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0일자로 다음 부동산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그동안 서비스를 이용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종료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다음 부동산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 오늘 하루 보지 않기
우리의 담장, 그 종류, 의미와 용도
담은 건물 대지의 경계선이나 설치물의 주위에 두른 구조물을 말한다. 담은 순우리말이며, 한자로는 원(垣)·장(墻)·원장(垣墻)·장원(墻垣)·장옥(墻屋), 우리말과 한자가 합쳐진 말로는 담장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그중 경미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안이 보이게 만들어진 것을 울·울타리·바자울[笆子籬]·울짱·책(柵)·장리(牆籬)라 한다. 반대로 성벽·성곽과 같이 대규모인 것도 있다. 담의 기능에는 공간의 구획, 외부로부터의 침입이나 들여다보는 것의 방지, 화재 등의 위험방지, 위엄과 존엄성을 나타내는 것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있다.(출처 / 다음 백과사전)
담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생나무를 심는 생울이 있는가 하면, 싸리나무 등을 엮어 막아놓은 울타리가 있다. 진흙에 짚을 썰어넣어 이겨서 만든 흙담도 있고, 널판지로 계를 두른 판장과 판담이 있기도 하다. 그 외에도 돌담, 영롱담, 꽃담 등 담은 그 재료 등으로 담장의 구분하고 있음을 본다.
담장의 용도는 과연 경계이고 차단일까?
그러나 정말로 이 담이 경계를 막고 설치물을 보호하기 위함일까? 담장이 이웃과의 경계를 가르는 용도로 쓰이는 것일까? 난 그렇지 않다고 생각을 한다. 담은 경계를 나누는 것이 아니고 이름이다. 그리고 외부와의 차단을 위한 것이 아니고, 하나의 결성을 위한 보호적인 차원의 상징이라고 생각한다. 먹을 것을 담장 너머로 전해주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그것이 차단이라면 이해가 안된다. 우리의 담은 바로 나눔이요, 소통이다.
민초들의 담과 가진자들의 담은 극과 극이다
우리 민가의 담을 보면 막힘이 아니다. 문이라고 해보아야 싸리를 엮어만든 문이다. 그리고 담장이라고 해보아야 어른 키의 목밑이다. 누구나 안을 들여다 볼 수가 있다. 옆집과의 경계도 마찬가지다. 보호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사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민가의 담장이다. 사대부가의 높은 벽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
그렇다면 왜 우리 민가의 담은 이렇게 낮은 것일까? 그래야만 할 이유가 있었을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사대부가들이 숨길 것이 많다면 민초들은 숨길 것이 없다. 어느 집이나 터놓고 돌아다녀도 잊어버릴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러다보니 담을 높게 두를 이유도 없고, 안이 안 보이게 문을 만들어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바람 정도만 막아주면 그것으로 족하다. 그저 허전함만 가리면 그것으로 족하다. 그것은 같은 민초들끼리는 서로 피가 통하기 때문이다. 숨기고 감추고 속이는 그러한 담장이 아니라, 소통하고 열고 보여주는 그런 것이 바로 민초들의 담장이다.
역사는 늘 담으로 사람들을 구분했다
민가의 담을 보면 끝이 없다. 그저 이집에서 저집으로, 또 그 다음집으로 담이 연결이 된다. 낮은 처마 밑으로 두른 담장은 그보다 많이 낮게 만든다. 나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나를 숨길 것도 없고 은밀히 숨어서 할 일도 없다. 그런데 이런 담장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즉 담은 어느 시대에서나 소통과 단절로 대두된다.
소통은 민초들이요, 단절은 가진자들이다. 가진자들은 보여주기를 꺼린다. 그리고 늘 은밀히 안에 틀어박혀 궁리를 한다. 대개는 그 안에서 서로 목소리를 죽여 몹쓸 짓을 연구한다. 그리고 더 많은 몹쓸 짓을 생각해 낸다.
민초들의 담장은 스스로 낮춘다. 스스로가 부끄러움이 없다는 생각이다. 그저 있는 대로 행하고 먹고 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진자들은 항상 숨기려고만 든다. 그러한 검은 사고들이 담장을 높게 만들었다. 그리고 스스로 그것이 위엄이라고 생각들을 했기 때문이다. 소통과 보여줌, 숨김과 차단. 이것은 긴 세월 속에서 변하지 않고 전해진 우리 담장의 철학이다.
