮다.

관심도가 낮기 때문이다.

옆집(지주) 동의가 필요!

매수는 쉬워도 매도가 버거워 그게 문제!!

들어올 땐 내 맘대로 들어왔지만 나갈 때 내 맘대로

나가지 못한다.

 

미완성물 안에 완성물 존속 - 영원불변한 부동산 구도이다.

미완성물이 중요한 까닭이다.

부동산의 바탕화면, 기본 역할을 바로 완성도 낮은 토지가

하고 있기 때문이다.

 

쪼개기(분할)가 필요한 게 땅이다.

땅은 미완성물로서 진보를 위해선 반드시 쪼개기가 필요하다.

땅의 최초 개발작업이 바로 분할과정인 것.

 

분할, 쪼개기가 불법행위는 아니나, 한 지번에 한 사람이 들어가지 않아

내 땅 위치가 불투명, 불분명한 경우가 문제.

위치 공증이라도 해야 하는 것.

법인부동산인 기획부동산 대부분은 떴다방이라

투자자 입장에서 사후관리를 기대할 수 없다.

 

지상물을 지분으로 쪼개기하는 건 불법이다.

도시형생활주택 관련 건축법을 악용하는 사례가 급증세.

건축법에 위배되는 행위가 급증하는 건

수익의 극대화를 위한 것. 목적은 하나다.

돈이다.

문제는 화재발생 시 다 죽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돈과 목숨을 바꿀 수 있는 의지와 용기는 병신이다.

 

고수이름 | 김현기

홈페이지 | http://cafe.daum.net/yoosoojung

소  개 | '돈이 되는 부동산 독이 되는 부동산' 저자

땅투자의 장단점 김현기 21.12.08 06:06
전시용 이동식주택 급매매 [3] 신기술인 21.12.06 12:38
[김인만 칼럼] 갑자기 양도세 완화한다고? 김인만 21.12.05 20:36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규제정책이 100% 시행착오인 까닭 김현기 21.12.04 12:34
불법촬영물등의 유통 방지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조치 적용안내 Daum부동 21.12.02 17:17
[김인만 칼럼] 종합부동산세 무엇이 문제인가 김인만 21.11.28 20:26
맹지에 소액지분투자자 모집하는 기획부동산의 생존법 김현기 21.11.27 00:28
요즘 분양 뭐 많이 하나요 [1] 즐거운오늘 21.11.23 16:14
[김인만 칼럼] 3차 사전청약 어떨까? 김인만 21.11.21 20:56
수도권에 사기사건이 많은 이유 [1] 김현기 21.11.20 21:01
토지지분투자는 사기다 [1] 김현기 21.11.20 12:11
땅사기꾼의 특성 김현기 21.11.18 22:14
[김인만 칼럼] 과열 오피스텔 괜찮을까? 김인만 21.11.14 16:10
지난 청약의 청약 점수 아는 방법 아시는 분? Hillar 21.11.13 23:52
지난 청약의 청약 점수 아는 방법 아시는 분? Hillar 21.11.13 23:52
황토집 답사를 원합니다. 김예은 21.11.09 22:32
[김인만 칼럼] 전세종말 현실화될까? 김인만 21.11.07 21:37
[김인만 칼럼] DSR로 높아진 대출문턱 실수요자는 힘들다 김인만 21.10.31 20:49
사기꾼과 성공자 김현기 21.10.30 12:50
고급스러움에 아름다움을 더한 주말주택 [1] pretty 21.10.26 09:31
찜질방 으로 딱 좋은 따끈 따끈한 황토 구들방. 두물머리 21.10.25 20:02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