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기타] 우리마음속에 있는 집의 의미
박상언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1276 | 2014.01.29 09:45 | 신고

 

각자 사시는 집을 앞에 놓여 있는 하얀 도화지에 한번 그려보세요”

우리들 누구라도 이런 질문을 받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참을 머뭇거립니다

 

 

아파트라는 일률적인 공동공간에 사는 게 익숙해졌기 때문에 집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말 대신 “앞으로 살고 싶은 집을 그려보세요” 라고 질문을 받는다면 우리들 대부분은 넓은 정원이 달린 빨간 지붕이 얹혀져 있는 아담한 단독주택을 그리게 마련입니다. 현대인들은 비슷비슷하게 사각으로 지어진 벽안에서 컴퓨터와 전화기 등, 편리한 문명의 이기가 전부인양 지내고 있습니다. 심지어 아이들 방에까지 별도로 이 모든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어 가족들이 모이는 공간인 거실에는 아예 나올 생각도 안하고 있습니다. 편리함이란 ‘문명의 이기’들이 가족들을 서로 격리시키고 정서를 더욱 메마르게 하고 있는 것입니다. 팔자가 한창 초등학교 다니던 70~80년도만 해도 TV가 있는 집이 동네에 몇 집이 안되었습니다.

 

 

국경일에 맞추어 ‘박치기 왕 김일선수’가 나오는 레슬링이라도 하는 날이면 TV가 있는 먼 윗동네 집에 몰려가서 아랫동네,윗동네 할것없이 목청껏 응원하곤 했습니다. 또한 하교길에 친구들과 무리지어 어른 흉내내며 19세 이상 영화관을 전리품을 획득한듯 의기 양양하게 들락날락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컴퓨터와 게임기,심지어 휴대폰등의 개인멀티미디어(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가 되어 모일 이유가 별로 없습니다.

 

 

-아랫목 같은 따뜻한 기운이 감도는 거실에 살고 싶어요

예전에는 거실이 아닌 누룩을 앉히는 안방 아랫목에 온 식구들이 자주 모였습니다. 안방에서 온 식구들이 모여 밥도 먹고 그 당시에는 전화나 TV 같은 제품은 하나밖에 없어 모일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70년대 말 초등학교 시절, 신학기만 되면 선생님들은 가정방문도 겸해 재산현황조사차 프린트물을 미리 나눠 주곤 했는데 냉장고 ,전화기등의 재산보유 현황 체크상황이 있었습니다. 에에컨이나 세탁기등 값비싼 가전제품에 동그라미를 친구들이 그렇게 부러웠던 기억이 새삼스럽습니다. 과거의 어린 얘들은 오늘날 아이들이 PC 방 출입하듯 할머니 방에 들어가기를 좋아했습니다. 왜냐면 추위를 잘 타는 할머니 옆에는 화로가 있고 그 안에는 항상 군밤과 고구마 그리고 할머니의 인자함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서양의 그림책이나 소설책을 봐도 ,산업혁명 이전에 가족들이 벽난로 주위에 모여 그날 있었던 일을 이야기 하는 장면이 자주 나옵니다. 요전날 책을 읽다보니 사람을 모으게 하는 동양과 서양의 공통분모를 한마디로 ‘불’로 표현해놨는데 필자도 상당부분 동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책에 따르면 최초의 집이 불을 피움으로서 시작했고 사람을 모이게 하고 가족들을 화합하게 한 것입니다. 최근의 아파트 평면구조를 보면 아이들의 방이 넓어졌습니다.

 

 

필자가 어렸을때만 독립된 자기방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부러움의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즈음엔 유치원만 들어가면 각자의 방이 있고 각종 전자장비 심지어 아이들 보호차원에서 핸드폰까지 채워줍니다. 7살짜리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휴대폰을 사달라고 조를때면 당황하면서도 때론 격세시감을 느끼곤 합니다.

 

 

 

보통 3LDK의 방3개가 갖춰진 집을 분양받게 되면 큰방은 부부용,적은 방은 아이용, 또 나머지 한 개의 방은 아이들 공부방으로 씁니다. 아이들 방은 각종 기구들로 어지럽혀 있어서 공부방만이라도 깨끗하게 마련한다는 취지입니다. 지나치게 편리하고 화려한 방은 오히려 가족들과의 대화소통을 막아버립니다. ‘막둥아, 다른데 돌려라’ ’텔레비 손으로 쳐봐라’ ‘옥상에 가서 안테나 한번 흔들어 봐라’ 필자가 어렸을때는 위로 형님들이 많은 탓에 한 마디로 손이 10개라도 부족할 정도로 시중을 도맡아 싶히 했습니다. 찌찌덕 거리던 흑백 TV 는 있더라도 리모콘이 없었기 때문에 TV를 보고 있더라도 30분 간격으로 가족간의 대화(?)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손끝으로 움직이는 디지털화된 지금은 말 없이 3~4시간씩 TV를 볼 수 있습니다. 채널이 수십개인 위성 TV뿐만 인터넷까지 가세해 더 이상 사람들을 밖으로 나올 필요가 없게 만들어 사람들간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아이들 방에 전화와 컴퓨터가 없어야 가족들이 머무는 곳으로 나올 것 같습 니다.이런 연유로 필자의 집에는 컴퓨터가 거실에 있습니다.그래야 가족끼리 얼굴을 한번이라도 더 볼 수 있고 대화도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족간/이웃간 정을 느낄 수 있는 찜질방 같은 집

 

 

건설업체 사장님들! 동네 찜찔방 가보셨나요… ‘투자가치 있고 편리한 유비쿼터스 주택도 좋지만 이웃간 정을 느낄 수 있는 집을 지어 주세요’ 라고 외쳐보고 싶습니다. 필자 개인적으로도 동네 찜찔방을 즐기는 편입니다.예전 목욕탕이나 사우나 하면 부부끼리 계산대앞에까지 손잡고 들어갔다가 따로따로 일을 본 뒤 적당한 시간을 봐서 한쪽이 밖에서 다른 쪽을 기다리다가 같이 손잡고 가는 꼴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가족과 함께 동네 찜찔방에 가면 아랫동네 김씨 ,윗동네 박씨까지 만나 잘 익혀진 맥반석 계란을 도란도란 같이 까먹을 수 있습니다.

 

예전 모 건설회사 광고 컨셉입니다. 따라라라라~ ‘엄마 빨리 내려오세요’ “아참 가스불을 켜 놨네 ”/ “걱정마세요.”홈네트워크 시스템 ~핸드폰만 있으면 밖에서도 요즘 집 밖에 나가지 않고도 안에서 생활이 가능한 원스톱(one-stop)이 가능한 최첨단 아파트가 등장하는 이때에 차라리 이런 광고문구를 듣고 싶습니다. “어머 가스불도 켜놓고 뽀삐(애완견)도 안 데리고 왔네” “걱정마세요 ”윗집 순돌이 엄마가 알아서 할 꺼여요” 뽀삐도 오늘은 둘(윗집 뽀순이)만의 시간을 달래요 RG 아파트에 살면 뽀삐의 속마음도 알 수 있거든요

남들에겐 윗집은 부담(아이들 쿵껑거리는 소리)이지만 우리는 한 가족이에요 남들에겐 꿈이지만~ 이웃과 동물까지 하나되는 인텔리젼트 라이프~

다소 부족하더라도 우리는 그렇게 살아야 합니다. 아파트 한 채라도 더 팔기 위해 생활의 편리함과 투자성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우리는 그보다 더 소중한 무언가를 잃어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