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김인만 칼럼] 집값 포비아 전국을 덮치다
김인만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8 | 2025.03.09 20:32 | 신고

집값 포비아 전국을 덮치다

 

3 1주차 한국부동산원 주간통계를 보고 두 눈을 의심했다.

서울 송파구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0.68%! 이런 숫자를 언제 봤더라? 자료를 찾아보니 2018 2 1주차 0.76% 이후 7 1개월만에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2018년 최고 기록의 경우 2009~2013년 침체기를 지난 후 2017년부터 본격 상승장으로 진입했던 때였기 때문에 납득할 수 있지만 지금은 한달만에 수직 상승으로 급해도 너무 급하다.

논란의 중심 잠실이 있는 송파구는 한달만에 0.13%에서 0.68%로 급등했고, 서초구는 0.06%에서 0.49%, 강남구는 0.03%에서 0.52%로 미친듯이 솟구쳤다.

일각에서는 거래가 뒷받침되지 않은 허상이라고 하는데 거래가 많지 않는 이유는 집주인들이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수 억원씩 올려 거래를 하고 싶어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강남 아파트를 계약하려면 돈을 준비해서 현장에서 대기하다가 계좌가 나오면 바로 쏘아야 그나마 잡을 수 있는 절대적 매도자 우위시장이다.

강남3구 주변지역인 강동구, 동작구,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등 비 강남지역으로 불안심리가 전이되고 있으며 과천, 판교 등 수도권 일부지역도 문의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도대체 왜 이러는 것일까?

발단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쏘아 올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다.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살 수 있게 되었고, 기준금리까지 0.25%p까지 인하했으니 투자심리가 자극을 받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이렇게까지 난리가 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불꽃이 튀었다고 바로 불이 붙지는 않는다. 바닥에 기름이 깔려 있었다는 말인데 이 기름의 실체는 똘똘한 한 채의 양극화 현상이다.

여러 채의 주택을 가지면 주택시장을 교란하는 투기꾼이라는 명분으로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시장은 똘똘한 한 채를 선택했다.

바보가 아닌 이상 똘똘한 한 채가 서울 강남이라는 것은 전국민이 다 안다.

미분양과 입주물량은 적고 생활인프라는 최고 수준이며 우수한 교육환경과 양질의 일자리까지 다 갖춘 강남으로 서울 수도권을 넘어 전국에서 강남으로 들어가기 위해 발버둥을 치고 있다.

지금 아니면 나만 뒤 쳐질 것 같다는 불안감과 두려움의 집값 포비아(Phobia)가 확산될수록 비정상적인 서울 강남 쏠림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집값이라는 것이 인플레이션 방어를 하면서 장기적 우상향을 하고 인기지역이 더 올라가는 것은 맞지만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게 되면 정부의 규제가 나올 수밖에 없다. 굳이 안 맞아도 되는 세금폭탄을 더 맞아야 하고 정말 터지기라도 하면 일본보다 더 극심한 장기침체를 겪을 수 있다.

이왕이면 내 집값이 더 올라가면 좋겠지만 따지고 보면 그만큼 양도세와 보유세 부담이 더 커지고 막상 팔고 나면 갈아탈 집도 없다. 내가 갈아타고 싶은 상급 지 아파트가격은 훌쩍 더 올라갔기 때문이다.

자신의 능력에 맞게 내 가족이 편하게 잘 살 수 있는 내 집이 소중한 가치가 있는 것이지 집값 포비아에 휘둘려 선택한 무리한 강남 입성이 행복을 가져주지는 않는다.

 

유튜브 부다방TV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