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귀농을 쉽게 성공할 수 있는 방법 [1]
토지은행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1991 | 2013.02.13 07:33 | 신고

귀농을 쉽게 성공할 수 있는 방법

 

새마을운동 잘 살아보세! 쥐잡기운동 등 70년 대 높은 산을 경작하여 산 골자기 마을엔 물이 들어가고 농사를 짓고 살아가면서 많은 자식들을 낳아 교육을 시키면서 살아왔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속에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는 농업후계인력 부족으로 농업기반의 방치와 훼손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농사를 짓던 과수원과 농지가 농사를 짓지 않아 무성히 풀이자라 과수원과 농지라고 볼 수 없을 정도 방치되어 있는 농촌마을 현주소다.

 

농촌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는 농촌과 농업에 국한된 문제만은 아니다. 농업생산인력 농촌사회의 전반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등 소위 농업농촌 내부문제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고령화와 농업인구의 자연감소 및 후계인력 단절을 우려하는 면에서 은퇴나 베이비부머와 같이 전원생활 내지 노후생활형으로 이주하는 경우와 첨단농법을 통해 새로운 농업경영을 희망하는 베이비부머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 다행이다.

 

베이비부머의 대량은퇴와 이들의 귀농귀촌의 증가는 농촌의 새로운 일자리 발생과 더불어 농촌유입인구 증가, 농촌사회 발전에 기여 하는 면이 베이비부머들의 은퇴는 많은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도시에서 살던 사람들이 귀농을 하기란 쉽지만은 않다. 농사를 짓지 않은 경험으로 귀농을 했다가 실패를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귀농을 쉽게 돈이 들어가지 않으면서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돈 없이 귀농을 할 수는 없지만 적은 돈만 가지고 귀농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지금 전국 농촌마을은 고령화에 농사를 짓지 못하는 땅과 과수원이 많다. 복숭아, 포도, 배, 사과, 등 과수원을 사용하면 농사가 짓기 편리하다. 그동안 농사를 짓던 과수원이기에 조금만 배우고 농사를 지으면 그해 수익이 발생되어 귀농은 성공할 수 있다. 귀농은 건강을 지켜주고 힘든 가난을 탈피할 수 있는 베이비부머들의 마지막 선택이다. 수도권에서 이것도 저것도 아닌 베이비붐세대들이여 귀농하라. 직업도 없이 수도권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사람들은 하루하루를 기원이나 공원을 맴돌면서 힘들게 사는 것은 노후 건강과행복은 멀어져만 간다.

 

귀농을 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과수원과 토지를 무료로 안내하고자 한다.

세종시 전의면 위치 약 4.500평방미터 일부 주목나무 전 3년간 무료사용

세종시 전동면 전 몇년간 농사를 짓지 않아 풀 무성 9000평방미터 3년간 무료제공

세종시 조치원읍 신안리 6.000평방미터 답을 100% 황토 성토 3년간 무료제공 호박고구마 수박 참외 강력추천

세종시 조치원읍 번암리 3500평방미터 양어장으로 사용 중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메기 장어 어장 사용시 좋음) 3년간 무료제공

세종시 전동면 창고 1개 밭과 논4.000평방미터 3년간 무료제공

세종시 전동면 5.000평방미터 복숭아 밭 3년간 무료제공 복숭아 맛 좋음 (정리가 잘 되어 복숭아 밭 강력추천)

세종시 연서면 월하리 배 밭 10.000평방미터 3년간 무료제공 ( 과수원 강력추천 )

 

상기 사진의 과수원과 양어장 농지를 잘만 사용하면 귀농 성공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에서 답이 없는 베이비부머들은 귀농을 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사진에 없는 적은 평수 전, 답도 많습니다.

모든 매물은 3년간 무료입니다.

 

<100억 부자의 비밀> 저자 동영상특강

아래 홈페이지 검색 특강은 당신을 부자의 길로 안내합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