담은 공유를 하는 것이다
가진자들은 늘 소통하고 보여주는 민초들을 바라보면서 자신들은 감추고 가리는 것이 많았다. 그러면서도 늘 자신들은 서민을 위해서 산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들이 사는 집의 담을 낮추고, 마음의 담을 낮추지 않고는, 절대로 낮은 담을 사이에 두고 사는 민초들에게 가까이 다가설 수가 없다. 담장의 철학은 사람들을 일깨우지만 그들은 그 속내조차 모르고 산다.
우리의 담장이 주는 철학. 내가 쌓은 담은 안편에서는 우리 담이 되지만 밖으로는 상대의 담이 된다. 이것이 바로 우리 담장의 마음이다. 하나의 담장이 서로를 소통하게 만드는 것이다. 높은 담을 가진 자들. 이제 스스로 그 높은 담을 깨고 나오지 않으면, 그들과는 절대로 담을 공유할 수가 없다
즐감하셨다면 추천 꼭 눌러주시고 아래 " 전원가고파 " 홈페이지 주소 클릭하시면 다양한 전원주택 사진, 설계도 ,시공 노하우와 전원생활, 귀농귀촌 정보가 있습니다 |
![]() |
복층형 소형 주말 힐링하우스 [2] | 버캠 | 14.10.09 09:54 |
![]() |
실속형 초소형 미니주택 [2] | 버캠 | 14.10.09 09:51 |
![]() |
디자인혁신 건축 미래태양광 주말주택 [1] | 버캠 | 14.10.09 09:33 |
![]() |
실전 전원주택,지하수 개발하기 [2] | 구들장 | 14.10.09 08:42 |
![]() |
목조로 지은 펜션 60평 [1] | 구들장 | 14.10.09 08:40 |
![]() |
튼튼하고 중량감있는 벽돌로 시공 완공한 주택 [1] | 구들장 | 14.10.09 08:39 |
![]() |
주말주택 부지마련, 집짓기까지 현장가이드 [1] | 전원가고파 | 14.10.09 08:27 |
![]() |
마음에 힐링을 주는 소형 전원주택 [1] | 전원가고파 | 14.10.09 08:26 |
![]() |
전원생활 시작은 "10평이면 충분하다" [6] | 전원가고파 | 14.10.09 08:25 |
![]() |
불편함 보다는 휴식과 여가공간 주말주택 [2] | 전원가고파 | 14.10.09 08:23 |
![]() |
우리의 담장, 그 종류, 의미와 용도 [1] | 전원가고파 | 14.10.09 08:22 |
![]() |
첨단 기술이 집약된 텐트스타일 솔라하우스 [1] | 세상에 이런 | 14.10.09 08:17 |
![]() |
계절의 변화에따라 천의 얼굴을 가진 원더풀하우스 [1] | 세상에 이런 | 14.10.09 08:14 |
![]() |
특유의 감각을 지닌 산골목수의 예술건축 [2] | 세상에 이런 | 14.10.09 08:13 |
![]() |
흐르는 강..바위섬에 지은 강태공의 별난집 [1] | 세상에 이런 | 14.10.09 08:10 |
![]() |
선과 면을 잘 조화시킨 기하학적 모던하우스 [1] | 세상에 이런 | 14.10.09 08:05 |
![]() |
야생으로 살고픈 이의 자연인주택 [1] | 세상에 이런 | 14.10.09 08:03 |
![]() |
전원주택의 허가와 비용의 Q&A [1] | 자연의소리 | 14.10.09 07:23 |
![]() |
집짓기의 처음과 끝, 실전 스크랩 [1] | 자연의소리 | 14.10.09 07:21 |
![]() |
연못의 운치있는 돌다리 만들기 [1] | 자연의소리 | 14.10.09 07:16 |
![]() |
노후생활, 노후(老朽) 방지를 위한 투자(열의) [1] | 김현기 | 14.10.09 06:40 |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