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부동산 투자! 이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나? [2]
투자멘토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14 | 조회 1755 | 2012.07.09 18:17 | 신고
2000년 이후 한국부동산 투기의 주범은 아파트다.

80~90년대에는 투기의 대상이 토지였지만, 90년 중반이후부터 강남생활이 활성화되면서

모든 투기의 근원이 아파트 때문에 일어나기 시작한 시점이었다.

 

한때는 아파트 투자해서 "자고 나면 1천만원이 올라 있더라",하던 시절에는 너도나도 빚을 내어 아파트모델하우스로 몰리고 밤을 세우기도 한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 주택시장은 어떤 수단으로도 거의 투자에 대한 메리트를 상실한 것이 아닌가 싶다.

 

한동안 부동산으로 돈 좀 벌었다고 거들먹거리는 사람들 중에는 각종세금과 빚 때문에 팔고 싶어도 팔수 없는 현실을 보면 권불십년이 아닌가.

 

필자의 생각에 이제 아파트는 자산을 늘려주는 투기상품이 아니라 거주수단인 집 없는 서민들에게 돌아가야만 하고, 정부의 더욱 강력한 조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아파트는 실수요자만 구입하는 시대가 오기를 간절히 바라고 머지않아 그렇게 될 것으로 확신이 든다.

 

그렇다면 작금의 이러한 현실 속에서 과연 투자의 방향을 어디로 무엇을 해야 안전자산을 유지하고 증식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문의가 많지만 과히 정답을 주기는 어려운게 또한 현실이다. 그렇다고 전 세계적으로 금융시장도 별로 좋지 않은 것 같고...

 

과연 어떤 투자대상을 가지고 어떻게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손해 없이 자산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얼마전 미래 투자방향에 대한 뉴스를 보니 부자들의 30%는 그래도 부동산을 투자하겠다는 답변이 있었다. 그렇다고 아파트를 투자하리란 것은 아니다.하지만 부자들의 자산 형성과정을 보면 땅을 빼놓고는 부자가 된 사람이 많지 않다고 보여진다.

 

그러고 보니 주택시장이 무너진 지금의 흐름으로 볼때 과거 8~90년대와 같이 부동산을 주름잡은 땅 투자시대로 회기 움직임이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조심스럽게 시장흐름을 지켜보고 있다.

 

과연 땅이 어떤 것이길래,.되짚어보면,.땅에 대한 고착된 애정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었다.특히 우리 선조들은 땅에 대한 남다른 애착이 있었다.

 

국토는 좁고, 인구는 많으니 그도 그럴것이요, 국토의 70%이상이 임야로 농사지을 땅이 없다보니 그도 그럴것이요, 부모에게 상속받고, 자식에게 물려주어 부(富)의 대물림으로 땅만한 게 또 어디 있겠는가? 인류의 역사가 따지고 보면 땅 빼앗기 전쟁이라 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반만년 역사의 이면에는 땅을 얻고 그것을 경계로 하여 백성과 필요한 산물을 얻을 수 있었는데 반하지 않았는가.

 

그러고 보면 인류가 농경문화를 시작할 즈음부터 시작하여 우리가 사는 지금에도 땅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사랑은 계속되고 있는 것 같다. 우선 돈을 모으면 주식이나 땅에 투자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물론 지금이야 아파트라는 부동산이 대표적이지만 그것 또한 땅위에 있다 보니 땅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땅은 거짓말 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있다. 물론 뿌린 대로 거둔다는 말로 땅은 정직하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얼마 전부터 경제와 접목하여 부동산 불패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우리나라처럼 땅과 경제가 맞물리고, 땅이 경제에 미치는 파급이 큰 나라도 많지 않을 것이다. 한때 부동산 재테크에 대한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고 최근 들어 아파트와 관련하여 하우스 푸어(House Poor)라는 신종어가 생겼으며 이는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모두 땅에 대한, 부동산에 대한 우리들의 모습들이다.

 

하지만 이제부터 재테크로 땅을 살때 한번쯤은 고민해 보아야 한다.

시장의 변화가 땅으로 움직여 진다하여도 과거처럼 무분별한 투자방식은 아닐것이다.

시대가 변한만큼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지도 않고, 특정도시에만 집중투자가 생기지도 않을진대 과연 어디에 꼭 찍어서 투자해야 하는가.

 

 

그 땅이 가지고 있는 장래에 변화될 환경적인 가치와 더불어 투자자의 활용 적정성[適正性]

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단기적인 경제적 상승효과에 따른 가치투자냐, 아니면 중장기를 보고 땅의 지속성이 보장된 수익을 가져다주는 투자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이런 두가지 조건을 모두 갖춘 땅의 종착점은 어디일까?(여기에 대한 필자의 TiP 몇가지)

 

1)정부정책을 역행하지 말라

2)블루칩에 투자하라

3)환금성을 생각하고 투자하라

4)불황에도 살아남는 지역과 입지를 선택하라

5)이익이 된다고 판단되면 남보다 한발 먼저 움직여라.

6)시대의 변천사를 먼저 읽어라

7)먼 미래를 보고 투자하던 시대는 지났다.

8)조망권보고 임야 투자는 포기하라

9)내가 아는 지식을 정보라 믿지 마라

10)모든 생활의 중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생각하라.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