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0일자로 다음 부동산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그동안 서비스를 이용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종료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다음 부동산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 오늘 하루 보지 않기
설 이후 집값 반등할 수 있을까?
설과 추석 명절은 부동산시장의 흐름을 바꾸는 터닝포인트 역할을 한다. 멀리 떨어져 있던 가족이나 친지, 친구들이 모여 이야기 꽃을 피우다 보면 자연스럽게 방향성이 결정되고 명절이 끝나면 미뤄두었던 집 팔기나 집 사기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 2023년 집값은 설 이후 반등에 성공했고 추석 이후 다시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꺾였다. 올해는 설 이후 집값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까?
우선 주택거래량을 보면 집값반등의 신호가 약하게 감지는 되고 있다. 1월 서울아파트 거래량은 2.6기준 1732건으로 계약일 기준 30일 이내 거래신고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천건 중반은 가능할 것 같다. 2023년 12월 거래량이 1825건임을 감안하면 거래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추진, 비 아파트 구입 시 주택 수 제외 등을 포함한 1.10대책이 나왔고 GTX 연장 및 신설노선도 발표되었다. 김포, 평택 등 수혜지역들은 기대가 커져 하락이 멈추었다. 그리고 부부 합산 연 소득 1억3천만원 이하 자녀를 출산한 분이 주택가격 9억원 이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1.6~3.3% 저리대출을 받을 수 있는 신생아특례대출이 1월 29일부터 시행되면서 구매능력이 다소 개선된 점도 거래량 증가에 한 몫을 했다.
여기서 중요한 관전포인트는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집값이 본격적으로 회복할 수 있느냐 이 두가지다. 지켜봐야 하겠지만 낙관적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은 낮다. 정부가 내 놓을 수 있는 부양카드는 이미 나왔다. 1.10대책이후 집값이 폭락하는 상황도 아닌데 추가 대책이 나오기는 어렵다. GTX를 뛰어넘을 교통대책도 더 이상은 없다. 신생아특례대출 호응이 좋기는 하지만 신규 주택구입용도보다 기존대출을 저리대출로 갈아타는 대환대출 비중이 압도적이다. 신생아특례대출을 신청한 9,631건 중 1,519건인 15% 정도만 주택구입 용도이다. 기존대출에서 갈아타는 수요가 많아 주택 거래량 증가나 주택시장 회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믿고 있는 금리인하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다. 미국에서 상반기 중 인하를 시작해 올해 안에 3차례 정도는 인하를 해야 한국은행이 하반기 1번 정도 인하할 여력이 생긴다. 금리인하가 한 차례 되면 일시적으로 거래량이 늘어날 수 있으나 지속적인 거래증가로 이어지기는 어렵다.
전세가격 상승, 입주물량 부족 등 장기적인 상승요인은 존재하나 현재 금리나 경제상황, 집값 수준을 감안하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크게 자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설 이후 반짝 거래량 증가는 가능할 수 있으나 본격 회복세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 2015-2021년 7년 동안 2배 이상의 상승을 했는데 2022-2023년 2년 살짝 조정 후 다시 상승장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2024년은 조정의 터널을 통과하고 있는 과정이다. 큰 폭의 상승도 큰 폭의 하락도 기대하기 어렵다. 어차피 지나가야 할 길이라면 지나친 초조함과 걱정은 잠시 내려두고 위험관리와 내 집 마련 전략을 다시 짜는 내실을 다져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유튜브 부다방TV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